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노하우
비결
비법
노우하우
기술
d라이브러리
"
기술정보
"(으)로 총 3,629건 검색되었습니다.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212
전자기방식 라인센서테니스경기의 판정시비 잠재울 듯테니스경기의 판정시비를 잠재워 줄 '코트의 해결사'가 등장했다. 오스트레일리아의 두 엔지니어가 만든 이 라인센서(line sensor)에는 TEL(Tennis Electronic Lines)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레이저빔을 이용했던 기존의 라인센서와는 달리 TEL은 전자기에 ... ...
(2) 사운드카드
과학동아
l
199212
옥소리 사운드마스터 등 국산 사운드카드가 홍수를 이루고 홈컴퓨터시장이 활성화되면서 사운드카드는 갑자기 PC에서 필수적인 내장카드로 인식되고 있다.IBM PC는 뛰어난 기능을 가진 16비트 컴퓨터지만 사운드(sound) 기능은 기존의 8비트 애플 PC에도 미치지 못해 사용자들을 안타깝게 했다. IBM PC는 ... ...
(3) 팩스/모뎀카드
과학동아
l
199212
PC통신이 활발해지면서 내장형 모뎀이 한때 인기를 끌더니 최근에는 팩시밀리와 모뎀을 한장의 카드로 결합한 팩스모뎀카드까지 등장했다.PC에 팩시밀리의 기능을 추가해 주는 PC팩스가 처음 등장한 것은 90년대초다. 당시 PC팩스는 일반 팩시밀리보다 선명한 화질을 제공하고 여러 곳으로 동시에 팩 ... ...
2 호르몬에서 항암제까지 얻는다
과학동아
l
199212
생물공학의 여러 분야중에서 가시적인 성과가 가장 두드러지는 의약품 부문은 미래에도 바이오테크놀로지 전반을 이끌 것이다.흔히 생물공학(바이오테크놀로지)은 돈많은 나라들의 학문영역으로 알려져 있다. 막대한 연구비와 인력이 장기간 뒷받침돼야 성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점에 있 ... ...
과학동아가 선정한 '92 국내외 과학기술계 10대뉴스
과학동아
l
199212
올해도 국내외의 과학기술계는 다사다난한 한해였다. 급변하는 국제정세만큼 과학기술도 눈부신 발달을 거듭하고 있다. 그 가운데 과학기술계 10대 뉴스는 어떤 것들인가.국내1. 우리별 1호 발사 성공지난 8월11일 우리나라는 작지만 의미있는 과학실험위성 '우리별1호'를 우주상공에 쏘아올렸다. 한 ... ...
명령어와 파일의 알쏭달쏭한 관계
과학동아
l
199212
도스의 핵심은 파일관리다.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파일을 자신의 컴퓨터에서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면 당신은 이미 초보자의 수준에서 벗어났다고 말할 수 있다.컴퓨터를 잘 다루려면 명령어를 잘 알아야 한다는 것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그런데 명령어란 주로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CPU)더러 ... ...
1. 고집적 어디까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211
21세기초 메모리 반도체의 집적도가 G(기가)급에 도달하면 현재의 기술 구조로는 도저히 돌파할 수없는 장벽이 나타날 것이다. 인류는 과연 이 장벽을 새로운 기술로 극복할 수 있을 것인가지난 20여년간 반도체기술 및 산업은 그야말로 눈부시게 발전해왔다. 그 효과는 특히 컴퓨터기술과 정보산업 ... ...
노지카박물관
과학동아
l
199211
해양환경보호와 해양의 합리적 이용을 일반인에게 일깨워주기 위한 해양과학관이 국내에도 곧 건립될 예정이다. 이와관련 프랑스의 선진 해양기술과 미적감각 그리고 환경보존 의식이 한데 어우러진 노지카 해양과학박물관의 모든 것을 알아본다.해양은 인류의 마지막 자원 창고이며 지구의 또다 ... ...
1. 세계각국의 비디오텍스
과학동아
l
199211
문자정보 뿐만 아니라 그림정보를 통신이용자들에게 서비스하는 비디오텍스는 프랑스의 텔리텔 서비스가 가장 대표적이다. 우리나라는 86아시안게임과 88서울올림픽을 앞두고 천리안 서비스가 시작됐고, 올해 들어 데이콤과 한국 PC통신이 잇다라 비디오텍스 서비스를 개통하면서 본격화하고 있다 ... ...
3. 64메가 D램 개발 공방 내막
과학동아
l
199211
최첨단 반도체인 64메가D램을 서로 먼저 개발했다고 공을 다투는 삼성과 현대. 그러나 이 제품은 국책과제로 이들과 전자통신연구소가 공동개발 한 것이다. 과연 64메가 개발로 한국은 메모리분야에서 일본을 추월한 것인가?지난 9월말 삼성전자와 현대전자가 '누가 먼저 64메가D램의 개발했는지'를 ... ...
이전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2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