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어서 와~ 우주는 처음이지?수학동아 l2019년 04호
- 그 사이에 이번 여행의 종착지인 목성에 도착했군요. 목성의 멋진 소용돌이 관광을 마친 뒤에 초고속으로 지구로 돌아가겠습니다. 모두 남은 시간 즐겁게 보내세요! 참고자료 이언 스튜어트 '우주를 계산하다 ... ...
- [SW 진로체험] 답을 찾는 시간이 즐거운 SW 개발자수학동아 l2019년 04호
- 피하면서 효율적으로 분석할 수 있을까 고민하다가 평면에 데이터를 찍어 분포도를 만든 뒤 패턴을 찾으면 되겠다는 아이디어가 떠올랐어요. 그렇게 하니 한눈에 그래프를 분석해 숨겨진 문제를 빠르게 찾을 수 있게 됐죠. 이것이 바로 응답시간 분포도예요. 처음 이 아이디어가 떠올랐을 때는 너무 ... ...
- [화보] 신비한 생명이 가득! 2018 야생 사진전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벌새를 찍은 사진이랍니다. 벌새가 꿀을 먹을 때 꽃 주변을 빙글빙글 도는데, 벌새가 꽃 뒤로 움직이는 순간을 기다렸다가 이 사진을 찍은 거예요. 날치의 야간비행 | 날치는 날개처럼 생긴 가슴지느러미를 이용해 물속을 빠르게 헤엄쳐요. 한편, 밤이 되면 물 표면에 있는 플랑크톤들을 먹기 위해 ... ...
- [3·1운동 100주년] 읽고, 깨어나시오. 시대를 비춘 과학의 등불과학동아 l2019년 03호
- 1924년 10월 김용관을 필두로 설립됐지만, 본격적으로 활동하기 시작한 것은 8년 뒤인 1932년이었다. 과학조선 발간 이후 발명학회는 세를 확장해 과학지식보급회로 이름을 바꿨으며, 이후 1934년에는 전국적인 과학 행사인 ‘과학데이’를 처음으로 진행하는 등 조선의 과학 보급과 계몽에 크게 ... ...
- [화보] 헝가리에서 날아온 유럽 나비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때입니다. 왕줄나비는 기후변화 때문에 이제는 헝가리에서 매우 보기 힘든 종이고, 몇 년 뒤에는 헝가리에서 아예 자취를 감출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알바니아에서 아폴로모시나비(Parnassius apollo)를 봤을 때도 기억에 남습니다. 아폴로모시나비 20마리가 엉겅퀴라는 식물 근처에 ... ...
- 한국 인공태양 완공 10년, 1억 도로 타올랐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발생시키는 데 성공했다. 12년의 연구가 빛을 발한 순간이었다. 그로부터 10년 뒤인 2018년, KSTAR 연구진은 플라스마 중심 이온온도를 1.5초간 1억 도 이상으로 올리는 데 성공했다. 지난해 8월 말부터 12월까지 진행한 KSTAR 플라스마 실험을 통해서다. 플라스마 이온온도 1억 도는 핵융합 반응의 원료가 ... ...
- 단백질 구조예측 대회1등 '알파고' 후배 '알파폴드'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미지의 단백질에 포함된 아미노산 서열을 10개 이하로 쪼개 단위서열로 구분하고, PDB를 뒤져 이들 단위서열과 닮은 템플릿을 최대한 많이 찾는다(템플릿 찾기). 이렇게 찾아낸 템플릿들을 정렬시켜 모은 뒤(서열 정렬), 각 템플릿을 짜 맞추면서 이상적인 단백질 구조 모델을 만든다(모델 빌딩). 석 ... ...
- '주노'가 보내온 목성 클로즈업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이 때문이다. 주노는 지옥 같은 목성의 두터운 대기를 뚫고 내부 구조를 상세히 들여다본 뒤 자기장과 중력장 등을 관측한다.주노는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목성에 가까이 간 탐사선이다. 1995년 주노의 선배인 탐사선 ‘갈릴레오’가 목성의 대기를 조사해 암모니아의 양을 측정한 적이 있지만, ... ...
- 하늘에서 인공 별똥별이 쏟아져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입자들이 실린다”고 말했다. 인공위성은 고도 400km까지 올라가 목표한 궤도에 진입한 뒤, 탑재된 특수 장비를 통해 입자들을 우주로 방출한다.하지만 원하는 장소와 시간에 유성우를 만드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ALE는 “정확한 속도와 각도, 방향 등을 계산해 입자를 방출할 수 있는 ... ...
- [수학공부 꿀팁]수학자가 되어 π를 발견하다!수학동아 l2019년 03호
- 이해가 쉬울 거라 생각했다. 그래서 원 모양의 색종이를 접어 16 등분, 또는 32 등분한 뒤 가위로 잘라 부채꼴 조각들을 만들었다. 이후 빗변끼리 만나도록 번갈아 연결해 붙였다. 그러자 완전하진 않지만 얼추 직사각형이 만들어졌다. 이때 세로는 원의 반지름이니 r이 되고, 가로의 길이는 원의 ... ...
이전2722732742752762772782792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