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지막
종결
결말
최후
대단원
끝판
첨단
d라이브러리
"
끝
"(으)로 총 4,348건 검색되었습니다.
03 암세포 침투로 막는 한방 항암물질
과학동아
l
200111
기존의 수술, 화학요법, 방사선치료 등이 주축이다. 앤지옴은 다만 이들의 1차치료가
끝
난 후 잔여암의 재발 방지와 전이를 막기 위한 보조적 수단일 뿐이다. 한방 자체만으로 암세포를 정복하기 위해서는 넘어야 할 산이 많다 ... ...
방랑자 혜성의 진면목 최초 포착
과학동아
l
200111
지나가다가 태양쪽으로 방향이 바뀌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딥스페이스가 긴 여정
끝
에 보렐리에 가장 근접한 때는 9월 22일 22시 30분(세계표준시)이었다. 탐사선은 혜성에 2천2백km까지 접근했다. 이때 얻을 수 있었던 영상은 혜성핵에 대한 것으로 지금까지 얻었던 영상 중 최고로 평가받았다. ... ...
하늘과 만나는 지혜의 경계면 지붕
과학동아
l
200111
대략 세가지이다.그 첫번째는 첨두 아치다. 위가 둥근 일반 아치와 달리 이슬람 혈통의
끝
이 뾰족한 첨두 아치는 옆으로 미는 추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벽을 가늘고 높은 기둥으로 대체할 수 있게 한다.두번째는 추력에 저항하는 측벽인 버트레스에 활꼴 모양의 구멍을 내 무게도 줄이고 그 밑의 ... ...
Ⅰ 노벨상 Best3 vs Worst3 : 물리학 - 상대론 빠진 수상, 그래도 아인슈타인 최고
과학동아
l
200111
마무리짓는데 중심역할을 한 점 역시 높이 평가됐다. 양자론을 부정하던 아인슈타인과의
끝
없는 논쟁에서 항상 양자론의 입장을 돋보이게 한 주인공 역시 보어였다.3위를 차지한 하이젠베르크의 경우는 양자론에 행렬을 처음 도입해 체계화한 공로가 높이 평가됐다. 실용적인 면에서는 슈뢰딩거의 ... ...
지금은 새로운 멸종 시기
과학동아
l
200110
추운 기후 탓에 멸종했다고 말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또다른 해석에서는 고생대가
끝
날 무렵에 초대륙 판게아(Pangaea)가 있었다는 사실에 주목한다. 대륙이 모두 모여 있으면, 대륙붕의 면적이 줄어들기 때문에 얕은 바다에 사는 생물들 사이에 경쟁이 심해져서 생물의 멸종이 일어났다는 설명이다 ... ...
달에 도착한 최초의 우주인 항아와 오강
과학동아
l
200110
임금의 처사에 불만이 가득했다. 예는 그 후로 천하를 여행하기로 했다. 그가 서쪽
끝
에 사는 서왕모를 찾아가자 서왕모는 그를 불쌍히 여겨 불사약 두사람 몫을 주었다. 집으로 돌아온 예는 불사약을 탁자 위에 놓고 길일을 잡으러 점술사를 찾아갔다.그때 밖에서 돌아온 항아는 예의 쪽지를 보고 ... ...
2 활용 : ③ DNA 임무수행 동영상으로 즐긴다]
과학동아
l
200110
일일까. 우선 단백질의 긴 체인의 한쪽을 시료의 기판 위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반대편
끝
을 AFM의 탐침에 고정시킨다. 여기에는 쉽지 않은 나노조작 기술이 필요하다. 그런 후 탐침을 시료로부터 점점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여간다. 이때 단백질을 잡아당기는데 필요한 힘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다. ... ...
한반도 강타한 공포의 토네이도 용오름
과학동아
l
200110
자전에 의해 항상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을 한다.적란운은 대기의 하층부터 대류권
끝
까지 아주 높고 깊게 발달하는데 그 안에서는 상승기류가 생긴다. 이는 마치 주전자의 물을 끓이는 것과 같다. 끓는 주전자 뚜껑을 열면 흰 김이 올라간다. 김은 수증기가 물방울로 변한 것이다. 수증기는 많은 ... ...
스티븐 호킹 필적하는 로저 블랜포드
과학동아
l
200110
문제는 근본적인 것이기 때문에 외계행성에 관한 주제도 재미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끝
으로 한국의 젊은이에게 한마디를 부탁하자 블랜포드 교수는 자신의 평소 지론을 펼쳐보였다. 현재 세계적으로 물리학과 천문학을 공부하려는 학생들이 줄고있다는 안타까움을 토로한뒤,“ 우주는 ... ...
식물에 빗댄 속담풀이
과학동아
l
200110
생장점이 온몸에 흩어져 있어 길이생장을 하기 때문이다. 보통 식물들의 생장점이 줄기
끝
에만 분포하는 것과 비교하면 빨리 자랄 수밖에 없는 구조를 갖춘 셈이다 ... ...
이전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