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깥
외부
노천
겉
표면
야외
옥외
d라이브러리
"
밖
"(으)로 총 5,740건 검색되었습니다.
시간 공장, 새해를 만들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1호
하거든요. 그게 바로 세슘원자였죠. 참고로 세슘원자시계는 30만 년에 1초의 오차
밖
에 나지 않는답니다.그래서 저는 여기에 있는 세슘원자시계를 잘 관리해 정확한 1초를 만들고‘HLA’라는 방송국을 통해 우리나라 곳곳으로 정확한 시간을 보내 준답니다. 요즘은 세슘원자시계보다 10배나 더 정확한 ... ...
이산화탄소 배출 주범은 주요 산업국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거대한 습곡산맥이나 해구, 호상열도 등이 발달하고 화산과 지진이 활발하다블랙홀 안과
밖
의 경계를 말한다 빛이나 물질이 사건의 지평선에 다다르면 더 이상 빠져나오지 못한다 그래서 사건의 지평선 안쪽은 보이지 않는다물질은 소용돌이처럼 블랙홀로 빨려 들어간다 이때 속도가 점점 빨라지고 ... ...
과학동아 1월호 특별선물 액정온도계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온도계처럼 현재 온도를 숫자로 바로 볼 수 있지만 건전지가 필요 없다. 게다가 두께가 1mm
밖
에 되지 않아 책갈피로 갖고 다니며 필요할 때마다 꺼내 쓸 수 있고 어디든지 걸 수도 있다.이런 온도계를 가능케 한 일등공신은 바로 ‘액정’이다. 대부분 물질은 액체 상태일 때 입자가 불규칙하게 ... ...
그믐달에서 보름달까지 변하는 '내 방 안의 달'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큰 영향을 미치는 태양과 달. 그 중에서 달은 크기가 태양의 400분의 1
밖
에 되지 않는 작은 천체다. 그렇다고 인류가 달의 중요성을 태양의 400분의 1 만큼 느끼는 것은 아니다. 지구의 위성인 달은 스스로 빛을 내는 항성인 태양에 비해 그 지위가 한참 낮지만 인류에게 달은 밤을 밝히는 존재로 낮을 ... ...
우주에서 가장 빠른 별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4호
빨라진 것들이에요. 그러나 이번에 발견된 별은 초신성이 폭발할 때 균형이 어긋나
밖
으로 튀어 나오면서 속도가 빨라졌어요. 과학자들은 이 별이 너무 빨라서 수백만 년 후에는 은하계를 벗어나 외롭게 우주를 방황하게 될 거라고 예측하고 있어요 ... ...
고흐에겐 뭔가 특별한 것이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4호
어두운 부분이 자연스럽게 보인다. 귀 뒤의 갈색 머리칼이나 소매의 색깔이 윤곽선
밖
으로 삐져나가도 밝기가 크게 차이나지 않으면 두드러져 보이지 않는다.비밀3 캔버스에 눈길 정거장 세우기엥? 갑자기 캔버스에 무슨 정거장을 만드냐고? 이건 캔버스를 넓히는 비법이야. 물론 크기가 정해진 ... ...
형사 고제트의 크리스마스 과학 대소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4호
자동폭파된다는 것을기억하게.- 새 국장 김정하 교수 -”역시 위기의 순간엔 국장님
밖
에 없어. 벌써 내 슈퍼컴퓨터가 무인 자동차에 대해서 알아 냈군.무인 자동차란, 사람이 운전하지 않아도 움직이는 자동차를 말하는군. 그러니까 아예 사람이 타지 않아도 목적지를 찾아갈 수도 있고, ... ...
까악~! 까마귀 자판기로 돈을 벌겠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3호
군을 막고 나서는 모지란 양. 역시 이기발 군의 허황된 꿈을 막을 사람은 모지란 양
밖
에 없는 듯하다.“기발 씨, 그러지 말고 좀 더 실용성이 높은 다른장치를 만들어 봐. 머리가 좋은 동물로 침팬지 같은 영장류도 있잖아? 그러니까 차라리 영장류랑 동업을 할 수 있는 장치는 어때? 똑똑한 내가 ... ...
후~! 아빠 때문에 성적이 떨어졌디고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1호
설명을 하는 동안 제트가 빨려 들어가듯 담배 연기 속으로 들어간다. 그러자 제트 창문
밖
으로 휙휙~ 검은 분자들이 지나간다.“저건 뭐죠?”“놀라실 거 없습니다. 하루에도 몇 번씩 한대만 씨께서 들이마시고 있는 발암물질이거든요.”비주류 담배 연기담배가 직접 타면서 나오는 연기로, 주류 ... ...
명예기자가 과학을 말로 재미있게 잘!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0호
식물의 뿌리는 물을 빨아들이는 힘이 약해집니다. 그래서 수분 손실을 막으려고 물을
밖
으로 내 보내는 증산작용을 하는 잎들을 다 떨어뜨리고 다시 따뜻한 봄이 올 때까지 추운 겨울을 무사히 보내지요. 낙엽을 밟으면 가을의 정취를 흠뻑 느낄 수 있지만 낙엽을 치우느라고 고생하시 는 환경 ... ...
이전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2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