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지
내륙
나라안
국내컴퓨터통신망
컴퓨터
통신망
내국
d라이브러리
"
국내
"(으)로 총 5,445건 검색되었습니다.
구름 위에서 즐기는 웹서핑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4월 1일 루프트한자 독일항공이
국내
최초로 인천-프랑크푸르트 노선에 기내 인터넷 서비스인 ‘플라이넷’을 도입했다. 이어 대한항공이 5월 보잉 747-400기종에서 시범 서비스에 들어갔다. 아시아나항공도 올 하반기 서비스를 개시할 예정이다.바야흐로 하늘에서도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시대가 ... ...
황우석 교수 맞춤형 줄기세포 시대 열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경우 부모가 같은 방법으로 동의했다”고 명시했다.황 교수팀은 이번 연구가 올해부터
국내
에서 발효 중인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에도 위배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배아도 하나의 생명체이기 때문에 존중해야 한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수정 후 태아가 되기 전인 2개월까지를 배아라고 ... ...
가상현실로 정신병 치료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여러 번 상황에 노출된 환자의 장애척도가 현격히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최근 이런
국내
외 연구 결과를 반영하듯 일부 병원들도 가상현실치료장치 도입에 적극 나서고 있다. 그 중 지난 5월 13일 경기도 광주 연세대 정신건강병원에 문을 연 가상현실클리닉은 세계에서 처음으로 문을 연 정신분열 ... ...
나노 기술로 거장의 작품을 재현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벌써 27년째 연구실을 이끄는 양동열 교수는 KAIST 제 1호 박사다. 무려 655편의 논문을
국내
외 학술지와 학술대회에 발표했고, 관련 특허만 50건이라는 그는 연구실의 성공비결을 ‘창의적 도전’이라는 한 단어로 요약했다.“불과 몇년 전만 해도 나노 정형 가공에 도전할 계획을 가진 사람은 많지 ... ...
2030년으로 떠나는 시간여행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과학동아 독자들이 훗날 개발할 것도 적지 않을 것이다.순위 ---------- 기술 ----------
국내
실현 시기1 인공위성 추적 및 감시 기술 실용화 20132 1km 규모 기상관측 위성기술 개발 20143 생물 이용 산림생태계 복구기술 실용화 20154 고에너지 밀도의 대형전지용 소재 개발 20145 질병퇴치 천연물과 미생물 농약 .. ...
디카, 과학으로 찍는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지난해
국내
전체 디지털카메라 판매량은 138만대. 처음 관심을 끌기 시작한 2002년 판매량 45만대의 3배에 달하는 성장세다. 올해 예상 판매량만도 180만대, 2007년이면 가구당 보급률 80%에 이르는 기록을 세운다. 여기에 디지털카메라 못지 않은 성능을 자랑하는 카메라폰을 합치면 바야흐로 '1인1디카 ... ...
대학 교수에게 물리 과외받기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응용·보급에 이바지해 왔다. 현재 11개의 분과와 7개의 지부, 6000여 명의 회원을 거느린
국내
정상의 학회다. 네 종류의 학회지를 발간하고 있으며 물리홍보지, 물리용어집과 일반 물리학 실험교과서를 발간해 물리 대중화에도 앞장서고 있다.정답 : 롤러코스터의 속력은 뒷부분이 레일의 꼭대기를 ... ...
1 사람 잡는 19단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그들이다. 수학을 통해 계산력보다 창의성과 사고력, 논리력을 배우기 때문이다.1970년대
국내
에서 암산으로 두자리 수의 곱셈을 해내는 KHM 암산법이 등장해 많은 주목을 받았다. 지금의 19단을 넘어 100단에 가까운 계산법이었다. 그러나 이 암산법은 금새 사라졌다. 한 수학 교사는 “수학을 전공한 ... ...
테라헤르츠파를 쏜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광원과 극초단 레이저나 비선형물질 등을 이용하는 레이저빔이용 광원이 그것이다.
국내
에는 5~6개 연구소와 대학이 두 가지 방법 모두를 이용해 테라헤르츠파 응용 연구에 매진하고 있는데, 그 중 한국원자력연구소는 자유전자레이저를 이용하고 있다.자유전자레이저는 여러 광원 중에서도 ... ...
2 미적분 대란, 대학을 강타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국내
대학의 교수 인력 등을 고려할 때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이야기지만 투자가 부족한
국내
수학계를 지원하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박선화 박사는 “현재 차기 교육과정에서 고교 수학을 대학 교육과 연계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학생들의 부담은 늘리지 않고서 미적분 교육을 ... ...
이전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2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