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뉴스
"
미국
"(으)로 총 24,263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10번 고맙다가 딱 1번 서운한 일만 기억하는 사람들
2023.12.23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친구나 연인 사이에 갈등은 항상 있는 것이지만 쓸데 없이 갈등을 더 키우는 습관이 있다. 바로 선택적 기억이다. 예를 들어 한 ... 독자와 꾸준히 소통하고 있다. 온라인에서 '지뇽뇽'이라는 필명으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
미국
듀크대에서 사회심리학 박사 과정을 밟고 ... ...
[주말N수학] 공정하다는 착각! 동전 던지기
수학동아
l
2023.12.23
무작위하지 않다는 구체적인 증거가 속속들이 나오고 있다. 대표적으로 퍼시 디아코니스
미국
스탠퍼드대 수리통계학과 교수가 2007년 2명의 공동 연구자와 낸 논문이다. 동전을 던지기 전, 처음 위를 향한 면이 동전을 던진 후 그대로 나올 확률이 약 51%라는 내용이다. 쉽게 말해 ‘앞’과 ... ...
[표지로 읽는 과학] '올해의 과학인물(?)'에 선정된 챗GPT
동아사이언스
l
2023.12.23
뒤흔든 상온 초전도체 연구의 문제점을 발견한 인물이다. 햄린 교수는 3월 란가 디아스
미국
로체스터대 교수 연구팀이 네이처에 발표한 상온 초전도체 논문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네이처에 지적했다. 네이처는 지난달 해당 논문의 철회를 결정했다. 리차드 모나스터스키 네이처 수석편집자는 ... ...
6G·달착륙선 등 국가전략기술 육성 본격화…“2024년 5조 원 이상 투입”
동아사이언스
l
2023.12.22
‘기정학 구도’ 속에서 기술주권 확보가 시급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되면서 정부는 일본,
미국
에 이어 세 번째로 ‘국가전략기술 육성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했다. 이 특별법은 신속하고 과감한 임무중심형 연구개발, 분야별 연구·인재양성의 거점이 될 특화연구소·특화연구기관 지정, 전략적 ... ...
[과찬의 말씀] 인공 뇌 새 지평 연 과학자…"실험실 떠나 상용화 이루겠다"
2023.12.22
연세대 생명공학과 교수는 서울대학교에서 응용화학 학/석/박사학위를 받았으며,
미국
메사추세츠공과대학 화학공학과 박사후연구원, 하버드메디컬스쿨 보스턴어린이병원 연구원을 거쳐 2013년부터 연세대학교 생명시스템대학 생명공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오가노이드 응용연구와 의료용 생체 ... ...
가짜뉴스 검색하다 잘못된 정보 더 믿게 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2.22
미국
대통령 사망설과 같은 허위정보들이 이러한 사이트를 통해 생성, 유포됐다.
미국
정부는 내년 대선을 앞두고 AI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규제를 담은 첫 행정명령을 지난 10월 30일(현지시간) 발표하기도 했다. 기업이 AI를 대중에게 공개하기 전에 안전성 검사를 거치도록 하고, 그 ... ...
"뇌혈관 주위 공간 크면 자폐장애 위험"
연합뉴스
l
2023.12.21
조기 생물 표지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의학 협회 저널 네트워크 오픈(JAMA Network Open) 최신호에 발표됐다. ...
화학반응 설계하고 스스로 약물 만드는 'AI 화학자' 등장
동아사이언스
l
2023.12.21
화학자들의 연구 효율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게이브 고메스
미국
카네기멜론대 화학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이들이 개발한 AI 시스템 '협력과학자(Coscientist)'가 실험실에서 파라세타몰과 아스피린 등의 화합을 만드는 화학 반응을 설계하고 수행한 연구 결과를 20일(현지시간) ... ...
로봇 수술하는 의사 뇌에 전기자극 줬더니 수술 능력 향상
동아사이언스
l
2023.12.21
수술 능력이 향상되는 결과로 이어진다는 연구 결과가 제시됐다. 제레미 D. 브라운
미국
존스홉킨스대 기계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머리 뒷부분에 약간의 전류를 가하는 것으로 로봇수술 조작 방법이 향상된다는 연구 결과를 20일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츠’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신체 ... ...
천문硏 '외계행성탐색시스템' 노후화…"예산 없어 관리 어려워"
동아사이언스
l
2023.12.21
나머지 두 망원경시스템과 달리 24시간 관측이 이뤄지는 것은 KMTNet이 유일하기 때문이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을 비롯한 주요 국제기관이 KMTNet를 활용한 국제공동연구에 적극 나서는 이유이기도 하다. KMTNet이 사용하는 미시 중력렌즈 현상은 외계행성을 탐색하는 여러 방법 중에서도 먼 거리에 ... ...
이전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