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안"(으)로 총 11,884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공어초 파헤치기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있어요. 애써 거리를 계산해서 설치했는데 움직여 버리면 안 되겠죠. 그럼 무거울수록 안정적인 것 아니냐고요? 무작정 무겁게 만들면 파도에 쓸려가진 않겠지만 대신 갯벌 아래로 파고들 수도 있습니다. 게다가 제작하고 설치하는 데 쓸데없이 돈이 많이 들 거예요. 끝까지 책임이 따른다이렇게 ... ...
- [영재교육원 탐방 4] 집중하는 영재 기른다수학동아 l2018년 05호
- 받으며 논문을 쓴다. 연구를 하면서 자기주도적 탐구능력을 키우는 게 목적이다. 1년 동안 주제 하나를 정해 연구주제발표 세미나를 2~3번 하고, 사사논문 발표회를 2번 연다. 분야와 주제는 학생이 주도적으로 정한다. 그래서 ‘QR코드의 무늬를 조작해도 인식이 가능할까?’, ‘과일의 스트레스가 ... ...
- Part 1. [롤러코스터] 4차원 뫼비우스 띠?!수학동아 l2018년 05호
- 돌았는데 정확히 나는 출발지의 도로면 반대편에 있어. 이처럼 한 바퀴를 돌아왔을 때 안과 밖이 바뀌는 성질을 ‘비가향’이라고 한대. 즉 클라인 병 롤러코스터도 비가향인거야. 뫼비우스 띠가 있으면 같은 종족 클라인 병은 면으로 둘러싸인 곡면으로, 4차원에 살아요. 1882년 독일 수학자 ... ...
- Part 5. [튤립 정원] 클라인 병 지도 색칠하기수학동아 l2018년 05호
- 병 위에서는 안 통한다는 거야. 이상하지 않아? 정리면 어떤 상황에서도 통해야 하는데 안 되는 게 있다니! 알고 보니 내가 4색 정리에 대해 내가 제대로 복습도 중요하니까 말이야. 몰랐더라고. 너흰 4색 정리에 대해 어떻게 알고 있니? 난 어떤 지도든 서로 맞닿은 구역이 서로 다른 색이 되도록 ... ...
- Part 1. 자율주행자동차, 직접 타보니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드드드득~’.핸들이 돌아가더니 ‘에트리카(Etri-Car)’가 출발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개발한 자율주행자동차다. 5인승 자동차의 뒷자리 ... 얼마나 안전할까Part 1. 자율주행자동차, 직접 타보니Part 2. 자율주행자동차 안전 기술 어디까지 왔나Part 3. 자율주행자동차, 법으로 본 3대 ... ...
- Part 3. 자율주행자동차, 법으로 본 3대 이슈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아침에 집을 나와 저녁에 집에 들어갈 때까지 우리의 모든 행동은 법의 규율을 받는다. 가솔린 자동차의 탄생 이후 자동차는 현대인의 일부가 됐 ... 얼마나 안전할까Part 1. 자율주행자동차, 직접 타보니Part 2. 자율주행자동차 안전 기술 어디까지 왔나Part 3. 자율주행자동차, 법으로 본 3대 ... ...
-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쉽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현재도 무거운 물체를 손쉽고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고안된 근력증강 로봇 기술이 있으니까요. 관건은 이것을 신체와 잘 결합해 제어하는 것입니다. 쉬운 일은 아닙니다. 휴 허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미디어랩 교수는 2014년 세계적 지식강연인 테드(TED)에서 이렇게 ... ...
- Part 4. 미래 산업의 열쇠, 암호과학동아 l2018년 05호
- 계속 보시려면? Intro. 암호기술 혁명, 동형암호Part 1. 현존 가장 안전한 보안기술[INFOGRAPHIC] 암호기술 변천사Part 2. 산업계 지켜줄 첨단 파수꾼Part 3. 개인정보보호법 갈등 해결사Part 4. 미래 산업의 열쇠, ... ...
- [Issue] 애증의 잠, 잘 자려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일종으로 보고 있습니다. 바이러스성 질환인 감기나 신종플루에 걸리면 몸 안에서 항체를 만드는데요, 특히 사춘기에는 뇌 조직과 구조가 급격히 바뀌기 때문에 이런 항체가 엉뚱하게도 뇌의 특정 부위를 공격할 수 있죠. 대부분의 자가면역질환이 이런 이유로 사춘기 때 처음 발병합니다. 낮잠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유전자 그룹의 발현을 돕는 것일까요. 창 교수팀은 혹스 유전자 그룹이 있는 DNA가 세포 안에서 여러 개의 고리 모양을 형성해 혹스 유전자들이 공간적으로 함께 모여 있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습니다(위 그림). 게다가 유전자 발현을 돕는 단백질들이 HOTTIP의 RNA에 붙는다는 사실도 알아냈습니다 ... ...
이전2732742752762772782792802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