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루
끌채
픽
d라이브러리
"
채
"(으)로 총 3,739건 검색되었습니다.
고대) 동물사냥 작전회의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바로 그리스 시대의 아이콘이다.예를 들어 신들의 제왕인 제우스는 손에 번개를 든
채
위엄에 가득차 있으면서도 불쾌감을 주지 않는 얼굴이다. 또 덩굴의 신인 디오니소스의 머리에는 덩굴이 표현돼 있다. 의로운 전쟁의 여신 아테나는 투구를 쓴 모습이고, 바다의 신 포세이돈은 폭풍을 일으키는 ... ...
무지개는 왜 원형일까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무지개를 볼 수 있는 이유다. 그러고 보면 물방울은 작은 프리즘인 셈이다.색깔별로 퍼진
채
로 물방울 안에서 진행하던 빛은 물방울과 공기의 경계면에서는 반사한다. 물론 그 중 일부는 공기 중으로 꺾여 나간다. 이때 빛이 공기와의 경계면으로 들어가는 각도와 반사하는 각도는 같다(반사의 법칙). ... ...
현대) 만국 공통언어로 부활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와 자국어(비상문), 그리고 화살표가 추가됐다.키보드로 감정 표현하는 스마일리컴퓨터
채
팅이 활발해지자 간단히 키보드를 두드려 감정을 표현하는 아이콘인 스마일리가 급증하고 있다. 현재 스마일리는 세계적으로 1천여개 이상이 사용되고 있으며, 다른 말로 감정(emotion)과 아이콘(icon)의 ... ...
순간의 역사를 담은 창 필름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은원자의 수가 대폭 증가한다. 현상액이 브롬화은 결정을 인식하고 여기에 전자들을
채
워넣기 때문이다. 그 결과 필름에 새겨진 이미지는 더욱 선명해진다.은원자 덩어리를 제외한 나머지 결정은 정착액(fixer)으로 없앤다. 이제 필름은 더이상 빛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화된 것이다. 이전까지의 ... ...
모세의 기적과 진도의 바닷길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부분을 끝없이 잇따라 돌고 돌아 그치는 때가 없다. 산덩어리의 형세와 얼음덩어리의 광
채
는 그 길이가 몇천리나 되어서 언제나 대지의 허리부분을 감돌고 있다. 그런데 대지의 허리부분에서 멀어질수록 그 여파가 점차 줄어들어 사람들이 살고있는 항구에까지 이른다.” 정약용의 해조론(海潮論)에 ... ...
1945년 노벨생리, 의학상 플레밍, 폴로리, 체인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괴롭혀 온 것은 각종 전염병이다. 19세기까지도 인간의 평균수명이 선진국이더라도 40이
채
안됐고 '반타작이면 다행'(태어난 아기들 가운데 절반이 어른이 될 수 있으면 다행이라는 표현으로, 그만큼 영유아사망률이 높았다)이라는 말이 공공연히 받아들여졌던 가장 큰 원인은 바로 전염병이었다 ... ...
쉽게 할 수 있는 자가치료3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사람은 이런 ‘상처’를 오랫동안 가슴에 안고 산다. 문제는 자신의 장점마저 잊은
채
잘못한 일만을 기억하고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회의가 진행될수록 마음이 가라앉고 농담도 곧잘 하던 자신의 모습은 무시하고, 자신이 잘못한 부분만 기억한다는 말이다. 그 결과 긴장감은 계속 증가하고 ... ...
만유인력을 처음으로 이해한 한국인 최한기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현상에서 원인이 규명돼야 한다고 생각했다. 때문에 그들은 중력의 원인을 세상을 꽉
채
우고 있는 입자들의 소용돌이 운동이라고 생각했다. 입자들은 끊임없이 소용돌이 운동을 하면서 천체를 형성하고 자연의 모든 변화들을 일으킨다고 주장했다.그러나 뉴턴은 오히려 그들의 그러한 설명이 쓸모 ... ...
③ 아인슈타인은 실수하지 않았다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이것은 우리 눈에 밝게 보이는 은하들은 이 우주에 ‘있어야 하는’ 질량의 10%가
채
되지 않음을 뜻한다. 결국 거의 소경이나 진배없는 천문학자들이 우주를 바라보며 연구하고 있다고 해도 그리 틀린 말은 아닌 것이다. 이리하여 문제는 심각해졌다.${10}^{30}$배의 인플레이션관측결과 이외에도 ... ...
재미있는 수학의 패러독스들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입에 오르내리면서도 얼토당토 않은 얘기로 치부돼 일반에 거의 알려지지 않은
채
사장됐던 난제. 물리학자 뢴트겐이 햇빛을 차단해 보관했던 사진건판 때문에 우연하게 X선을 발견한 것처럼 발상의 전환을 통해 해결의 실마리가 마련된 유명한 패러독스. 뢴트겐의 관측은 거짓말쟁이 패러독스와 ... ...
이전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