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진"(으)로 총 7,556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홍채 고유한 내 안의 우주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물론 세상에 완벽한 것은 없어서 홍채를 해상도 높은 카메라로 찍어 프린트한 사진으로 일부 홍채인식기를 속일 수 있다.또 돈을 들여 의안을 만드는 방법도 있지만 위조를 방지하는 기술 역시 발전했다. 김재희 연세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팀이 개발한 기술은 홍채인식을 할 때 양쪽 눈에 각각 ... ...
- INTERVIEW. "좋은 질문을 하는 젊은 과학자들에게 기회를"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찾았다.“사람들이 저를 두고 ‘미친 여자’라고 비웃었죠.”아다 요나트 박사(왼쪽 사진)는 ‘흙수저’ 과학자다. 가난한 가정에서 자라 청소와 탁아, 개인교습, 슈퍼마켓 점원 등 안 해본 일이 없다. 어렵사리 과학자가 됐지만, 이번엔 ‘비주류’였다. 1979년부터 리보솜의 구조와 유전적인 원리를 ... ...
- [Tech & Fun] 이색 악기 패밀리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볼 수 있다. 사람 머리카락 두께(약 200μm)보다도 훨씬 작고, 적혈구와 비슷한 크기다(옆의 사진은 크게 확대한 것).이 악기는 전기회로를 어느 수준까지 작게 만들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만들었다. 현에 레이저빔을 쏘면 떨리면서 소리를 낸다. 이 소리는 주파수가 약 40MHz로 실제 기타의 13만 배, 즉 ... ...
- [Tech & Fun] 모자를 벗지 않는 사람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가장 깊고 은밀한 장소이건만, 그 문에 도착할 때까지 잠긴 곳은 하나도 없었다. 윤환은 사진과 영상으로만 확인했던, 높고 견고하며 이국적인 복도를 곁눈질로 살피면서 한 손으로 문을 밀었다.문이 열리자 사람 형체 둘이 그를 맞이했다. 한 명은 의자에 앉아서 윤환을 지켜보고 있었고, 다른 한 ... ...
- Part 1. 연속 대지진을 부른 ‘불의 고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우리 시간으로 4월 14~16일에 걸쳐 강진이 발생한 일본과, 4월 17일 M7.8 규모의 지진이 일어나 쑥대밭이된 에콰도르는 모두 태평양판의 가장자리에 위치해 있어요. 이 지역을 연결한 곳을 ‘환태평양조산대’ 또는 ‘불의 고리’라고 부르지요. 불의 고리에서 큰 지진이 계속 일어나는 이유는 대체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발명왕 ‘ 머라도 다맹그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큰 소리로 말했다.“이런! 이 사진들이 뭔가 좀 이상해요. 분명 도둑이 지나가면서 사진을 흐트러 놓은 것 같아요. 도와 주세요, 썰렁홈즈!” 설계도를 훔쳐간 도둑은 누구?드디어 도착한 연구실에는 밖으로 난 큰 창문이 활짝 열려 있었고, 봄바람이 살랑살랑 불어오고 있었다. 그때! 강한 ... ...
- [특별 이벤트] 수학자를 이겨라!수학동아 l2016년 10호
- 동안이나 이야기꽃을 피우다가 아쉬움을 뒤로 한 채 혜화역으로 향했어요. 마지막 기념사진을 남기는 것도 잊지 않았지요.김종락 교수는 “만약 혼자서 했다면 중도에 포기하고 말았을 것”이라며, “학생들이 협력하면서 할 수 있는 수학적인 체험 게임을 할 기회가 많아지면 수포자를 줄이는 데 ... ...
- [수학동아클리닉] 거꾸로 교실에 담은 행복수업 2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선생님이 아닌 아이들이 주인공인 거꾸로 교실은 다양한 수업 활동이 가득하다. 철옹성 같던 아이들의 마음을 움직인 활동은 어떤 것이었는지 살펴보고, 활동 개발에 숨은 뒷이야기도 들어 보자.거꾸로 교실 인기 게임지난 호에 소개한 ‘삼각비 땅따먹기’ 게임은 수업에 시큰둥하던 학생들에게 ... ...
- [과학뉴스] 알고 보면 더 신기한 ‘더블 이클립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시야를 가리며 지나가는 동안 달이 태양 앞을 통과하는 매우 드문 이벤트다. 촬영한 사진과 영상은 NASA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됐다.NASA는 이번 관측을 통해 지구 그림자와 달 그림자에 확연한 차이를 발견했다. 지구의 그림자는 흐릿하게 찍힌 반면, 달의 그림자는 선명하게 찍힌 것이다. 연구팀은 ... ...
- [Knowledge] 치아와 쇄골은 ‘뼈의 신분증’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흔적을 가질 확률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아검색 프로그램에 따르면 100쪽 치아 사진처럼 32개의 치아가 모두 나있고 그 중 어금니 4개에 치료 흔적을 가진 사람을 찾을 수 있는 확률은 약 0.02% 밖에 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프로그램의 개발에 힘입어 최근 필자가 근무하는 미국 국방성 합동 ... ...
이전2742752762772782792802812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