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우주를 새롭게 밝힐 뉴페이스수학동아 l2017년 01호
- 6.5m에 달한다. 허블 우주망원경보다 2.7배 큰 크기로 빛을 모으는 면적이 커져 더 먼 곳의 빛까지 볼 수 있다. 지구와 태양의 중력이 상쇄되는 ‘랑그랑주점’에 머물며 우주를 관측할 예정으로 제임스 웹의 목적은 빅뱅 직후 초기우주를 연구하는 것이다. 허블 우주망원경이 보여준 사진 이상의 ... ...
- [찰칵 퍼즐 여행] 제주도수학동아 l2017년 01호
- 2017년 새해가 밝았어. 새해에는 퍼즐을 풀며 멋진 여행지로 떠나보려 해. 처음으로 가볼 곳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여행지인 제주도야. 앗, 그런데 여러분이 수행할 미션이 하나 있어. 바로 첫 번째 퍼즐부터 네 번째 퍼즐까지 풀고, 각 퍼즐에 표시된 ○△◇에 해당하는 숫자를 (○+△)÷◇-과 ... ...
- [과학뉴스] 인류가 만든 ‘문명’, 30조t에 달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이끄는 국제 연구팀은 그동안 지질학자들이 도시, 시골, 지하, 해양, 대기 등 다양한 곳에서 계산한 물리적인 환경에 대한 수치를 바탕으로 전 세계 문명의 무게를 측정했다. 그결과, 30조t이라는 근사치를 얻었다. 이는 테크노스피어가 지표면 1m2당 50kg의 질량을 차지하고 있다는 뜻이다.논문의 공동 ... ...
- [Future] 안동 권씨가 대전에 살게 된 까닭은?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보이는 곳으로는 제주도(핑크색)와 강원도 남부(보라색), 안동(파란색), 성주(하늘색) 4곳이었다. 제주도와 강원도는 지형적인 고립에 의해 고유한 성씨 구성이 유지된 것으로 보인다. 안동과, 최근 사드 배치로 논란을 빚었던 성주는 특유의 문화를 고집해 온 것이 성씨 구성의 독립성을 유지한 ... ...
- [Future] 구글·네이버 번역기가 갑자기 ‘열일’하게 된 이유는?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곳에 위치할 것이다. Kitten에 상응하는 한국어 정보가 없다고 하더라도 최소한 가까운 곳에 있는 고양이로는 번역이 가능하다. 구글은 논문에서 “강아지는 차보다 고양이와 연관성이 높고, 버락 오바마는 베트남보다는 힐러리 클린턴과 더 연관이 높다”는 예시를 들며 “번역 시스템은 벡터를 ... ...
- Part 1. 허블 상수 논쟁 끝내기과학동아 l2017년 01호
- . 연구팀은 가까운 외부 은하 19개에 속한 약 2400개의 세페이드 변광성과, 그보다 더 먼 곳에 있는 Ia형 초신성 300여 개를 관측해 허블 상수가 약 74(km/sec)/Mpc라고 주장했다. 1Mpc(메가파섹·빛이 326만 년 가는 거리) 떨어진 두 은하가 1초에 74km씩 멀어진다는 뜻이다. 기존에 플랑크 위성이 관측한 ... ...
- Part 2. 암흑에너지 없이 가속팽창 설명하기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공간 팽창률에 영향을 미쳐 우주의 가속팽창을 유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질이 적은 곳은 빠르게 팽창해 부피가 크게 늘어나므로 평균적으로는 우리 근방의 우주가 가속팽창할 수 있다.이런 이론들은 현재로선 초신성 관측 결과는 잘 설명하지만 우주배경복사 같은 다른 관측 자료를 동시에 ... ...
- [Origin] 길들여지지 않는 새, 이클립스 깃털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위해 인간의 뼈로 명확히 조사하는 것이 옳은 방법이지만, 인간이 생활하는 모든 곳에 집닭이 살기 때문에 틀린 말은 아니다. 매년 약 400억 마리의 닭이 도축되고 약 200억 마리의 닭은 그와 관계없이 항상 사육되고 있다. 닭의 용도는 단순히 식재료에 국한되지 않는다. 매년 수백만 마리의 닭이 독감 ... ...
- [Culture] 11분의 1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겁니다. 제가 기준 오빠와 함께 그곳에 가리란 걸요.EM드라이브로 움직이는 우주선도, 그곳에 가면 설치하게 될 바이오스피어-5도 자동이어서 우리는 길지 않은 훈련만 받으면 되었습니다. 저는 그제야 기준 오빠의 다리 부품이 중력의 변화와 상관없이 작동한다고 설명되어 있던 제안서를 ... ...
- [Future] 미래 바꿀 7대 기술은 무엇?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밀리초, 1ms는 1000분의 1초) 수준으로 줄일 것이다. 여기에 VR 기술까지 접목하면, 아주 먼 곳의 일도 마치 눈 앞에서 일어나는 일처럼 실시간으로 볼 수 있다. 2011년 일본 후쿠시마에서 원자력발전소 사고가 일어난 뒤, 사람을 대신해 위험한 지역에서 작업을 할 수 있는 로봇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 ...
이전2722732742752762772782792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