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음"(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1, 2, 3 다음이 4가 아니라면과학동아 l2014년 09호
- 미궁으로 빠진 연쇄 살인 사건. 살인 현장에 기묘한 쪽지를 남겨오던 범인은 왜인지 네 번째 살인을 앞두고는 ‘예고 쪽지’를 남긴다. 쪽지에 그려진 수열의 규칙을 알아낸 주인공은 네 번째 살인을 막아보려고 하는데…. ...
- 미래 세상의 공통어, 코드수학동아 l2014년 09호
- 계약을 맺고 연구하던 중 탄생했다. 두 사람은 일명 ‘자동 기계’를 만들기 위해 다음과 같은 생각의 과정을 거쳤다.➊ 사람은 계산을 10진법으로 한다.➋ 10진법 연산은 2진법으로 나타낼 수 있다.➌ 2진법 연산(덧셈)은 부울대수★로 표현이 가능하다.➍ 부울대수는 진공관으로 구현할 수 있다.➎ ... ...
- 알쏭달쏭 자연의 기준이 궁금해!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9호
- 다른지 아니? 헷갈리는 시간에 관한 말에도 기준이 있었어. 하루를 24시간으로 나누면 다음과 같아. 3시간 단위로 구분하려고 6시간 단위인 오전, 오후, 밤을 ‘늦은 오전(9시~12시)’, ‘이른 오후(12시~15시)’, ‘늦은 밤(21시~24시)’으로 부르기도 하지.비나 눈이 ‘한때’ 오거나 ‘가끔’ 온다고 할 ... ...
- 2014 가을 달이 빛나는 밤에수학동아 l2014년 09호
- 때문에 맨눈으로 월식의 전 과정을 관측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관측할 수 있는 다음 개기월식은 2018년 1월 31일, 7월 27일, 그리고 2019년 1월 27일이다. 2014년, 더욱 특별한 달“한 인간에게는 작은 발자국이나 인류에게는 거대한 도약이다”1969년 7월 20일, 아폴로 11호의 선장 닐 암스트롱은 인류 ... ...
- [시사] 역사를 바꾼 가장 위대한 전쟁 명량수학동아 l2014년 09호
- 난중일기 토대로 밝혀진 당시 교전 상황을 결합하면, 당시 울돌목에서 일어났던 상황을 다음과 같이 재현할 수 있다. 1597년 음력 9월 16일 오전 6시 30분 경 바닷물은 썰물에서 북서방향으로 흐르는 밀물로 바뀌었다. 이 밀물을 타고 일본함대는 전남 해남의 어란진을 출발해 울돌목으로 진격해 오고 ... ...
- [생활] 무엇이 무엇이 똑같을까?수학동아 l2014년 09호
- 등호는 현재의 등호보다 매우 긴 형태인데, 그는 자신의 책에 등호 =를 소개하며 다음과 같은 글을 썼다.“… ‘같다’는 단어가 지루하게 반복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길이가 같으면서도 평행해 마치 쌍둥이같은 두 직선〓을 사용할 것이다.…”이 글은 수학에서 기호가 만들어진 이유와 그 ... ...
- [재미] 9회 이장의 집을 수색하라!수학동아 l2014년 09호
- 정체불명의 글씨를 해독하라!“3344 다음에 올 숫자는 1, 4, 그 다음은 5….”소마는 3344 다음에 올 4자리 수로 자물쇠 암호를 신중하게 누르기 시작했다. 4자리 수의 마지막 일의 자리까지 누른 소마는 열림 버튼을 살포시 눌렀다.“딸깍~.”다행히 자물쇠가 열렸다.“오! 열렸어요. 반장님, 문을 열어 ... ...
- 뇌과학으로 해결하자! 굿바이 학교폭력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짝꿍이 혹시 왕따?학교폭력을 겪고 있는 친구들은 자신의 고통을 숨기는 경우가 많다. 다음과 같은 친구를 본다면 따뜻하게 감싸주자.□ 다른 친구들에게 빌려 준 물건을 돌려받지 못하고도 참는다.□ 반 친구들이 만만하게 보고 때리거나 괴롭힌다.□ 다른 친구들의 대화에 끼지 못 한다.□ 항상 ... ...
- [만화뉴스] 승부차기에서는 앞 선수와 같은 방향으로 슛을 날려라!수학동아 l2014년 09호
- 착각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동전을 처음 던졌을 때 앞면이 나왔으면 그 다음에는 뒷면이 나올 확률이 더 높다고 생각하는 것이다.한편, 골키퍼들과 달리 키커들의 슛 방향은 완전히 무작위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해가드 교수는 “키커는 자신의 의도를 감추려고 노력하기 때문에, 골키퍼는 ... ...
- 산대와 x로 알아본 동서양의 방정식수학동아 l2014년 09호
- 프랑스의 수학자 지라르가 제안한 ‘대수학의 기본 정리’다.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 문장과 같다. 대수학의 기본 정리는 일반적인 방정식의 해의 존재에 관한 정리로, 이름처럼 대수학의 기본이 되는 역할을 한다. 여러 수학자들이 이를 증명하기 위해 노력했는데, 최초의 증명은 프랑스의 수학자 ... ...
이전2722732742752762772782792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