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운반
전송
수송
정보전달
정보
정보전달매체
매체
d라이브러리
"
전달
"(으)로 총 4,277건 검색되었습니다.
인체의 온도 감지 비밀을 벗긴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관여하고, 감각신경은 실제 어떻게 온도를 감지하며, 어떤 신경망을 이용해 온도신호를
전달
하고, 뇌는 이를 어떻게 해독해 판단하는지가 주요 연구주제다.온도를 감지하는데 필요한 유전자를 밝히는데는 생명체의 특정 유전자를 돌연변이시키는 방법이 주로 쓰인다. 관심이 가는 유전자를 고장낸 ... ...
3 2020년에는 사이버 섹스도 가능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반대방향의 수평력을 없애 손끝에는 오히려 융기를 지날 때 느끼는 방향의 수평력이
전달
됐기 때문이다.마지막 실험에서도 수직력은 융기나 함몰을 느끼게 하는데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 실험은 수평력을 조작함으로써 물체의 형상뿐 아니라 물체 표면의 거칠기도 ... ...
물리학이 경락의 실체를 밝힌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경락에 대한 기능적 특징을 연구하기 시작해 낮은 전기저항을 가진다든지 음파가 잘
전달
된다는 물리적 특징이 알려지게 됐다.경혈∙경락에 대한 3가지 관점그렇다면 경혈∙경락은 인체 내 실제로 존재하는 기관일까.기존 한의학계에서는 기와 마찬가지로 경혈∙경락은 실체가 없고 기능만이 ... ...
뇌 단백질 구조에 따라 기억력 차이나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영향으로 기억력에 차이가 나타난다는 가능성에 힘을 실어줬다.뇌에 존재하는 신경
전달
물질인 세로토닌을 감지하는 수용체 단백질 중 5-HT2a라는 종류가 있다. 이 수용체 단백질의 경우 약 9%의 사람은 이를 이루는 아미노산 중 하나가 티라민이다. 나머지 사람은 티라민 대신 히스타민을 갖고 있다 ... ...
조용한 초음속 비행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때도 마찬가지 현상이 일어난다. 비행기가 날아갈 때는 주변 공기가 밀려나면서 압력을
전달
하는 파동이 소리의 속도로 퍼진다. 그런데 비행기가 음속 이상으로 날아가면 기체 앞쪽으로 퍼지는 파동을 따라잡게 된다. 이렇게 되면 비행기 주변으로 퍼지는 파동이 서로 뭉쳐져 V자형의 강한 충격파가 ... ...
1 21세기, 촉각을 재발견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70%정도만을
전달
할 수 있을 뿐”이라며 “여기에 촉각정보가 더해져 85-90%의 정보가
전달
되면 생생한 현실감이 느껴질 것”이라고 말한다. 머지않아 현대인의 고질병인 감각정보의 편식도 어느 정도 해소되지 않을까 ... ...
전화와 e메일 바짝 따라잡은 메신저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아바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업그레이드됐다.대화 내용 서버 거치지 않고
전달
메신저의 종류는 많지만 대화 내용이 전송되는 방식은 비슷하다. 개인 컴퓨터끼리 직접 연결해 정보를 공유하는 P2P(peer to peer) 방식이다. 이는 하이브리드(Hybrid) P2P와 퓨어(Pure) P2P의 두가지 방식으로 구분된다. ... ...
불지 않고 촛불 끄는 구리의 마술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감은 구리전선을 촛불 바로 위로 재빨리 가져가면 불꽃의 열이 구리전선으로 빠르게
전달
된다. 구리전선에 열을 빼앗겨 불꽃 주위의 온도는 갑자기 양초의 발화점보다 낮아진다. 따라서 촛불이 꺼진다. 그러나 구리전선을 천천히 가져가면 불꽃에 의해 충분히 가열된다. 가열된 구리전선은 불꽃의 ... ...
목숨 걸고 경고음 내는 땅다람쥐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말해 저는 유전자의 관점에서 자연·인간·사회를 본다는 것이 무엇인지를 알기 쉽게
전달
해준 해설가였지 혁명적 발상의 최초 진원지는 아니었습니다. 이 공로는 다윈 이후의 가장 뛰어난 이론생물학자라고 평가받던 영국의 진화생물학자 해밀턴에게로 돌아가야 마땅합니다. 지금 화면에 나오는 ... ...
3 달팽이가 제시한 인간 기억 메커니즘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기억 관련 유전자를 발현시킨다. 이때 생산된 장기 기억에 관여하는 단백질과 신경
전달
물질은 결국 감각 신경세포의 시냅스를 강화시켜 일정 자극을 장기적으로 기억하게 한다.인간의 경우는 어떨까. 두뇌의 측두엽에 있는 해마는 인간을 비롯한 고등동물의 기억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해마의 ... ...
이전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