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경계
테두리
한도
영역
극한
범주
d라이브러리
"
한계
"(으)로 총 2,895건 검색되었습니다.
구멍뚫린 방사능 오염 감시체제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최대허용농도에 따르면 공기분석이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1m³당 0.74mBq 이 허용
한계
. 따라서 제주지역의 연평균 부유분진의 방사선농도는 허용치의 13배, 5월중 평균치는 허용치의 1백배에 이른 셈이 된다. 또 일일최고치로 기록된 부산(5월중)지역의 방사선농도는 거의 1천배를 초과한 것이 된다 ... ...
초전도 물질의 실용화에 돌파구 열어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초전도연구에 열을 올리게됐고 올해들어와 하루가 다르게 초전도가 일어나는 온도의
한계
치(임계온도)가 높아지고있다. 현재 고온(高溫) 초전도물질로 각광을 받고 있는 것은 뮐러팀이 만들어낸 란타늄(La)-바륨(Ba)-산화구리(CuO)와 이트륨(Y)-바륨(Ba)-산화구리(CuO)의 화합물이 대표적인 것으로 ... ...
금세기 최대의 흥미거리 인공지능의 상품화는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기업에서 해야 할 최우선의 과제는 자체 인력의 확보와 양성에 있다. 인공지능의 저력과
한계
를 명확히 파악하여 앞을 내다보고 투자하는 기업만이 앞으로 다가오는 인공지능의 기업화 시대에 주인이 될 것이다 ... ...
미진동제어법을 새로 개발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산업용 로봇은 산업일선에서 일간을 도와 많은 일을 해내지만 문제가 없는것은 아니다. 한가지 예를들면 팔(arm)의 끝부분이 소정의 위치에 고정하여도 한동안은 ... 최고 60%밖에 안되었다. 이에비해 새 방식은 진동 발생 자체가 적어지고 제어율의
한계
라는 80%까지 진동이 억제된다는 것 ... ...
초음파로 교신하는 바다의 신동 돌고래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돌고래는 조련사와 사이에 음신(音信)으로 교신한다. 그러나 이러한 소리는 낮은 가청
한계
를 지닌 사람도 들을 수 있는 소리이고, 그들의 소리는 대부분 초음파의 영역에 속해 있다.서울대공원에서의 돌고래쇼에서는 음신의 도구로 무성호르라기(silent whistle)를 쓰고 있는데, 이 소리는 꽤 높은 ... ...
AIDS, 드디어 한국인끼리 인삼찻집 종원까지도 검진실시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않을 수 없는 것이다.이런 우려에도 불구, 방역당국의 감염 및 전파 경로 추적엔
한계
가 있는 형편이다. 특수접객부 1만2천여명에 대한 항체양성검사를 연2회로 강화 실시하고 있으나 완벽한 검사는 실제 기술적으로 불가능한 실정이다.9월10일 보사부는 올해안에 전국 규모의 예방대책을 수립했다. ... ...
두뇌산업에 가해지는 과학의 메스「소프트웨어 위기」를 극복한다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절차는 개발기술의 향상 현황을 학문적 차원에서 다루어본 것이다. 그러나 개발기술의
한계
는 소프트웨어 위기의 극복 방안을 넘지 못하고 있는 것이 또한 현실이다. 최근 대형 소프트웨어 시스팀의 필요성이 날로 확장되면서 이제는 단일 소프트웨어 프로젝트에 투입되는 인력이 수십명, 혹은 ... ...
극한의 과학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고체에 압력을 가하면 처음에는 원자간의 거리가 축소돼 부피가 줄어들다가, 어느
한계
를 넘으면 부피가 급격히 줄어들면서 결정을 구성하는 원자의 배열이 바뀐다. 이런 '상전이(相轉移) 현상'이 일어나면 물질의 성질도 변화한다. 그후 압력을 계속 가하면 원자 자체에까지 영향이 미쳐 전자의 ... ...
미래의 반도체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땅에 빽빽히 집을 지으려는 노력에서 벗어나 고층 아파트를 짓는다는 발상의 전환. VLSI의
한계
를 돌파하기 위한 구상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종래보다 용량이 커지고 소자간의 배선이 짧아져 처리 속도가 빨라진다는 게 이 방식의 장점. 생체의 뇌·망막 등의 정보처리계통은 신경세포가 3차원의 ... ...
PART Ⅰ 마이크로 코스모스 사진으로 본 신비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부분적으로는 인간의 두뇌용량을 넘어서고 있다.인간의 가장 민감한 감각기관인 눈의
한계
를 뛰어넘으려는 노력은 이미 16세기에 시작되었다. 네덜란드의 안경제조업자인 '얀센'부자(父子)는 1590년 두개의 렌즈를 조합해 이제까지 볼 수 없었던 작은 세계를 보여주는 현미경을 발명했다. 보다 작은 ... ...
이전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