d라이브러리
"예"(으)로 총 9,616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천재 수학자의 유산 라마누잔의 노트수학동아 l2015년 12호
- 있다. 정수론에서는 같은 수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가 같아지는 두 수를 합동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7과 12는 5로 나누면 나머지가 2로 같다. 정수론의 합동식으로 표현하면 7≡2(mod5), 12≡2(mod5) 이다.★ 그리고 ‘mod 5에 대해 7과 12는 합동이다’라고 읽는다. 라마누잔은 맥마흔의 표의 수 배열에서 ... ...
- 수학자를 구출하라!수학동아 l2015년 12호
- 안에 들어갈 숫자는 상단의 사칙연산으로 계산했을 때 그 값이 반드시 상단에 적힌 숫자와 일치해야 한다. 예를 들어 3칸짜리 케이지에 8×라고 적혀 있다면 빈칸에는 1, 2, 4가 들어가야 한다 ... ...
- 생일도 피해갈 수 없다!수학동아 l2015년 12호
- 1생일 케이크에는 흔히 10살짜리 초와 1살짜리 초를 꽂는다. 예를 들어 58번째 생일이라면 10살짜리 초 5개와 1살짜리 초 8개가 필요하다. 이렇게 초를 2종류만 사용하면 초의 개수가 너무 많아 작은 케이크에 꽂기는 부담스럽다. 그런데 서로 다른 크기의 초 7개만 있으면 어떤 나이도 표현할 수 있다. 그 ... ...
- Part1. 기나 긴 폭력의 역사, 하지만 본성은 아니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이후 각국의 사람들이 얼굴도 모르는 해당 도시의 사람들에게 보여준 지지와 연대가 그 예다. 때로는 세월호 사건에서처럼, 자신을 희생하면서까지 남을 돕기도 한다.꼭 협력의 본성을 들먹이지 않더라도, 인류는 문명화하면서 폭력과 동종 살해에서 점점 멀어져 왔다. 문명 이후 대규모 전쟁과 학살 ... ...
- 제2의 교토의정서 나올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인류가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했던 일들이 한꺼번에 일어나고 있다. 지구의 평균기온은 올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고, 지난해에는 대기 중 온실가스 농도가 정점을 찍었 ... 감축목표의 50%를 일단 소비에서 줄이고, 그 다음에 재생에너지, 저탄소 기술을 통해 감축할예정”이라고 말했다 ... ...
- [Life & Tech] 바이오 기업 ‘테라노스’ 논란과학동아 l2015년 12호
- 기고했다. 그는 글에서 간편한 절차가 잘못된 해석으로 이어질 확률이 높다고 지적했다. 예를 들어 신부전증 의심 환자가 신장 건강의 기준인 혈청크레아틴의 농도를 검사했다고 가정해보자. 테라노스 검사결과 혈청크레아틴 농도가 110㎛ol/L였고, 검사결과에 함께 표시되는 ‘정상 농도’는 50~11 ... ...
- 식품 알레르기, 피하지 말고 먹어라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알레르기 발병률의 관계를 조사한 논문 38편을 분석해 이 같은 사실을 알아냈다. 한 예로 땅콩을 유아기 때 일찍 먹은 사람은 먹지 않은 사람보다 성인이 됐을 때 땅콩 알레르기가 발병할 확률이 20% 낮았다.아브람스 교수는 “아기가 생후 4~6개월일 때 알레르기를 유발할 위험이 있는 음식에 ... ...
- 방화범과 소방관 사이의 마무리 투수과학동아 l2015년 12호
- 투수가 등판한 상황을 확인한다. 이때 등장하는 것이 귀납적으로 계산한 기대승률이다. 예컨대 9회말 1점 리드 중인 팀이 승리할 확률은 86%다. 이때 마무리 투수가 등판해 경기를 무사히 마친다면 이 선수는 팀의 승리에 14% 기여한 셈이다. 반대로 마무리 투수가 1점을 줘 동점이 된다면 기대 승률이 5 ... ...
- 물리와 감성이 공존하는 브라운아이드걸스 BASIC수학동아 l2015년 12호
- 프랙탈 기하학에서는 선이나 면이 구부러지고 접혀 있는 정도에 따라 차원이 커진다. 예를 들어 구불구불한 해안선은 유클리드 기하학에서는 선이지만, 프랙탈 기하학에서는 선과 면 사이의 차원으로 볼 수있다.유클리드 기하학에서는 길이가 1인 선과 넓이가 1인 면, 부피가 1인 정육면체에서길이나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23] ‘오지라퍼’가 되지 않으려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어려워하는 것을 이해하지 못하고 천연덕스럽게 “그걸 왜 몰라”라고 묻는 것이 좋은 예다.도움을 줄 때는 내가 어떤 것을 해줬느냐가 아니라 상대가 어떻게 받아들였냐가 중요하다도움, 얼마면 돼?다음으로 생각해볼 것은 도움의 정도다. 도움을 지나치게 많이 줘도 도움 받는 이의 자율성과 ... ...
이전2742752762772782792802812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