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제어
구속
억압
규제
콘트롤
자제
뉴스
"
억제
"(으)로 총 2,974건 검색되었습니다.
타는 목마름으로…갈증 조절하는 뇌세포 발견
2015.01.27
뇌세포군을 자극했다. 그러자 목마른 쥐는 물을 찾지 않았으며 물 섭취량을 80%까지
억제
할 수 있었다. VGAT를 자극하는 것은 다른 음식물을 섭취하는 것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주커 교수는 “뇌활밑기관은 혈액뇌장벽이라는 부위 바깥에 위치해서 인체의 수분 상태를 즉각적으로 ... ...
IS 대원이 되고 싶은 김 군의 뇌 구조는?
2015.01.23
왕성하게 발달>, 김경진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다시 말해 청소년기는 충동을
억제
하고 이성적 반응을 관장하는 전두엽이 아직 성숙하지 못한 시기여서 감각 정보를 받아들이는 능력은 성인과 비슷한 반면 현실적이고 논리적인 판단을 내리는 능력은 떨어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 ...
기억 만드는 해마신경세포 보호 물질 발굴
2015.01.22
별로 줄어들지 않았다(가운데). 유전자 구조체를 넣은 쥐에게 신경영양인자를
억제
하는 항체를 넣자 다시 신경세포가 줄어들었다. - 경북대학교 제공 ... ...
내가 금연을 하는 건 ‘담뱃값이 올라서’가 아니야
2015.01.15
나이 들수록 Y염색체가 줄어들지만, 흡연은 그 정도를 2~4배나 높인다. Y염색체에는 암을
억제
하는 일부 유전자가 들어있기 때문에, Y염색체가 줄어드는 만큼 암이 발생할 가능성도 높아진다. 하지만 금연한 사람은 그 속도가 다시 늦어진다고 한다. 2014년 12월 06일자 ...
찜질한다고 몸이 건강해질까?
과학동아
l
2015.01.13
제거? 황토 : 대장 및 자궁과 소화 기능 향상? 옥 : 골다공증? 숯 : 무좀 번식
억제
? 가장 근본적인 원리로 소개하고 있는 게 원적외선입니다. 적외선에서 파장이 긴 영역의 전자기파가 바로 원적외선인데요, 보통 파장이 15µm(마이크로미터, 100만 분의 1m)~1mm입니다. 그러면 이제부터 의심이 가는 ... ...
게놈 속의 ‘잠자는 개’를 깨우지 마세요
2015.01.12
게놈에 끼어들어간다(아래 빨간색). 숙주인 인체는 게놈을 불안정하게 만드는 전이를
억제
하는 다양한 메커니즘을 지니고 있지만 여전히 100세대에 한 개 꼴로 생식세포에서 전이가 이뤄지고 있다. 체세포의 경우는 노화에 따라 더 빈번하게 L1 전이가 일어나면서 각종 질병을 유발한다는 사실이 ... ...
난치병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 가능해졌다
2015.01.11
치료하는 치료물질을 개발했다. 이상규 연세대 생명공학과 교수팀은 자가면역반응을
억제
하는 신약 후보물질을 찾아냈다고 11일 밝혔다. 자가면역반응이란 인체 면역기능이 외부 침입물질이 아닌 자기 세포를 공격하는 이상 현상이다. 대표적인 질환으로는 면역세포들이 관절 조직을 ... ...
LED가 조명인줄만 아셨던 분, 이것 좀 보세요!
2015.01.09
효과를 높이고 있다. 김범준 중앙대 의대 교수는 “LED가 통증을 완화하고 염증 자체를
억제
해 주기 때문에 아토피 피부염이나 잇몸 염증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단국대 의학레이저연구센터와 지엘디테크가 손목, 무릎의 통증을 완화시키는 용도로 개발한 개인용 LED ... ...
배부른데 살 빠지는 ‘진짜’ 다이어트약 개발
2015.01.06
나왔다. 오늘날 여러 종류의 다이어트 약이 시판되고 있지만 체내 지방 흡수능력을 일부
억제
시키거나 식욕을 줄이는 수준이 대부분이었다. 로널드 에반스 미국 솔크 생물학 연구소(Salk Institute) 박사팀은 먹으면 마치 진짜 음식을 먹은 것처럼 포만감을 주고 체지방 연소를 자극하면서도 칼로리가 ... ...
[과학기자의 문화 산책] 정전기 무서워 커피 못마신다구요?
2015.01.04
수분 함량을 낮추기 때문이다. 술은 뇌하수체 후엽을 자극해 항이뇨 호르몬 분비를
억제
해서 소변 배출을 증가시킨다. 또 커피에 함유된 카페인은 섭취량의 2.5배에 달하는 수분을 소변으로 배출시킨다. 주 교수는 “술과 커피를 얼마나 마셔야 정전기가 증가하는지에 대한 연구 결과는 아직 ... ...
이전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