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뿔
모
모서리
귀퉁이
각도
호른
각성
d라이브러리
"
각
"(으)로 총 6,296건 검색되었습니다.
특별기획 2011학년도 자사고 진학 가이드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것이 효과적이다. 영어 면접은 짧은 문답보다는, 다양한 주제를 읽어가면서 자신의 생
각
을 정리하는 연습을 하길 권한다.기출 문항 참고하면 도움될 하나고하나고는 전년도 구술 면접 방식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중등 교과 과정 내용을 바탕으로 한 배경지식을 묻는 형태가 출제될 ... ...
신호는 도로 관리자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줄이기 위해 대부분의 램프는 회전 반지름이 큰곡선 모양으로 만든다. 동서남북에
각각
하나씩 램프를 설치한 곳은 전체 모양이 클로버잎을 닮았다고 해서 클로버형 입체교차로라고도 한다.도시에는 크게 돌아가는 램프를 지을 공간이 부족하다. 그래서 고가 도로의 형태로 입체교차로를 만든다. ... ...
외국에서는 수학공부를 어떻게 할까?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이처럼 세계 여러 나라에서 수학을 배우는 방법은 조금씩 달라요. 수학에 대한 생
각
도 다르고 학생들이 공부하는 수학의 수준도 다르답니다. 하지만 거의 모든 나라에서 수학은 중요한 과목으로 다뤄지고 있어요. 특히 수학수업 시간도 많아요. 대학교까지 공부를 계속할 학생에게 수학은 없어선 안 ... ...
2초 만에 시속 100km F1 머신 시동건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튜닝 시스템’을 기본으로 발전한다. 극한의 환경에서 달리는 자동차이다 보니
각
분야별 튜닝기술이 필수다. 약간의 튜닝만으로도 일반차보다 약 7~10%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즉 F1에서 검증된 튜닝기술은 일반 양산차에도 적용할 수 있다. 모터스포츠가 자동차 산업 발전의 촉매역할을 하는 ... ...
[물리] 전기회로 집중 탐구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모두 서로 같은 값을 가진다. 서로 인접한 단자 사이의 합성저항이 왼쪽과 오른쪽이
각각
같다고 한다. 이때 오른쪽 저항 하나의 값 R은 얼마인가?[전문가 클리닉]키르히호프의 제1법칙과 제2법칙의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왼쪽 그림처럼 저항이 연결될 때 임의의 두 단자를 ... ...
덩치 큰 슈퍼컴퓨터, 소프트웨어로 다이어트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사용하는 평범한 개인에게도 슈퍼컴퓨터를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요즘
각
광받는 증강현실은 PC와 스마트폰으로는 처리할 능력이 충분치 않다. 클라우드를 이용하면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보내 3D 영상의 인식과 분석이 가능하다. 결국 클라우드는 기존의 슈퍼컴퓨팅 또는 대규모 컴퓨팅의 ... ...
도시의 미래를 꿈꾸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자처하는 시민들은 이 도시와 함께 살아가려는 마음가짐을 갖고 스스로 자랑스럽게 생
각
한다. 이같은 마음가짐이 갖춰진 도시는 발전 가능성이 무한하지만, 도시를 사랑하지 않는 시민으로 가득한 도시는 자연스럽게 쇠퇴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 권 교수의 주장이다.한국 도시의 가능성은 어떨까 ... ...
생명의 타임캡슐 씨앗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종피(種皮)를 이루는 세포들이 별 모양으로 생겨 서로 맞물려 있습니다. 어떻게 보면 조
각
퍼즐 같지요. 이처럼 세포가 맞물려 있는 이유는 단순히 벽돌처럼 평평한 면이 맞대고 있는 것보다 훨씬 튼튼한 껍질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죠.잎에 세로로 주름이 나 있는 주름제비란은 씨앗에도 주름이 ... ...
중력은 없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약하다면 어떨까. 그렇다면 암흑에너지라는 밀어내는 힘이 존재하지 않아도 우주가 왜 생
각
보다 빠르게 팽창하고 있는지 설명이 된다. 실제로 이에 대한 이론이 이미 등장했다.이 외에도 물리학자들은 다양한 주장들을 내놓고 있다. 중력이 눈에 보이지 않는 차원으로 새어나간다는 주장으로 ... ...
[생물] 생물다양성과 우리 삶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영향을 줄일 수 있다.2) GMO작물은 몇몇 작물이 독점적으로 재배지를 넓혀가고 있어
각
지역에 맞는 재래 품종들을 밀어내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생물다양성 측면에서 볼 때 종 다양성을 해친다 ... ...
이전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