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물"(으)로 총 7,739건 검색되었습니다.
- 멍청아! 문제는 배터리야 PART 2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완성했다. 기존 촉매보다 표면적이 넓어서 효율이 높으며, 유독한 화학물질 없이 물로만 만들 수 있어서 안전하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멍청아! 문제는 배터리야 PART 1멍청아! 문제는 배터리야 PART ... ...
- 맨틀에 제2의 바다가 있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맨틀이 녹는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슈만트 교수는 “지하에 바닷물 정도의 물이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는 뜻”이라며 “다른 대륙의 자료를 추가로 조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
- 빛으로 물질을 만든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빛을 이해하는 일이야말로 고대부터 현대까지 물리학의 핵심 주제였다. 빛을 다루기 위해 거울을 사용했던 흔적은 고대 이집트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렌즈도 ... 익숙한 존재면서, 여전히 가장 신비로운 존재고 세상의 비밀 속으로 들어가는 문이다. 물리학자들의 연구를 지켜보자 ... ...
- 달콤한 유리창 품은 바삭한 쿠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넣어 반죽을 살짝 부풀린답니다. 베이킹파우더는 가열하면 산성 물질과 염기성 물질이 반응해 이산화탄소를 내지요. 쿠키가 달콤한 유리창을 품으려면?이제 반죽을 끝냈으니 예쁜 쿠키를 만들어 볼까?반죽을 편평하게 편 다음, 커다란 쿠키커터로 반죽을 자르는 거야.그리고 사탕을 넣어야 하니까, ... ...
- PART 1. 당신의 파도는 안녕하십니까?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다리가 무너지고, 자동차가 휩쓸려가는 영상은 너무도 비현실적이어서 마치 미니어처에 물을 부어 찍은 동영상이 아닐까란 의심이 들게 한다. 과학적인 눈으로 다시 보면 쓰나미는 ‘파도’다. 해수욕장에서 발가락을 간질이는 그 파도 맞다. 그저 워낙에 거대한 에너지가 한 번에 전달됐기 때문에 ... ...
- [hot science] 달의 여신의 눈빛, 루나 스월과학동아 l2014년 07호
- 그렇다면 스월이 있는 지역에서는 이런 ‘노화’가 없었던 걸까. 그리고 왜 하필 물이 흐르거나 소용돌이가 치는 듯한 모양인지도 수수께끼다. 두 번째 수수께끼는 이 지역에서 자기장이 검출된다는 사실이다. 원래 달은 지구와 달리 자기장이 없다고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막상 달에 탐사선이 ... ...
- [knowledge] 시화호 조력발전소, 환경과 문화까지 살리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눈으로 확인하며, 그 때의 기대가 크게 어긋나지는 않았다는 사실에 안도할 수 있었다. 물론 이런 대역사(大役事)에 3년이라는 운영 경험은 아직 짧다. 더 긴 시간 동안 꾸준하고 모범적인 운영이 계속되길 기원해 본다 ... ...
- 도시의 밑그림을 그리는 사람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거쳐 서울대 안의 연못까지 오면서 어떻게 변하는지 연구하고, 매년 개발도상국으로 빗물이용시설을 설치해주는 해외봉사활동을 가고 있습니다.Q 졸업 후 진로는 어떤가요?A 선택의 폭이 매우 넓습니다. 전통적으로 건설이나 토목 쪽으로 많이 진출하지만, 최근 공간정보공학, 교통공학 등에서도 ... ...
- Part 3 - '달 토끼' 사는 외계 위성 존재할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망원경은 계속 만들어지고 있다. 멀지 않은 미래에 외계행성이나 위성의 대기 성분은 물 론, 위성이 행성을 가리는 모습까지 정밀하게 관측할 날 이 올 것이다. 밝기 변화를 통해 표면 구조도 알아낼 것 이다. 외계 위성은 태양계 밖 생명체 탐색에 점점 더 중 요해질 것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 ...
- 어린왕자, 서호주 아웃백에서 은하수를 보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시아노박테리아(남조류)가 지구에 등장, 이들이 산소를 만들기 시작했다. 산소는 바닷물에 있던 철분과 결합해 산화철로 퇴적됐다. 이 퇴적층이 드러난 곳이 바로 필바라 지역이다. 이곳 어디서나 녹슨 것 같은 검붉은 모래와 바위들을 볼 수 있다. 전세계 철광석의 80%가 이곳에서 나온다고 한다. ... ...
이전2732742752762772782792802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