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자
구성원
극소량
티끌
미립자
분자농도
농도
뉴스
"
분자
"(으)로 총 3,357건 검색되었습니다.
그래핀으로 진공압력 측정하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6.12.29
사이에 나노 크기의 균일한 기공을 만들었다. 기공에 들어온 기체
분자
의 양이 많아지면
분자
사이의 간격 역시 좁아져 인력이 커진다. 이때 기공 크기가 변화하며 그래핀 조각 간의 간격 역시 좁아지고 그 결과 전기전도도 변화로 나타난다. 전기전도도 변화를 기준으로 진공상태 여부를 파악하는 ... ...
서울대 공대 학생과 동문이 뽑은 ‘미래 바꿀 7대 기술’은?
과학동아
l
2016.12.29
것이다. 예를 들어 위선암이나 폐선암은
분자
생물학적 진단기법으로 관찰하면 특정
분자
와 관련된 유전자 변이가 원인이다. 앞으로는 병이 난 부위가 달라도 ‘EGFR변이 암’처럼 부를 가능성이 있다. 치료도 개인 맞춤형으로 다가설 것이다. 연구실에서 개발 중인 자율주행자동차. 주변을 360°로 ... ...
"인공지능이 메르스 등 감염병 예방" 10대 미래기술 발표
동아사이언스
l
2016.12.27
나날이 활발해져 가고 있습니다. 세포 수준에서 DNA나 RNA 등 유전체 정보를 분석하고 그
분자
적 특징을 이해하면 암 등의 질병을 맞춤형으로 치료할 수 있습니다. 재생이 필요한 세포를 외부 조작 없이 몸 안에서 직접 만드는 생체 내 직접교차분화 기술은 재생의학의 전환점이 될 전망입니다. ... ...
인체에 치명적인 ‘염증 반응’ 억제할 방법 새롭게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27
염증을 만드는 효소를 억제하는 간접적 방식을 이용해왔다. 전 교수가 소속된 동물
분자
유전육종사업단의 이학교 단장은 “새롭게 밝혀진 자가포식의 염증 반응 조절 기전은 급성 감염을 비롯한 다양한 염증 질환 치료 연구의 원천 기술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
세균의 내독소, 우리 몸속에서 어떻게 움직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6.12.26
김 교수는 “이번 연구는 세균의 내독소가 체내 단백질들과 어떻게 상호작용 하는지
분자
수준에서 최초로 밝힌 것”이라며 “이를 통해 선천성 면역반응이 일어나는 과정을 이해하고 더 나아가 패혈증 예방 및 치료제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세균 중 '그람음성균'에 ... ...
[카드뉴스] 눈결정에 대한 궁금증 4가지
동아사이언스
l
2016.12.25
건 물
분자
들이 결정격자를 이룰 때 육각형 형태를 띠기 때문입니다. 즉 결정의 형태에는
분자
의 배열이 반영된다는 말이죠. 복잡한 잔가지가 생기는 이유는 습도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는 눈결정의 모서리 쪽에 상대적으로 수증기가 모이게 됩니다. 따라서 모서리가 더 빨리 ... ...
샴페인을 긴 잔에 따라 마셔야 하는 이유는?
동아사이언스
l
2016.12.24
흐름이 막히는 곳이 생긴다(a). 입구가 좁고 긴 잔에서는 거품이 잔 전체를 휘돌며 향
분자
를 가두게 된다(b). - 유럽물리학저널 제공 한 해를 마무리하고 새해를 맞이하는 연말, 끊임없이 술을 찾는 자리가 많은 시기다. 샴페인에에 대한 글을 드리면서 동시에 한 해동안 동아사이언스를 사랑해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6)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분자
를 발견한 '해리 크로토'
2016.12.19
각각 탄소원자가 위치하는 구조였다. 이들은 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한 논문에서 이
분자
에 버크민스터풀러렌(buckminsterfullerene)이라는 다소 긴 이름을 붙였다. 크로토가 지오데식 돔을 디자인한 버크민스터 풀러(Buckminster Fuller)를 떠올려 제안했다고 한다. 비록 일류 저널에 실렸지만 질량분석 ... ...
드라마 속 ‘공유’ 같은 도깨비, 실존할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6.12.18
위를 굴러가던 돌의 움직임이 어떻게 변할지부터 시작해 복잡하게는 인체 내의 호르몬
분자
, 그에 따른 사람의 기분까지 모두 예측할 수 있다. 하지만 라플라스의 도깨비가 실존하긴 어려워 보인다. 모든 것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엄청난 양의 정보를 갖고 있어야 하며, 끝도 없는 계산과정을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3)계산화학의 선구자, 월터 콘
2016.12.15
존재하는 물질이다. 양자물리학자들은 단일 원자나 원자 두세 개로 이뤄진 간단한
분자
의 전자 에너지를 구하는 방법을 개발했지만 응집물질의 전자는 수많은 원자와 다른 전자들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이를 적용할 수 없다. 콘은 응집물질의 전자의 에너지 분포를 예측할 수 있는 이론을 만드는 ... ...
이전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