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토지
지면
육지
대지
흙
대륙
뭍
d라이브러리
"
땅
"(으)로 총 3,793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원화성(華城) - 2백년 역사의 성벽에 숨은 지혜3가지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이를 막을 수 있다. 비나 눈이 와도 물이 성벽으로 직접 스며들지 않고, 미석을 타고 바로
땅
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를 통해 우리 조상들은 ‘물질이 상태가 변화할 때 부피가 변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지혜 둘, 돌쌓기전통적으로 성벽을 쌓는 방법은 먼저 돌을 쌓고 성의 안쪽 ... ...
요일 이름에 담긴 음양오행과 점성술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다 자라자 아버지로 하여금, 그동안 삼킨 자식을 줄줄이 토해내게 하고는 미지의
땅
으로 귀양 보내 버립니다. 이로써 크로노스는 그리스 신화의 무대에서 사라지지요.그런데 로마 제국이 융성해짐에 따라 로마 신화가 발생하지요. 독창적인 신화가 아니라 대부분 그리스에서 꾸어 간 신화여서 ... ...
② 지능ㅣ제갈길 알아서 찾아가는 로봇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초음파를 감지하는 다른 센서는 도망가지 않고 마치 죽은 것처럼 날개짓을 하면서
땅
으로 떨어지는 행위를 취하게 한다.이런 행위를 보면 얼마나 지능적인가. 이렇듯 생명체는 많은 수의 단위 행위, 혹은 여러개의 단위행위를 포함하고 있는 복잡한 행위들로 구성돼 있다. 센서신호가 주변 상황에 ... ...
봄밤 하늘에서 만난 이도령과 성춘향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그런데 과연 거북이가 말 한대로, 하늘을 흐르는 은하수말고도 작은 강이 있고 그게
땅
의 강과 연결돼 있었던 것이다. 그때 시간이 한참 흘러서 별이 지고 해가 떠오르기 시작했다. 그러자 세남매는 너무 하늘 높이 올라온 탓에 햇빛을 견디지 못하고 그대로 녹아서 하늘에 붙어 버렸다고 한다 ... ...
적외선 투시카메라보다 월등한 뱀의 시력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동물이 살아가는 환경과 생활방식의 차이, 그리고 그에 따른 적응과 진화를 나타낸다.
땅
속에서 생활하는 두더쥐는 명암을 제외하곤 거의 사물을 감지할 수 없는 빈약한 눈을 가지고 있다. 어둠 속에서는 어차피 시각이 크게 중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땅
위의 바깥세상에서는 빛의 양이 중요한데, ... ...
별자리 찾기 도시하늘이 더 쉽다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1등성이 수놓았던 겨울 별자리는 뉘엿뉘엿 서쪽하늘로 넘어간다. 잠시 후 사자자리가
땅
을 박차고 솟아오른다.사자자리는 머리와 가슴에 해당하는 여섯개의 별이 좌우가 바뀐 물음표 모양을 하고 있어서 찾기 쉽다. 물음표 맨 아래의 별이 사자자리에서 가장 밝은 레굴루스다. 두번째로 밝은 ... ...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 아기예수의 탄생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수직으로 쌓았을 것이다. 그러나 그림 복판에 시점을 고정하고 봤을 때 담하고
땅
바닥에 물리는 경계를 보면 조금 비스듬하게 기울었다. 나무 지붕도 맨눈으로 경사도를 측정하긴 어렵지만 꽤 가파르게 경사가 졌다. 빗물이 고이면 썩을까봐 경사를 준 것 같다. 지붕에 올라앉은 까치는 기쁜 소식을 ... ...
적도에서 해는 어떻게 뜨고 질까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정답은 없다. 그림에서 보듯이 적도 지방에서 낮 동안 해는 언제나 반원을 그린다.따라서
땅
밑에 그려지는 반원을 밤이라고 생각하면 밤낮의 길이가 항상 같아야 한다는 사실을 쉽게 깨달을 수 있다 ... ...
킥보드의 물리학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것이다. 마찰계수가 적으면 뒷바퀴가 제대로 멈추지 못하고 미끄러져서 결국 바퀴가
땅
에서 어느 정도 굴러가게 돼, 제동거리가 길어지는 한 요인이 될 수 있다.그렇다면 앞바퀴에 제동장치를 달면 어떨까. 실제로 앞바퀴에 브레이크 장치가 있는 킥보드도 있다. 이 경우에는 발로 제동장치를 누르는 ... ...
화성과 금성 나타내는 행성기호 ♂ · ♀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않는 헤파이스토스의 그물에 갇혀 버린 것입니다. 헤파이스토스가 전날 대장간에서 뚱
땅
거리면서 만든 것은 눈에 보이지 않는 그물이었답니다. 그러니까 아프로디테와 아레스는 보이지 않는 그물에 두마리 새처럼 갇혀 버리고 만 것이죠. 그것도 알몸으로.♀과 ♂는 천문학 기호헤파이스토스는 ... ...
이전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2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