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d라이브러리
"
세포
"(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마이크로맨의 눈에 비친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9호
모양과 구조, 기능을 갖는다. 우리 주변에서 눈으로 볼 수 있는 거의 모든 생명체가 다
세포
생물에 속한다. 살아있는 실험실눈 좋은 내 친구 현미경우리가 실험실에서 사용하는 현미경은 대부분 광학현미경이다. 광학현미경은 물체에 빛을 투과시켜 확대해 볼 수 있다. 광학현미경의 구조와 기능을 ... ...
지구용사 어과동 파이브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7호
세포
층이 있다. 그리고 가장 밑에는 까만 멜라닌 색소를 가진 층이 있다. 이런 다양한
세포
들의 변화로 카멜레온이 다양하게 변신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주변의 환경과 똑같게 변신을 하는 것은 아니다. 카멜레온은 빛의 세기와 온도, 감정의 변화 등에 따라 몸의 빛깔이 바뀌기 때문에 쉽게 눈에 ... ...
모모와 함께한 해저 2만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6호
보고 몹시 신기했어. 하지만 사람의 몸은 얼렸다 녹이면 몸 속의 수분이 얼음결정이 되어
세포
를 파괴한단다. 극지에 사는 생물들이 얼음 속에서도 살아남는 방법을 연구하면 냉동인간도 가능할 거야. 심해생물들은 전혀 귀엽지 않아요 사람들은 오랫동안 깊은 바닷속에는 어떤 생물도 살 수 없을 ... ...
쑥쑥키크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4호
자랄까요? 뼈의 끝부분에는‘성장판’이라는 연골 조직이 있는데 이곳에서 새로운 뼈
세포
가 많아지면서 뼈의 길이가 늘어나는 것이죠. 엑스레이를 찍어 보면 성장판을 볼 수 있는데, 성장이 끝난 어른들은 성장판이 보이지 않는답니다. 그래서 엑스레이를 통한 성장판 검사로 앞으로 자랄 수 있는 ... ...
현미경과 망원경이 보여 주는 놀라운 세계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3호
이용하여 램프의 빛을 모았다. 훅은 이 현미경으로 병마개로 쓰이는 코르크를 관찰하여
세포
를 처음으로 발견하였다.1886년에른스트 아베, 광학현미경의 분해능 한계 발견에른스트 아베는 가시광선을 이용하는 현미경은 0.0005밀리미터보다 작은 사물을 볼 수 없음을 밝혔다. 이것은 가시광선의 ... ...
맛있는 빛의 요리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2호
같지만 그 반대다. 개의 눈은 색맹에 가까우며 지독한 근시다. 게다가 색깔을 느끼는 원추
세포
가 매우 적어 개가 보는 세상은 흑백에 가깝다. 투우사가 소를 향해 휘두르는 천이 꼭 빨간색일 필요는 없다. 소도 개와 마찬가지로 색맹이기 때문이다. 소는 망토의 움직임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이지 ... ...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방법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있고, 제3장은 앞의 2장의 관찰에 대한 회고와
세포
의 형성과정 내용이다특히 마지막에
세포
설을 발표, 그 학설을 모든 생물계에 일반화시키는데 성공했다 모든 동물을 명명하고 기재한 후 분류하며, 분류의 이론적 근거를 밝히는 학문 체계적인 동물 분류는 그리스의 아리스토텔레스의 분류에서 ... ...
자연에서 얻는 공학적 영감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작용해 이온채널을 열고 칼슘이온이 이동하며 기계적 신호가 전기 신호로 바뀌어 청신경
세포
로 전달된다. 인체의 부동섬모는 공학적 센서보다 감도가 훨씬 좋다. 예를 들어 부동섬모를 이용하면 움직임을 측정하는 자동차 에어백용 가속도 센서보다 100배 이상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 ...
파킨슨도 깜짝 놀랄 초파리 연구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밝히는 연구를 시작한지 6개월 만에 첫 논문을 낼 정도로 성과가 빨랐던 것. 게다가
세포
수준이 아니라 개체 수준의 연구라 신뢰도가 높았다.정 교수는 2001년부터 창의적연구진흥사업의 지원을 받아 파킨슨병뿐만 아니라 당뇨나 비만 같은 대사성 질환과 암의 유전적 요인을 밝혀왔다. 그 결과 지난 ... ...
열은 내 몸의 수비수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림프구를 삽입했다. 림프구는 평소 혈관을 타고 흐르다가 림프절을 거쳐 면역력을 가진
세포
가 되는데, 이 실험에서는 평소보다 두 배나 많은 림프구가 HEV에 붙어있었다. 에반스 박사는 이 이유를 “열이 림프구와 HEV를 흡착시키는 단백질인 ICAM-1과 CCL21라는 수용체를 활성화했기 때문”이라고 ... ...
이전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2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