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준비
차비
예비
대비
계획
설비
구입
d라이브러리
"
마련
"(으)로 총 3,511건 검색되었습니다.
(3) 전자파 장해 막을 수 없나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나게 되는데, 아무리 빠른 전파일지라도 1백만분의 몇초 만큼은 도달시간의 차이를 갖게
마련
이다.(1백만분의 1초는 1마이크로초라 한다.)만약 비행거리의 차이가 3백m라면 도달시간차는 1마이크로초가 된다. 한편 텔레비전신호를 화면에 그림으로 그려주는 주사선이, 화면의 왼쪽 끝에서 오른쪽 ... ...
극한 상황속의 인간한계 실험하는 에베레스트 생리연구현장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연구하는 장소로도 그만이다. 해발 5천m 지점에 오르면 심장의 박동수가 점점 빨라지게
마련
이다. 따라서 빠르게 심장박동을 하는 동안의 혈압을 잴 수 있다.그런가 하면 고산은 호흡생리연구의 적소로 알려져 있다. 해발고도 0m인 곳에서는 1분당 1백20~1백30ℓ의 산소를 들이 마시지만 해발고도 5천m ... ...
「찻잔속의 태풍」 인공지능 만들기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어느 시대든지 과학기술이 부흥할 때면 이에 편승해 사기를 치는 무리들이 있기
마련
이다. 사이버네틱스-모래알 맞추어 바윗돌 만들기본격적인 자동기계는 찰스 베비지의 미분기계에서부터 시작된다. 증기기관이 인간의 근육을 대신하였듯이 이제는 인간의 두뇌를 대치할 어떤 것들을 ... ...
의료분쟁 해마다 증가추세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상호불만을 해소할 절묘한 대안은 없을까. 최근 보사부에서는 의료분쟁조정법 시안을
마련
, 양측의 이해일치를 꾀하고 있으나 벌써 이 시안이 '의사를 위한 것'이라는 비판이 일고 있다. 환자의 권리를 최대한 보장하고, 동시에 의사의 진료행위를 위축시키지 않는 접촉점을 찾기란 그만큼 어려운 ... ...
(2) 전자기학을 확립해온 사람들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UHF용의 두개 채널이 달려있어서 많은 사람들이 이 낯선 이름에 익숙해지는 계기를
마련
했다.VHF(Very High Frequency)와 UHF(Ultra High Frequency)는 전자기파를 주파수라는 기준으로 분류할 때 서로 다른 대(帶)로 분류되는 전파의 종류들. 전자기파를 이렇게 주파수 별로 구분하는 이유는 주파수에 따라 ... ...
콜레스테롤의 정체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약간씩 차이가 나 통계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것.이렇게 기초적인 통계조차도 제대로
마련
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어느 정도의 콜레스테롤치면 안심해도 된다'고 딱 떨어지게 말하기도 쉽지 않다. 그래서 국내에서는 의사에 따라 콜레스테롤의 적정치가 조금씩 달리 표현되는 실정이다.미국의 NCEP ... ...
실물과 꼭 닮은 인조과일 개발한 홍성모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1년간 고정연사로 나갔다. 방송이 나간 날은 으레 2,3통의 청취자전화를 받게
마련
이었는데 대개가 살림하는 주부거나 운전기사인 이들의 질문을 들으며 그는 '아이디어가 참 생활속에 있는 거구나'하는 사실을 다시금 확인했다고 한다.인터뷰를 끝내며 발명가로서 앞으로의 소망은 무엇이냐는 ... ...
해외 과학기술자 유치작전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해외두뇌의 유치작업은 보다 대규모로 행해졌다.정부는 해외두뇌에 대해 국내 취업처를
마련
해주고 귀국을 희망하는 사람에게 귀국여비 체류비 등 재정적인 지원을 하여 1978년 이래 정부가 직접 유치한 사람만도 4백10명에 달했다.우리의 해외두뇌유치는 아주 예외적으로 성공한 경우였다. 국내에서 ... ...
(4) 신설 전파공학과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들쑥날쑥해져서 소신있게 특성학과를 지원한 학생들이 제대로 공부할 여건이
마련
되지 못하는 일이 생겨서는 안된다는 것이 교수진의 당부다.또 91년 서울대의 전기·전자 제어계측의 3과가 통합된 예에서도 볼 수 있듯이 학부과정에서는 특정 전공의 강조보다는 공학일반의 기초를 섭렵하는 것이 ... ...
환자 5%가 병원서 새 병 옮는다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다른 사람의 조직이나 장기를 이식할 경우, 부수적으로 반드시 따라오게
마련
인 거부반응(拒否反應)을 막기 위해서 우리 몸의 저항력을 떨어뜨리는 약제를 복용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이식의 성공을 보장받고 그에 따른 부작용으로부터 환자를 보호하려면 반드시 면역억제제가 필요한 것이다 ... ...
이전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