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1,681건 검색되었습니다.
항생제보다 100배 강한 마늘
어린이과학동아
l
201211
덜 맵답니다. 불에 익혀도 영양가가 달라지지 않아요.너희가 병균을 무찌른다고?최근
미국
과학자들은 우리가 항생제보다 100배나 강하다는 사실을 알아냈어요. 특히 식중독균의 하나인 캄필로박터균을 죽이는 데 탁월하다는 거예요. 캄필로박터균에 감염되면 위경련이 일어날 수 있어요. ... ...
Part 1. 응답하라 백두여우
과학동아
l
201211
셈입니다. 하지만 그 이유만으로 여우가 사라진 이유를 설명하진 못합니다. 1970년대에
미국
과 캐나다에서는 매년 평균 38만 마리가 넘는 여우를 잡아들였지만 여전히 살아가고 있거든요.우리 조상들이 사라진 더 큰 이유는 1960~1980년대 있었던 쥐잡기 운동 때문이라고 해요. 쥐가 너무 많아 곡물이 ... ...
태양에서 물이 왔다고?
과학동아
l
201211
형태의 물 입자가 태양에서 왔을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가 나와 주목받고 있다.양 리우
미국
테네시대 박사팀은 달에 있는 물 입자를 분석한 결과 물 입자를 이루는 수소이온은 태양풍에서 유래된 것이며 달에 충돌하는 순간 산소 입자와 결합하면서 물이 된 것 같다고 ‘네이처 지오사이언스’에 1 ... ...
생쥐도 노래한다
과학동아
l
201211
미국
듀크대 연구진이 생쥐들도 실제로 노래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연구 결과를
미국
공공도서관학회지 ‘플로스원’ 10월 11일자에 발표했다. 지금까지 생쥐의 ‘가창력’에 대해서 밝혀진 사실은 짝짓기 상대를 유혹하기 위해 소리를 내는 정도였다. 이때 생쥐는 상대방에게 50~100kHz 대역의 ... ...
흠집 스스로 고치는 탄소구조체
과학동아
l
201211
종이로 축구공을 감싸려고 했을 때 구겨지는 부분이 생기는 것과 같은 이치다.폴 차이킨
미국
시카고대 물리학과 교수팀은 입체 결정구조에서 발생하는 결점을 스스로 고치는 방법을 발견해 학술지 ‘네이처 머티리얼’ 9월 30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입체 결정의 표면 중 2개의 흠집이 난 곳 ... ...
어릴 적 가난이 유전자에 흔적 남긴다
과학동아
l
201211
비롯해 스트레스, 나이, 성별이 유전자에 어떤 변형을 주는지를 알아내고 그 결과를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10월 16일자에 발표했다.살아가는 동안 사람의 유전자는 ‘메틸화’라는 과정 때문에 작동 스위치가 켜지기도 하고, 꺼지기도 한다. 그리고 메틸화는 ‘유전자 각인(gene imprinting)’이라는 ... ...
그는 왜 냄새를 맡지 못할까
과학동아
l
201211
경제 위기가 온 것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2011년 발표하기도 했다.2011년 아드리안 레인
미국
펜실배니아대 범죄학과 교수팀은 사이코패스를 진화심리학적으로 풀어보려는 시도를 했다. 사이코패스가 장기적인 인간관계, 정서적 공감능력을 잃어버린 대신 현대 사회에 요긴한 피상적인 매력, 남을 ... ...
농사는 인류를 부자로 만들었을까?
과학동아
l
201211
삶과 더 가까워진 것일까요. 오히려 거리가 더 멀어진 건 아닐까요. 조지 아멜라고스
미국
에머리대 인류학과 교수가 “농경은 인류 역사에서 가장 큰 잘못”이라고 평한 것은 아마 이런 이유 때문일 것입니다. 유전학으로 다시 평가 받은 농경 문화 하지만 농경이 인류에게 잘못된 만남이기만 했던 ... ...
얇은 껍데기가 큰 힘을 견디는 비결은?
수학동아
l
201211
법칙을 발견했다. 하지만 구 외의 다른 형태에 대해서는 찾지 못하고 있었다.그런데 최근
미국
MIT 연구팀이 더 복잡한 기하학적 구조와 강도 사이의 연관성을 찾아냈다고 발표했다. 연구팀은 우선, 3차원 프린팅 기술을 사용해 다양한 재료로 여러 가지 모양의 타원형 껍데기들을 만들었다. 그리고 ... ...
좌우로 흔들리는 포니테일의 비밀, 이그노벨상 수상!
수학동아
l
201211
공로를 인정받았다. 유체역학상은 ‘커피를 들고 걸으면 왜 쏟아질까’라는 연구를 한
미국
캘리포니아대 기계공학과의 HC.매이어와 R.크레체트니코프에게 돌아갔다. 또한 심리학상은 왼쪽으로 자세를 기울이면 에펠탑이 더 작아 보인다는 사실을 입증한 네덜란드의 에라스무스대 사회과학부의 ... ...
이전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