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옳음
정당함
뉴스
"
공정함
"(으)로 총 2,957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형 무인선박 기술, MIT 이어 세계대회 2위 등극
2014.12.07
김진환 KAIST 해양시스템공학부 교수팀이 자체 개발한 무인선. 김 교수팀은 10월 20~26일 싱가포르 마리나베이에서 미국 해군연구개발국(ONR)이 개최한 ‘자율무인선 경진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 KA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무인 선박 기술을 겨루는 국제 대회에 출전해 세계 2위의 성적을 올린 ... ...
‘합금만 쓸모 있다’던 상식 깬 순수 타이타늄 등장
2014.12.03
타이타늄은 내식성과 생체 친화성, 열 전달 효율이 뛰어난 금속이다. 하지만 강도가 낮아 다른 원소와 섞어 합금을 만들어 쓰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타이타늄 합금은 임플란트용 나사부터 해수담수화 시설의 열교환기까지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지만 합금에 들어가는 바나듐과 지르코늄, 몰리브 ... ...
[동정] 한국화학연구원 外
2014.12.02
■인사 ◇한국화학연구원 ▽과장급 △그린화학공정연구본부 탄소자원전환연구센터장 박용기 △나노촉매연구센터장 장종산 △온실가스자원화연구센터장 장태선 △계면화학공정센터장 박인준 △바이오융합화학연구센터장(겸직) 송봉근 △광에너지융합소재연구센터장 문상진 △분리막연 ... ...
물과 기름, 초음파로 섞어 봤니?
2014.12.01
추민철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신기능재료표준센터장팀은 초음파를 이용해 기름을 잘게 분산시켜 물과 섞이게 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계면활성제 없이도 물과 기름을 섞을 수 있는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추민철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신기능 ... ...
생기연, 중소·중견기업 기술개발 지원 사례집 발간
2014.11.27
로봇 개발업체 ‘로보로보’는 2010년 교육용 로봇의 가능성에 주목했다. 하지만 연구원을 확보하지 못해 이내 벽에 부딪혔다. 이때 등장한 구원투수가 산업통상자원부(당시 지식경제부)의 ‘기술혁신형 중소·중견기업 인력 지원사업(현행 공공연구기관 연구인력 기업파견사업)’이었다. 이 사 ... ...
의약품 핵심 원료 ‘비천연 아미노산’ 국산화한다
2014.11.26
연세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에이즈와 뇌전증, 항암제 등 다양한 의약품의 핵심 원료로 쓰이는 비천연 아미노산 생산 기술을 국산화하는 데 성공했다. 신종식 연세대 생명공학과 교수(사진)팀은 값싼 재료를 이용해서 독일이나 일본 제품보다 품질이 좋은 비천연 아미노산을 생산하는 공정 기술을 ... ...
[잘 가르치는 대학이 뜬다 ① 숭실대학교] 올해 처음 선보이는 학과, 어떻게 뽑을까
과학동아
l
2014.11.26
숭실대는 2015학년도 정시모집을 통해 1296명을 선발한다. 인문계열 학생은 가군에서, 자연계열과 예체능계열 학생은 다군에서 선발한다. 군에 상관없이 수능 95%와 학생부 5%를 반영해 학생을 선발한다. 수능성적은 표준점수로 반영된다. 탐구영역은 영역별 공정성을 위해 백분위를 계산해 반영한다. ... ...
플라스틱 기판에 무기물 반도체 옮기기 성공
2014.11.23
플라스틱 기판에 전사한 무기소재 메모리 소자. - KA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무기물로 만든 고성능 반도체를 유연한 플라스틱 기판 위에 옮길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무기물은 유기물보다 전기적 성능은 뛰어나지만 얇고 휘어지는 특성이 없어 차세대 디스플레이나 메모리 등을 만들기에는 한 ... ...
퀀텀닷 대량 생산 기술 첫 개발
2014.11.19
기계연 연구팀이 개발한 퀀텀단 대량생산 기술의 원리. 양자점 합성 원액과 양자점 분리를 위한 용매를 나란히 흐르도록 설치했다. - 한국기계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대량의 반도체 양자점을 신속하면서도 고품질로 균일하게 정제할 수 있는 원천기술을 개발했다. ‘퀀텀닷(Quantum Dot)’으로 ... ...
원료 넣고 펄펄 끓였더니 구멍이 숭숭
2014.11.18
매년 노벨상 수상자를 예측해온 학술 정보 서비스 기업 ‘톰슨로이터’가 올해 노벨 화학상 후보로 메조다공성물질을 지목했다. 메조다공성물질은 지름 2~50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의 구멍인 ‘메조 기공’이 송송 뚫려있는 소재다. 크기에 따라 기공의 종류도 나뉜다. 지름 2nm 이하는 ‘ ... ...
이전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