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자
구성원
극소량
티끌
미립자
분자농도
농도
d라이브러리
"
분자
"(으)로 총 3,240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 기원의 수수께끼 푼다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옛 DNA는 사라진 세계의 소식을 전달해주는 우편배달부다.
분자
고고학은 옛 DNA를 통해 초기 인류의 기원이나 생활양식에 얽힌 궁금증을 풀어줄 것이다.1993 ... 세계의 소식을 전해주는 우편배달부이다. 미지의 과거 속으로 타임캡슐을 찾아나선
분자
고고학자들의 또 다른 낭보가 기다려진다 ... ...
화학- 독한 술의 짜릿한 느낌은 침속 수소와 결합때 열방출 때문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히드록시기가 유리표면과 결합해 수증기가 유리에 붙는 것을 방해한다.
분자
간의 인력이 비교적 약한 2- 프로판올은 서리제거제가 유리창에 잘 흘러서 고루 퍼질 수 있게 해준다 ... ...
원적외선 방출하는 TV수상기 국내 개발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이것이 지금까지 유일하게 과학적으로 검증된 원적외선의 효과로, 이는 모든 물질이
분자
의 고유진동수를 갖고 움직이는데 원적외선의 진동수가 물질의 진동수와 공명공진해 생체를 활성화한다는 의미다(과학동아 88년 10월호 참조).일반적으로 바이오세라믹스는 20여종의 질토와 금속을 1천 ... ...
지구과학 - 기압ㆍ온도조건 따라 다양한 모양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되면 물
분자
가 규칙적으로 배열해 얼음이 된다(그림2). 액체나 고체 상태인 물에서의 물
분자
간의 결합 방식은 수소 결합으로 물과 얼음에서의 수소결합의 비율이 달라진다. 물이 얼음이 될 때는 수소결합에 의해 빈 공간이 많은 구조가 형성돼 부피가 커지게 된다. 얼음의 밀도가 물보다 작은 것은 ... ...
2. 카오스운동 지배하는 새로운 질서 '끌개'의 비밀을 찾아서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아니며, 비예측성을 지닐 수 있다. 반면 앞서 언급한 물의 대류모델과 같이 수많은 물
분자
들이 비선형상호작용을 하는 아주 복잡한 시스템에서도 스스로 질서구조가 만들어질 수도 있다.많은 자연계가 질서적이면서도 카오스적인 모습을 동시에 보여준다. 춤추는 불꽃, 부서지는 파도, 하늘에 ... ...
삽살개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유전자 가위를 사용해서 자른 후 전기영동 장치를 활용해 아가로스 겔(agarose gel) 위에
분자
량에 따라 전개시킨다. 전개된 DNA를 니트로 셀룰로오스(nitro cellulose) 라는 막으로 옮겨 굳힌 후 이미 준비해 놓은 방사성 동위원소가 접합된 DNA탐침과 결합시킨다.일정 조건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DNA ... ...
화학 - 무늬찍어내기와 반짝이는 글씨쓰기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확인반응으로 많이 쓰이는 반응이지요.반면에 비타민 C는 요오드와 결합해 색이 없는
분자
를 형성합니다. 레몬즙으로 글씨가 쓰여져 있는 부분은 레몬즙에 들어 있는 비타민 C로 종이가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종이의 색깔이 변하지 않는 것이지요.비타민 C의 효과를 더 확실히 알아보고 싶다면, ... ...
동물잡종교배 어디까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경우는 염색체수의 차이로 인해 발생빈도가 낮다"는 게 정일정 박사의 말.서울대 자연대
분자
생물학과 김원(동물분류학)교수는 이같은 인위적인 교배는 정규적인 분류학에서는 큰 의미가 없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하나의 품종이 만들어지는 의미는 일단 자체 생식능력이 있어야하며 자연 ... ...
화학 -
분자
의 질량이 크면 끓는점이 높다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단백질은 아미노산
분자
들이 결합해 이루어진 고
분자
다. 이 단백질
분자
내에는 결합한 질소나 산소에게 전자를 빼앗겨 양의 부분전하를 갖는 수소 원자가 존재한다. 이 수소원자가 같은 단백질 내의 질소나 산소와 만나서 수소결합을 하면 단백질이 입체적인(나선형) 구조를 ... ...
물에 녹여 쓰는 인공적혈구 개발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이래서는 산소운반 역할을 해낼 수 없다.최근에는 헤모글로빈
분자
에 수염을 붙이거나
분자
사이에 다리를 놓아 고정하는 등의 방법이 개발돼 있다. 덩어리를 크게 함으로써 먼저 신장에서 빠져 나가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그러나 대량의 헤모글로빈을 직접 혈관 속에 넣으면 혈액이 끈적끈적해져 ... ...
이전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