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소형모듈원전(SMR), 기후위기 구원투수될까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뉴스케일파워는 지난해 설계인증을 받은 데 이어, 2023년 건설·운영 허가를 신청하고 2025년까지 허가 취득 후 2029년 상업 운전 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한국 정부는 지난해 12월 제9차 원자력진흥위원회에서 혁신형 SMR 개발을 공식화하고 한국수력원자력과 한국원자력연구원을 주축으로 SMR 기술 ... ...
- [과학동아 x 긱블] 우리 이번엔 좀 진지하다, 영화 ‘업’ 하우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영화죠. 하지만 집 위에 수만 개의 풍선을 매달고 하늘을 둥둥 떠다니는 장면만큼은 10여 년이 지난 오늘까지도 행복감을 느끼게 해줍니다.긱블은 바로 이 장면을 재현해 풍선을 매달고 공중으로 떠오르는 집을 만들어 보려 합니다. 우선 풍선은 시각 장애인 풍선 아티스트인 고홍석 작가가 ... ...
- [4컷 만화] 최소한의 유전자로 산다! 미니멀 인공생명체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9호
- 적은 유전자로 살면서 제대로 증식까지 하는 인공생명체를 만들었다고 발표했어요. 5년 전 미국의 크레이그 벤터 박사는 미코플라스마라는 세균의 유전자 수를 줄여서 단 473개의 유전자만을 가진 ‘JCVI-syn3.0’이라는 인공생명체를 만들었어요.단순한 구조로 약 4000개의 유전자를 지닌 대장균과 ... ...
- [기획] 물곰 너는 누구냐?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9호
- 물속을 헤엄치는 곰 같아서 ‘물곰’이라고도 불려요. 물곰은 약 5억 4000만년전인 캄브리아기부터 지금까지 진화해왔다고 추정돼요. 곤충, 거미, 갑각류 등 절지동물과 가까운 친척이죠. 지금까지 발견된 물곰이 1300여 종에 달할 정도로 다양하게 진화했어요. 대부분의 물곰은 육상 이끼에서 사는데, ... ...
- [통합과학 교과서] 옹당촌에 옹고집이 둘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9호
- ‘holos’와 그림이라는 뜻의 ‘gram’을 합쳐 홀로그램이라고 이름 붙였죠. 그 공으로 1971년에 노벨물리학상을 받았답니다. 통합과학 넓히기 먹을 수 있는 홀로그램?! 2월 17일, 아랍에미리트 칼리파대학교 기계공학부 하이더 버트 교수팀은 먹을 수 있는 재료만으로 무지개 홀로그램을 새길 수 ... ...
- 질문하면 답해 ZOOM!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9호
- 온도계에서 나온 표현이지요. 그러나 수은이 몸에 나쁘다는 이유로 우리나라에서는 2015년 이후로 수은 온도계가 팔리지 않고 있답니다. Q왜 오줌은 어쩔 땐 노란색이다가 어쩔 땐 투명한가요? 권주원 (poohnuli)A오줌은 피 속의 노폐물과 수분이 신장에서 걸러져서 만들어진 액체예요. 95% 이상이 ... ...
- [수학뉴스] 피타고라스보다 1200년 앞선 삼각법 흔적 나왔다수학동아 l2021년 09호
- 의해 널리 알려져 ‘피타고라스 정리’라는 이름이 붙었는데요. 고대 그리스보다 1200년 앞선, 즉 지금으로부터 약 3700년 전의 고대 바빌로니아 유적에서 최근 피타고라스 정리가 확인됐습니다. 대니얼 맨스필드 호주 뉴사우스웨일스대학교 수학 및 통계학과 교수팀은 1894년 이라크 바그다드 ... ...
- [수학뉴스] 싱크홀, 내 발 밑이 위험하다수학동아 l2021년 09호
- 이 영화는 500m 깊이의 싱크홀에 빠진 일행들이 탈출하는 과정을 담고 있죠. 2018년 1월부터 시행된 지하안전법에 따르면 싱크홀은 지반이 내려앉아 생긴 구멍의 넓이가 1m2 이상이거나 깊이가 1m 이상 혹은 지반침하로 사상자가 발생한 경우를 말합니다. 지난 8월 11일 대구에서는 깊이 7m의 싱크홀이 ... ...
- [화보] 너의 목소리가 보여!수학동아 l2021년 09호
- 사람과 세상을 이어주면 좋겠습니다. Q 수학동아 독자들에게 한마디 해주세요! 청소년 독자들이 동사형의 꿈을 만들어 보면 좋겠어요. 제가 가장 많이 했던 말은 “내가 가장 행복한 순간으로부터 출발하자”였어요. ‘수화 아티스트’는 동사형의 꿈을 정하고 제가 새로 만든 직업입니다. 제가 ... ...
- [특집] 땅에 묻혀있던 하늘이 드러나다수학동아 l2021년 09호
- 구조와 원리를 연구할 정도로 많은 공을 들였죠. 일성정시의가 만들어지기 3년 전인 1434년에도 시계는 존재했습니다. 장영실과 김조 등이 만든 물시계인 자격루와 해시계인 앙부일구입니다. 하지만 자격루는 이동이 불가능하고 구조가 복잡하며 유지비용이 많이 들었고 앙부일구는 밤에 시간을 ... ...
이전2742752762772782792802812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