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모듈
기준
하나
단원
중량단위
중량
유니트
d라이브러리
"
단위
"(으)로 총 2,803건 검색되었습니다.
하드웨어 개발이 과제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테니까."예를 들면 인간이나 가축의 영양보강제로서 사용하는 아미노산의 소비규모는 ton
단위
이다.스파게티 모양의 새로운 발효조대량의 화학물질을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연속생산이 가능한 발효조가 필요하다. 현재 사용하는 원형 발효조와는 전혀 모양이 다른 발효조가 있어야 한다. ... ...
한국의 항공산업기술은 어느 수준인가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부위에 해당되며 5축가공을 요하는 골격부분이 근간이되어있다. 또1만분의 1밀리미터
단위
의 정밀도가 요구되는 초정밀제품으로서 컴퓨터를 통한 특수 프로그래밍에 의해서만 작업이 가능하다.대우중공업은 이런 동체제작에 필요한 5축가공설비를 국내에서 유일하게 갖추고 있다.지난 4월 창원에 ... ...
경영정보시스템(MIS) 자료정리에서 정보분석으로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늘어나기 때문에
단위
비용은 적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앞으로는 총하드웨어 비용과
단위
비용 모두 감소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소프트웨어가격은 현상유지내지는 약간 올라가는 경향이 있고 인건비는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혹자는 정보 시스템의 효율은 형편없다고 말할는지도 ... ...
초음파 모터 실용화 단계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안써도 저속회전이 가능하며 큰 회전력을 낸다는 것이 자랑이다. 또 손쉽게 마이크로
단위
의 정밀도로 위치를 잡을 수도 있다. 초음파 모터는 진동을 일으키는 부분과 회전부를 용접해 그 마찰력을 이용하여 회전력을 얻는다. 이 방식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 '고정파 방식'은 에너지의 변환효율이 ... ...
도시기온이 높아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따라서 빗물을 받아들이는 것은 건물사이에 조금 남은 지면이므로 빗물이 닿는 도시의
단위
면적당 강수량은 커진다. 예컨데 50%의 건폐율을 갖는 도시에서 60mm의 강우가 있으면 지면에서는 1백20mm의 호우가 되고, 만일 90%의 건폐율 지역이라면 20mm의 소우라 할지라도 2백mm의 집중호우에 상당하는 ... ...
기상재해,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것이 보통이므로 지름이 6mm되는 빗방울의 운동에너지는 4.6×10⁴erg이며, 이것을 중력
단위
로 고치면 46.7g의 물체를 1cm위로 올리는 데 필요로 하는 힘에 해당된다. 이와 같이 굵은 빗방울의 운동에너지는 상상외로 강하기 때문에 토양을 튕겨서 빗물 속에 분산시킬 뿐만 아니라, 특히 지면을 때려서 ... ...
기적의 영양소 토코페롤 그러나 인스턴트 식품에 첨가할 때엔…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역가가 떨어진다. dl-α-토코초산페롤 1mg은 1국제
단위
이지만, d-α-토코페롤의 1mg은 1.49국제
단위
에 해당한다. d자가 붙은 것이면 합성품이라고 생각하면 틀림없다. 이제 토코페롤의 효능을 열가지만 간추려보면 다음과 같다. △ 노화를 지연시켜 수명을 연장한다.△ 암에 대한 면역력을 향상시킨다.△ ... ...
방사능, 아무리 적은 양도 안전하지 않다.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영향을 재는
단위
는 '렘'(rem)이다. 아주 작은 방사선은 렘의 1천분의 1인 '밀리렘'이란
단위
를 쓴다. α선과 β선이 1'라드'(rad: 흡수선량의
단위
)의 방사에너지를 생체조직에 쏘일 때 1렘의 손상을 입는다. α선의 파괴력은 이보다 커 1라드의 방사선이 10렘의 조직손상을 일으킨다. 보통 사람은 6백렘의 ... ...
컴퓨터 직업병을 경계하자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인체가 받는 X선의 피복량은 시간당 10만분의 1램(램은 방사선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의
단위
) 이하로 되기 때문에 거의 무시해도 좋을만한 양이라고 밝히고 있다. 그런데 지금부터 10여년 전에 대만의 한 연구기관이 TV나 컴퓨터 터미날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바가 있다. 당시 측정한 ... ...
성공단계의 무공해 살충제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당면하고 있는 최대의 과제이다. 인구증가에 대비한 지속적인 농산물 증산을 위해서는
단위
면적당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길밖에 없다. 따라서 병충해 방제를 위한 농약의 사용은 필수적이며 이를 위한 무공해농약의 개발은 더욱 그 의미가 크다. 생태계 파괴하는 합성유기농약1938년 유기살충제인 ... ...
이전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