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예사일
상례
d라이브러리
"
보통일
"(으)로 총 3,580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명체 보존 위해 세포가 자살한다
과학동아
l
199307
이른바 '세포 자살'이라 불리는 아포토시스는 생물체를 진화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우리 몸을 이루고 있는 세포가 죽는다면 그것은 바로 생명이 끊기는 것으로 이해 된다. 생명체가 살아 있다는 것은 바로 그 생명체를 이루고 있는 세포가 증식을 계속하고 있다는 의미를 ... ...
KIST 자성합금 연구실장 김희중 박사
과학동아
l
199307
언뜻 생각하기엔 이질적이기만 한 재료공학과 정보화 사회. 그러나 속을 들여다보면 두 분야의 만남은 필연이다. 과학기술 분야를 거론할 때마다 등장하는 단어가 첨단(尖端)이란 말이다. 국어사전에서는 이 단어에 대해 '물건의 뾰족한 끝'이란 설명과 함께 '시대의 흐름이나 유행 따위의 맨 앞장' ... ...
물리- 엔트로피는 시간이 갈수록 증가한다
과학동아
l
199307
눈이나 비가 오는 것을 포함해 이 세상에서 일어나는 모든 사건은 물리적으로 보면 에너지 변환과정에 불과하다.우리는 보통 사무실에서 사무를 보거나 연구실에서 연구를 하는 것도 일을 한다고 말한다. 그러나 이는 물리적개념으로는 '일'이 아니다.물리적인 일은 힘이 작용해야 하고 그 힘으로 ... ...
물병자리 델타 유성군의 장관
과학동아
l
199307
오는 26일에 지구에 접근하는 소행성 에로스에 망원경의 초점을 맞춰보고 중순부터 시작되는 물병자리 별똥별의 장관을 감상해보자.장마가 시작되는 7월은 덥고 습도가 높아 짜증나는 계절이다. 그래서 아마추어 천문가들에게는 가장 빨리 지나갔으면 하는 달이기도 하다.그러나 아무리 장마철이 ... ...
생물- 하루에 4∼6회씩 오줌을 누어야 하는 이유
과학동아
l
199307
배설은 소화나 호흡 못지 않게 중요한 신체의 기능이다. 콩팥의 다양한 기능을 중심으로 배설의 중요성을 알아보자. 인간의 신장(콩팥)은 두개로 강낭콩 모양의 기관인데 크기는 주먹만하다. 이들은 등쪽 척추 양쪽 체벽에 위치하고 있다. 오른쪽 신장의 상부에는 간이 있기 때문에 그 위치가 왼쪽 ... ...
PC통신 공개자료실
과학동아
l
199307
소프트웨어 불법복제에 대한 여론이 들끓고 있는 가운데 PC통신의 공개자료실이 새로운 관심을 끌고 있다. 단지 전화요금만으로도 훌륭한 프로그램을 얻을 수 있는 '숨은 진주가 가득한 보물창고'자료실로 찾아가 보자.컴퓨터를 사용하면서 가장 필요한 것으로 많은 사람들은 소프트웨어를 꼽을 것 ... ...
잠자리의 일생
과학동아
l
199307
독특한 눈, 가벼우면서 힘이 좋은 날개, 육식성 먹이만 게걸스럽게 먹어치우는 강한 턱을 가진 잠자리의 생태를 자세히 알아보자.약 4억년 전 스코틀랜드의 고생대 데본기 상부 지층에서 발견된 톡토기의 일종(Rhyniella praecursor)이 곤충화석으로는 가장 오래된 것이다. 그러나 곤충의 기원은 좀더 빠 ... ...
(3) 보석감정 어떻게 하나
과학동아
l
199307
한 다이아몬드에 대한 평가는 시대와 나라마다 또 평가자의 주관에 따라 모두 다를 수 있다. 그러나 캐럿(carat) 색(color), 순도(clarity), 커팅(cutting)의 이른바 「4C」는 지금껏 변하지 않는 기준이 돼왔다.중동지역에서 나는 식물의 한 종류인 캐럽(carob)은 세례자 요한이 광야에서 이것으로 요기를 했다 ... ...
화학- 돌턴의 원자가설, 그 허와 실
과학동아
l
199307
물질의 기본단위인 원자나 분자는 질량을 숫자로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다. 진정한 의미의 화학은 물질세계를 수치화하려는 노력에서 출발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화학이 어렵게 느껴지는 여러가지 이유 중의 하나는 자주 등장하는 수학적 표현 때문이다. 그런데 역사적으로 화학이 학문으로 자 ... ...
윈도우의 등장
과학동아
l
199307
도스 이후의 운영체제로 자리잡고 있는 윈도우에 대한 관심이 높다. 멀티 태스킹이 가능한 그래픽 환경, 철저한 사용자 편의 등은 윈도우만이 가진 강점이다. 더욱이 최근의 프로그램 개발 방향 역시 윈도우에 맞추어져 있는 실정. 이같은 추세는 앞으로도 계속될 전망이며, 이에 '과학동아'에서는 ... ...
이전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2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