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립
관립
국정
국유
국립과학관
과학관
국립현대미술관
d라이브러리
"
국립
"(으)로 총 3,349건 검색되었습니다.
삼복더위와 누렁이의 수난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개고기가 양기를 일으키며 정력증진에 특효가 있다는 주장이 생겨난 것 같다. 하지만
국립
보건원의 분석에 따르면, 개고기는 돼지고기나 닭고기에 비해 오히려 열량이 낮아 힘을 내는 데는 적당하지 않다. 1백g당 열량이 쇠고기 1백16kcal, 돼지고기 1백35kcal, 닭고기 1백26kcal인데 비해 개고기는 1백1 ... ...
보이지 않는 위험 보이지 않는 과학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한다.1970년대 초 처음으로 이 총을 시험 제작했던 리차드 마샬 박사와 오스트레일리아
국립
대학의 동료들은 5m 크기의 레일과 막대한 전류(1백60만 암페어)를 이용해서 초속 6km로 분사되는 레일건을 만드는데 성공했다.그러나 레일건은 현재 기술로는 아직 해결해야 할 문제점이 많다. 우선 열로 ... ...
온실효과의 두 얼굴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기온 상승이 1만년 동안 일어난 기온상승과 맞먹을 만큼 컸다는 얘기다. 또 지난해 미
국립
해양대기청(NOAA)에서 발표한 바에 따르면 1997년 지구의 평균기온은 16.92℃로 지난 5백년 동안 가장 높았다.우리나라의 경우만 봐도 비슷한 결과를 얻는다. 1998년 우리나라의 연평균 기온은 14.5℃로 1907년 ... ...
다이옥신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권고 사항이다. 담배 연기에서 적지 않은 다이옥신이 검출되기 때문이다.지난 6월 8일
국립
환경연구원에 따르면 일본 교토대의 한 연구팀이 담배 한갑을 피울 때 평균 1.8pg의 다이옥신이 연기와 함께 배출된다고 밝혔다. 국내 흡연자의 경우 1인당 하루 평균 담배소비량은 1.12갑이다. 그렇다면 ... ...
생명에너지 기 존재하는가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오장육부의 병이 낫게 된다. 서구에서 대체의학의 하나로 취급되는 침술은 1997년 미국
국립
보건원(NIH)으로부터 몇가지 통증과 메스꺼움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인정받았다. NIH는 침술과 서양의학을 이론적으로 조화시키는 묘안을 찾아내지 못했으나 침술이 몸 안에서 엔도르핀의 ... ...
현대고등학교 자동차·항공기 연구반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기술과목을 가르치면서 FETS를 지도하는 구기복(50) 교사가 2년 전 러시아 모스크바
국립
항공대학 등에 연수갔을 때 아이디어를 얻었다. "이런 구조 덕택에 회전할 때 안쪽 바퀴와 바깥쪽 바퀴의 회전수를 달리하는 차동장치가 필요없었기 때문에 부품 수를 대폭 줄일 수 있었다"고 설명하면서 "이런 ... ...
이산화탄소 증가로 위협받는 산호초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해양의 이산화탄소 저장과 그 영향에 많은 관심을 기울여왔다. 이에 대해 미국
국립
대기연구센터의 연구자들은 이산화탄소의 농도증가가 해양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열대지역의 산호초를 선택했다.산호초는 산호 혹은 칼슘을 분비하는 조류에 의해 생산된 탄산칼슘이 ... ...
암호를 해독하기 위해 탄생한 컴퓨터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않았다. 그 덕에 에니악은 최초의 컴퓨터라는 지위를 누렸다.2차대전이 끝나자 튜링은
국립
물리학연구소와 더불어 자동계산기를 연구했다. 그러나 동성연애자라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곤경에 처했다. 그는 이 과정에서 매우 역사적인 논문을 썼다. 1950년에 발표한 ‘컴퓨터와 지능’이란 논문이다. ... ...
달표면의 헬륨3 지도 제작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유입된 헬륨3가 달에 어떻게 분포하는지를 밝혀낸 주인공들은 미국 애리조나주에 있는
국립
지질연구소의 존슨박사와 애리조나 주립대의 티모시, 그리고 하와이대학의 폴. 헬륨3는 핵융합반응을 일으키는데 효과적이고 핵반응시 발생하는 방사능물질의 양도 적다. 따라서 오염이 적은 21세기 ... ...
살아있는 화석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1억6천만년 전인 중생대에 살았다가 멸종된 것으로 알려졌다가 오스트레일리아 울레미
국립
공원에서 발견됐다. 3억6천만년 전에 나타났다가 공룡 멸종과 함께 사라졌다고 알려진 실러캔스도 비교적 최근에 발견된 화석어류이다. 화석어류로 빼놓을 수 없는 것은 폐어, 그러나 폐어는 3종 ... ...
이전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