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한"(으)로 총 12,947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치카우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시상식을 거행하고 홍보 행사도 많이 열 것이다. 그렇게 해서, 이 행성의 토착 생물에 대한 생물학자, 사회학자, 신학자 숫자도 많아지고 수준도 높아지면, 이제 종합 보고서를 펴내고, 그 종합 보고서에 근거해서 처벌 위원회를 만들어야지. 그리고 그 처벌 위원회에서 처벌 방법 결정관을 선출하게 ... ...
- 풋볼 팬타지움 수학여행기수학동아 l2017년 07호
- 독자 13명이 서울월드컵경기장의 축구 테마뮤지엄 ‘풋볼 팬타지움’에 모였다. 대한축구협회가 팬들을 위해 만든 이곳은 2002FIFA월드컵기념관을 리모델링해 2017년 3월 문을 열었다.독자들은 가장 먼저 VR(가상현실) 장치를 쓰고 골키퍼와 프리키커가 되는 체험을 했다. 독자들이 가장 재밌었다고 꼽은 ... ...
- [김종락 교수의 보드게임 페스타] 최석정의 직교라틴방진이 보드게임으로! 1258수학동아 l2017년 07호
- 04년 캐나다 조합론연구소에서 주는 커크만 메달을 한국인 최초로 받았습니다. 2016년부터 대한수학회 수학문화 앰배서더로 활동 중이며, ‘감성수학레드’라는 스타트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 ...
- [핫이슈] 과학의 달엔 사이언스 크래프트로 놀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첫 번째 시리즈로 ‘우리 몸 탐험 지도’가 나왔어요. 바이러스, 세포, 우리의 몸, 뇌에 대한 과학 이야기들을 종이 입체 모형을 만들며 재미있게 배울 수 있지요. 칼이나 가위가 필요 없이 풀칠만으로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만들어 볼 수 있어요. 이어서 나올 사이언스크래프트 두 번째 ... ...
- [과학뉴스] ‘알쓸신잡’과 생물학적 호주제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예능 프로그램인데요. 방송에서 제 귀를 사로잡은 이야기가 있습니다. 미토콘드리아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첫 방송에서 정재승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는 “생물학적으로 아이의 성은 아빠가 아니라 엄마의 성을 따라야 한다”고 했는데요. 이런 주장을 한 이유는 미토콘드리아에 있는 DNA ... ...
- [Issue] 슈퍼 ‘마이너스의 손’의 메이커 도전기, 공기청정기를 내 손으로!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하는 메이커 교육에 맞게, 강의를 이끈 아토플래닛의 독고원 팀장은 메이커 운동에 대한 전반적인 시대 흐름, 수업에 사용할 무료 3D 모델링 프로그램 ‘123D’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며 강의를 시작했다.수업은 크게 두 번으로 나뉘었다. 첫 번째 수업은 각자 공기청정기 키트를 활용해 나만의 문구를 ... ...
- [Issue] 편리한 현대의 딜레마, 포장지 속 과불화화합물과학동아 l2017년 07호
- est.5b03806).마지막으로 건강과 환경에 잠재적으로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과불화화합물에 대한 규제가 우리나라에는 없다. 아직까지는 과불화화합물을 관심대상물질로 정해두고 유통량, 배출량 등을 조사하는 중이다. 따라서 현재로서는 미국의 글로벌 기업들이 C8 및 더 긴 과불화화합물을 더 이상 ... ...
- Part 1. 백신을 못 믿는 사람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진행된 시기에 백신 관련 논란이 없었기 때문으로 보인다.대중과 전문가의 위험에 대한 이 같은 인식 차이에 대해 슬로빅 교수는 “위험을 바라보는 관점이 다르기 때문”이라며 “전문가들은 연간 사망자 수와 같은 자료를 위험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삼지만 일반인은 사고가 발생했을 때 얼마나 ... ...
- Part 4. “나 하나쯤이야” 무너지는 집단면역 생태계과학동아 l2017년 07호
- 교수로 재직 중이다. 다양한 바이러스 감염 질환에 대한 방어면역 및 신·변종 감염병에 대한 백신을 연구 개발하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백신은 옳다!Part 1. 백신을 못 믿는 사람들Part 2. 백신은 정말 옳다Part 3. 인체, 백신을 기억하다Part 4. “나 하나쯤이야” 무너지는 ... ...
- 고은영 기자의 팩트체크, 퍼센트를 조심하라수학동아 l2017년 07호
- 우승팀이 몇 번째 경기 만에 가려질지는 초미의 관심사입니다. 4번째 승리를 거둘 확률에 대한 기사에서는 ‘승률’보다 ‘우승 확률’이라는 표현을 더 자주 씁니다. 왼쪽 신문 기사 속에는 오류가 숨어있습니다. 인구 1000명을 기준으로 교통사고 건수가 2014년에 10건, 2015년에 16건, 2016년에는 8건 ... ...
이전2732742752762772782792802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