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약
약제
약물
약품
의약품
의약분업
분업
뉴스
"
의약
"(으)로 총 3,135건 검색되었습니다.
[점검! 文정부 과기정책⑦] 학생연구원 처우 개선, 대학은?
동아사이언스
l
2017.07.28
석·박사과정 학생연구원 4000여 명은 전체 학생연구원의 10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의약
계열을 제외한 이공계 석·박사과정 학생연구원은 2015년 입학생을 기준으로 3만4860명에 이른다. 출연연 학생연구원 중에서도 근로계약 체결 의무화 대상은 근로자 성격이 강한 기타연수생 1700여 명(전체의 약 5% ... ...
실시간으로 당뇨 진단하는 콘택트렌즈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7.27
7일 밝혔다. 지난해 스위스에서 녹내장 환자용 안압 실시간 진단 렌즈를 개발해 미국 식품
의약
국(FDA)에서 판매 승인을 받았지만 당뇨병 환자용 실시간 혈당 진단 콘택트 렌즈가 개발된 것은 처음이다. 포스텍 제공 혈당을 진단하려면 주사바늘로 채혈을 한 뒤 혈액 속 당 농도를 확인해야 한다. ... ...
스마트폰으로 질병을 진단하는 해외 앱들
과학동아
l
2017.07.27
발달장애, 간질에 의한 발작 예측 등을 연구하고 있다. 1997년부터 2017년 2월까지 미국식품
의약
국(FDA)이 승인한 모바일 의료 관련 앱은 219개에 이른다. 미국의 모바일 건강 앱 컨설팅 회사인 리서치투가이던스(research2guidance)는 모바일 건강 앱 개발자 경제 2016 보고서를 통해 2018년에는 34억 명 이상이 ... ...
불임-피임, 이제 남성의 몸도 연구한다
2017.06.30
남성 350명 대상의 세 차례 임상시험에서 99.96% 피임 성공률을 보였다. 인도네시아 식품
의약
청 허가를 기다리고 있고, 1년간 안전성 검사가 끝나면 판매할 예정이다. 불임의 원인인 항정자 항체를 역이용한 피임약 연구도 있다. 정액을 굳히는 방식이다. 마이클 올랜드 전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 ... ...
춤을 추듯 몸이 제멋대로 움직이는 ‘헌팅턴 무도병’ 치료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6.19
발병 기작을 규명, 치료제 개발의 물꼬를 텄다. 류훈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뇌
의약
연구단 겸임연구원 팀은 헌팅턴병 환자의 뇌에서 특이적으로 증가하는 효소를 억제하는 치료법의 효능을 동물실험을 통해 확인했다고 19일 밝혔다. 2006년 연구진은 헌팅턴 병 환자의 뇌 조직에서 ... ...
미세먼지에 효과있는 마스크 따로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6.16
마스크를 이용해야 합니다. GIB 제공 공산품으로 팔리는 일반 방한대와, 식약처에서
의약
외품으로 관리하는 보건용 마스크는 섬유의 종류부터 다릅니다. 일반 방한대는 보통 천으로 만듭니다. 실을 짜서 만들기 때문에 섬유가 직각으로 교차하죠. 그 틈새로 미세먼지가 침투합니다. 반면 보건용 ... ...
동물실험없이 항암제 독성 시험하는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6.13
생식에 미치는 영향 - KIST 제공 강 연구원은 “앞으로 항암제 독성평가뿐 아니라 여러 식
의약
품의 효능을 찾거나 약물 작동 원리를 밝히는데 요긴하게 쓰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독성학분야 국제학술지 ‘환경독성학회지’ 6월호 표지논문으로 선정됐다. ... ...
죽음 부른 '해피벌룬' 가스...아산화질소 관리 비상
동아사이언스
l
2017.06.07
“시중에 유통되는 산업용 아산화질소 관리는 환경부 소관”이라고 선을 그었다.
의약
품용 아산화질소는 의료용이란 표시를 명시하고 의료기관 등의 취급자에게만 공급되도록 규정돼 있다. 따라서 불법 유통하면시 약사법령에 따라 처벌할 수 있다. 반면 산업용 아산화질소에 대한 규정은 ... ...
20초 환각제, 해피벌룬 속 가스의 진실
동아사이언스
l
2017.05.26
효과가 있는 물질을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것은 문제”라며 “미국 식품
의약
국은 아산화질소의 판매와 유통을 금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최 교수 역시 “우리도 마약과 같이 관리해야 한다”며 “전문가의 조언 없이 기체를 임의로 흡입하는 것은 위험하다”고 강조했다. 현재 ... ...
일찍 찾아온 더위, 식중독 발생위험 높다
포커스뉴스
l
2017.05.23
제공 (서울=포커스뉴스) 식품
의약
품안전처(처장 손문기)는 일찍 찾아온 더위로 인해 병원성대장균 등 세균성 식중독균에 의한 식중독이 발생위험이 높아짐에 따라 음식물의 보관·관리·섭취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23일 밝혔다. 식약처에 따르면 병원성대장균 식중독은 고온·다습한 여름에 ... ...
이전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