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포토
포토그라피
그림
화상
초상
회화
형상
d라이브러리
"
사진
"(으)로 총 5,291건 검색되었습니다.
바뀐 규정에 강한 라인트레이서 블루샤크
과학동아
l
201004
블루샤크제조사 오주솔루션┃가격 18만 원해마다 4월이면 다양한 경시대회가 열린다. 경시대회 참가 요강은 매년 조금씩 다르다. 2010년 ‘전국청소년과학탐구대회’ 로켓과학 종목은 주최 측이 준비한 재료로만 겨루도록 규정이 바뀌었다. 참가자가 로켓의 재료나 발사대를 가져올 수 있게 허용하 ... ...
CSI 수사체험 ‘피의 흔적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04
희석한 것이며, 아래
사진
은 각각의 시험관에 루미놀을 분무해 반응을 살펴본 것이다.
사진
에서 보듯이 혈액을 10만 배로 희석했을 경우 맨눈으로는 혈액의 존재를 알 수 없으나 루미놀 용액을 사용하면 확실하게 푸른색 발광이 일어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실제로 실험에 의하면 20만 배 이상으로 ... ...
김연아 선수와 함께하는 2010친환경 동계올림픽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4
위한 공간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지붕에서 땅으로 비스듬히 세워진 홈통(아래
사진
의 화살표)을 통해 모아진 빗물은 정원과 경기장 내 화장실 변기, 빙판수로 쓰이고 있다. 벌레먹은 소나무로 만든 경기장 천장곳곳에 벌레가 먹어 버려지는 수십만 개의 소나무에서 성한 부분만을 잘게 쪼개 이어 ... ...
진짜기자 명예기자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4
2010년 1월 27일 오후. 나 섭섭박사는 연구실에서 꾸벅꾸벅 졸고 있었어요.그런데 어디선가 나의 단잠을 깨우는 소리가 들리는 거예요.“나는 과학과 만화를 사랑하는 어린이과학동아 명예기자이다!”명예기자? 도대체 어떤 녀석들이기에 내가 사는 16차원까지 목소리가 울려퍼지는 거죠?호기심 많은 ... ...
반짝반짝~, 아기별의 탄생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4
별이 태어나면서 그 열기로 뜨거워진 먼지 구름이랍니다. ▲ RCW 49를 찍은 또 다른
사진
이에요. RCW 49 속 아기별들은 먼지에 푹 묻혀 있어서 쉽게 관찰할 수 없대요 ... ...
구석구석 내 몸이 궁금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4
dongascience.com❶ 내가 만든 섭섭박사 실험실!부록을 만드는 모습이나 나만의 놀이 방법을
사진
에 담아 ‘어린이과학동아’ 홈페이지 ‘찰칵찰칵 캐릭터’에올려 주세요. 선정된 친구들에게 선물을 보내 드립니다. (동영상은 hsr@donga.com으로 보내 주세요.)❷ 섭섭박사와 함께 퀴즈 퀴즈 ... ...
과학교과서에서 찾은 수학
수학동아
l
201004
지금까지 수학과 과학이 서로 어떤 관계인지 살펴보았다. 그러면 여기서 알 수 있는 한 가지는? 딩동댕~! 수학과 과학이 이렇게 가까운 관계라면 수학을 알면 과학을 쉽게 할 수 있다는 사실! 수학 문제에도 과학적 상황을 예로 든 게 많기 때문에 두 과목의 공통점만 잘 알아 두면 두 과목을 모두 ... ...
삼각형의 무한 변신!
수학동아
l
201004
실험은 과학시간에만 한다는 편견은 날려 버려~! 아르키매스 박사님이 수학 실험실을 여셨어! 실험을 통해 수학을 만지고 느끼고 수학과 한 걸음 더 가까워질 수 있는 수학 실험! 기대하시라~. 개봉박두!트랜스포머 삼각형 영화 트랜스포머를 보면 도로 위를 쌩쌩 달리는 각종 자동차가 멋진 로봇으 ... ...
거대동물 출현 잦아진 속사정
과학동아
l
201004
프로그램’을 가동했다. 해파리 모니터링 프로그램은 기상자료를 분석하고, 인공위성
사진
에서 물의 온도를 판독한다. 한국연근해 해류의 흐름과 해파리 출몰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노무라입깃해파리의 이동경로를 알아낸다. 또 전문 잠수부를 동원해 크기가 작고 투명한 독성 해파리에 대한 ... ...
우리 천문학자, 허블우주망원경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1004
수리는 성공적으로 끝났고, 1994년 1월 마침내 허블우주망원경은 초점이 선명하게 맞은
사진
을 보내왔다.이명균 교수는 카네기 천문대에서 웬디 프리드먼 박사와 함께 허블상수 과제에 참여했다. 은하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고 우주 팽창률을 계산하는 연구였다. 하지만 계산에 의존한 연구라서 오차가 ... ...
이전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2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