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우
동생
탯줄
태줄
제사
제향
d라이브러리
"
제
"(으)로 총 4,629건 검색되었습니다.
꿀벌보다 못한 인간의 선거방식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꿀벌이 새집을 찾는 임무를 완수하는 데는 꼬박 16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제
꿀벌은 자신의 무리에게 새집을 소개하기만 하면 된다.이렇게 꿀벌도 민주주의를 실현하고 있다. 실리 교수는 꿀벌의 이런 의사결정 방식을 두고 우리 인간 세상에서도 꿀벌처럼만 한다면 해결되지 않는 일이 ... ...
리더십은 봉사활동으로 드러난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학업의 문
제
점을 스스로 분석해 학습 계획표를 작성하고 실행한다. 입시에서 자료로
제
출할 수 있도록 분석한 내용을 문서로 만들어둔다. 4. 가고 싶은 대학의 홈페이지를 꾸준히 방문해 소식을 접한다. 입학사정관의 면접 시 유용한 정보가 될 것이다 ... ...
세상을 바꾼 재료? 미래를 바꿀 재료!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되니까요. 전기가 통하는 플라스틱을 이용해 TV를 지갑에 돈처럼 넣고 다니는 것도 문
제
없겠죠?와우! 누구 한 재료만을 뽑기 어렵겠는데요? 그렇다면 공동대표는 어떨까요? 모든 미래 재료들이 함께 재료 나라를 이끌어간다면 정말 최고가 될것 같아요! 앞으로 우리 미래 재료들이 나라를 잘 이끌어 ... ...
PARTⅠ 수학을 알아야 축구를 잘 한다 : 축구는 수학이다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1의 상태를 유지해 수적 우위를 점하는 포메이션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
제
현대 축구의 중요한 전술인 압박에 대해 알아보자. 포메이션에 따라 선수들을 배치했을 때 공격수와 수비수의 간격은 이미 과거 50~60m에서 30m 정도로 줄어들었으며, 이런 압박은 앞으로도 계속될 추세다. 이렇게 ... ...
수학이 좋아지는 다큐멘터리를 만들고 싶어요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수학 공부를 할 때 너무 어려운 문
제
를 풀려고 하는 것 같아요. 어렸을 때는 수학 문
제
하나를 더 푸는 것보다 왜 그런지 생각하고, 또 재미를 느끼는 게 더 중요한데 말이죠. 저도 주말에 아들 경준이와 수학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고, 책도 함께 읽어요. 수학동아 친구들도 수학에 관한 책을 많이 읽고 ... ...
지오의 나라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잘 보고, 기록해 두어라. 그게 바로 네가 할 일이란다. 며칠 뒤면 연월기의 시작을 알리는
제
를 올릴 게다. 그 날부터 연월기를 만드는 일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지. 그 과정을 빠짐없이 봐 두어라.” 황산사의 말이 귓가에서 왕왕 울렸지만, 지오는 모든 일이 꿈결처럼 느껴졌다. 달포아저씨네 대장간 ... ...
인터뷰 공룡전문가 이융남 박사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겨우 캠프로 돌아온 적도 있답니다. 하지만 올해도 다시 몽골로 떠날 거예요. 몽골에는
제
가 좋아하는 공룡이 묻혀 있고 그것을 찾는 일이 저를 가장 행복하게 하거든요.혹시 저처럼 평생 공룡과 함께 살고 싶은 친구가 있나요?그럼 주변을 유심히 관찰하는 능력부터 기르는 게 좋아요. 공룡은 현재 80 ... ...
허풍의 그리스식 웨딩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주세요. 흐흐. 지금도 선생님 낮잠 주무실 때 몰래 나온 거랍니다. 아참! 주어진 퍼즐 문
제
를 풀어서 수학동아 엽서에 적어보내 주세요. 푸짐한 상품을 드려요. 선생님 일어나실지 모르니 이만 가 볼게요 ... ...
외유내강 검정파리와 외강내유 전갈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이렇게 하면 먹이를 씹지 않고 쭉쭉 빨아 먹을 수 있다.전갈은 누구와 싸움이 붙어도 언
제
나 이길 것처럼 강해 보이지만 사실은 겁이 많고 소심하다. 세계적으로 약 1100종이 살고 있으며, 대부분 돌이나 나무껍질 더미 밑에 숨어 산다. 대부분의 전갈이 가진 독은 먹이인 몇몇 동물에게만 치명적이며 ... ...
계획 없이 하는 공부는 이
제
그만!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성적이 1.9등급이라면 좋은 성적에 속해. KAIST에서 어떤 전공을 하고 싶니? 입학사정관
제
에서는 어떤 연구를 해서 세상에 어떤 사람으로 남고 싶은지에 대해 말할 수 있어야 돼.”“물리학 중에서도 유체역학을 배우고 싶어요. KAIST에 탐방을 갔을 때, 교수님께 질문을 받은 뒤부터 관심이 생겼어요 ... ...
이전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