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끝"(으)로 총 5,647건 검색되었습니다.
- 비유클리드 기하학의 발견수학동아 l2010년 11호
- 두 점을 잇는 최단거리인 측지선은 대원의 일부다. 이처럼 평평한 면에서 직선은 끝이 없는 곧은 선이지만, 구면기하학에서 직선은 구의 중심을 포함하는 대원이라 길이가 유한하다. 따라서 구면기하학에서 두 직선은 반드시 두 점에서 만난다. 이제 거인이 구면 위에 삼각형을 그린다고 상상해 ... ...
- 채소일까, 사람일까? 숨바꼭질하는 그림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1호
- 번째 그림으로 그려서 겨울 뒤에 봄이 온다는 사실을 알려 주고 있어요. 이것은 겨울이 끝이 아니라 새로운 탄생을 약속하기 때문이랍니다. ❶ 아르침볼도, 사계절 중 , 1573년, 캔버스에 유채, 76 × 64㎝, 프랑스 파리 루브르 박물관❷ 아르침볼도, 사계절 중 , 1573년, 캔버스에 유채, 76 × 64㎝, ... ...
- 바르바리 해적수학동아 l2010년 11호
- 그럼 안 나가도 되겠다. 그냥 여기 있어도 나는 아무렇지도 않….”허풍의 말이 끝나기도 전에 이미 창고 문에 달라붙어 자물쇠를 풀고 있는 도형. “1, 2, 3, 4, 5 하나의 숫자가 써진 세 칸짜리 막대열쇠가 있고, 자물쇠 가로와 세로에 숫자가 쓰여있으니까…. 음…, 가로와 세로에 써진 숫자는 막대 ... ...
- 제1게임 먼저 두는 사람이 유리한 오목수학동아 l2010년 11호
- 오목과 바둑, 체스 등과 같이 두 사람이 하는 게임중에 진행 상황을 서로 알 수 있고 끝이 있는 게임이라면 두 사람 중 한 사람이 승리하거나 서로 비길 수 있는전략이 있다는 것을 귀류법을 써서 증명했다. 귀류법은 수학적인 증명방법 중 하나로 가정을 부정해 모순을 이끌어 내는 방법이다 ... ...
- 체조에 만점이 없는 수학적 이유수학동아 l2010년 11호
- 사용할 기구와 연기의 특성을 살펴보자. ✚ 줄선수의 키에 알맞은 길이의 줄을 양쪽 끝에 매듭을 지어 쓴다. 줄을 U자로 만들어 회전시키거나 줄넘기, 몸에 휘감는 식의 연기를 할 수 있다.✚ 후프지름이 80~90cm인 후프를 바닥이나 몸 위로 굴리는 연기, 후프를 통과하는 연기가 특색이다. 큰 원이 ... ...
- 다리엔 왜 줄이 많을까?수학동아 l2010년 11호
- 계곡 양쪽에서부터 가운데로 총 147개의 돌을 쌓아 만든 아치교다. 아치가 시작하는 양 끝의 거리는 9.1m, 아치의 높이는 4.7m로 원을 절반으로 잘라놓은 듯하다.프랑스에는 2000년 전 로마시대에 지어진 다리가 있다. 사람이 건너기 위한 다리가 아니라 물을 흘려보내는 수도교다. 49m 높이의 3층 구조로 ... ...
- 부정적인 허물 벗어버리는 마음 웰빙과학동아 l2010년 10호
- 때문이다. 일생 동안 수많은 업적을 남기고 좋은 사람을 많이 알고 지냈더라도 자살로 끝이 난다면 행복하고 훌륭한 인생이었다고 보기 어렵다. 잊지 말아야 할 점은 자살이 행복하게 살 권리뿐 아니라 편안하게 죽을 권리마저 포기하는 행위라는 것이다.정신적 또는 심리적인 문제로 ‘죽느냐, ... ...
- 식물 속 천연색소를 찾아라과학동아 l2010년 10호
- 좋은 종이와 수성펜을 준비해보자. 종이 끝 1.5~2cm 지점에 수성펜으로 작은 점을 찍고 끝 부분을 물에 담가 놓는다. 그러면 물이 그 종이 분자 사이의 틈을 타고 올라가며 수성펜의 색이 분리되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다. 흡수된 물이 잉크와 만나면 그 잉크를 녹여서 같이 끌고 올라가는 것이다.왜 ... ...
- 연세대 한국판 미디어랩 만든다과학동아 l2010년 10호
- 취지의 'IT명품인재양성사업'을 발표했다. 이공계 상위권 대학들이 접전을 펼친 끝에 연세대가 구축기지로 선정됐다. 연구 위주의 통섭 교육, 1명당 1억 원의 파격적인 연구비를 지원할 한국판 미디어랩이 과연 스티브 잡스와 같은 IT산업 리더를 키워낼 수 있을까.지식경제부는 지난 8월 26일 연세대를 ... ...
- [지식의 길을 묻다] IT의 미래과학동아 l2010년 10호
- 우리 사회를 얼마나 더 바꿀까?▶니컬라스 네크로폰테 MIT 교수는 “IT의 발전은 그 끝을 알 수 없고, 실제로 과거 산업 전체를 흔들고 있다”고 말했다. 대표적인 예로 종이책과 종이신문이 전자책과 전자신문의 공격을 받고 있는 사례를 들었다. MIT 미디어랩을 창설하며 ‘디지털 전도사’라는 ... ...
이전2722732742752762772782792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