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의료
의술
메디컬
메디칼
medical
d라이브러리
"
의학
"(으)로 총 2,978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내 최초의 직업병전문연구소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사람들의 건강문제를 전혀 고려치 않은 극히 이기적인 발상임에 틀림없다. 실제로 예방
의학
자들 사이에 자주 거론되는 “예방비용은 ‘온스’에 불과하지만 치료비용은 ‘파운드’(16온스)에 이른다”는 말을 인용치 않더라도 국가적 차원에서 직업병연구는 낭비를 막아주는 소중한 분야라 할 수 ... ...
식민통치와 한국의 과학발전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이영춘, 최성장등과 함께 연구한 ‘알레르기에 대한 실험적 연구’, 최동의 ‘법
의학
적으로 조선인혈형과 기생충학적으로 조선인 피낭 아메바환자의 통계학적고안’은 높은 평가를 받은 업적이었다.한편 생물학분야에서도 비교적 많은 연구업적이 나왔다. 그중에는 장형두의 ‘조선식물소보’(193 ... ...
인간의 수명한계는 115~120년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이는 그렇게 쉽게 해답이 얻어지는 문제가 아닌, 복합적이고도 어려운 문제이다. 현대
의학
의 최대 도전거리가 되고 있는 문제이기도 하다.옛날에는 우리주변에 이런 질병이 많지 않았으나 개발문명사회로 바뀌고 식생활의 서구화 및 환경오염이 증가하면서 심장혈관질환과 암성질환이 늘고 있다. ... ...
유전자 조작기술을 활용한 유전병 치료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있다면, 이 염기서열에 관한 자료를 얻는 것은 지극히 중요한 일이 될 것이다. 분자
의학
을 위한 부산물도 무시할 수 없을 것이다.또 다른 측면으로 비용의 문제가 있다. 적어도 3억 내지 10억 달러의 가격표가 그 프로젝트에 붙게 될 것이다. 다른 분야로부터의 인적·물적자원의 재배치가 정당한 ... ...
약사 약사와 약장수의 갈림길에서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대한 나의 설명을 귀찮아 했다. 오히려 다짜고짜 무슨 병이냐고 물으며 정확하지도 않은
의학
상식으로 자신이 결정해 버린 질병을 확인받고자 했다. 대개 이러한 경우 자신의 질병을 확대 해석하기 일쑤이다.더 힘든 경우는 자신이 약값 약종류까지 결정하고 올 때이다. 부작용이 많은 약이거나 ... ...
통계의 함정 숫자놀음이 많다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의 상관계수가 높다고 해서 냉장고가 암의 원인이라고 결론지을 수는 없는 것이다. 물론
의학
적 연구로 이 주장은 쉽게 판가름 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통계는 원인과 결과를 증명해 줄 수 없다. 대답하기 곤란한 질문을 캐낸다우리나라의 고등학교에서 학생들의 흡연경향이 높아졌다고 모두들 ... ...
자폐증 밉지 않은 「레인맨」,그러나 방치하면 큰일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그래서 모든 책임을 엄마에게 돌렸으나 실제 정확한 원인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최근의
의학
지식에 의하면 환경적 심리적 원인보다는 다른 데 병인(病因)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즉 일차적 주된 원인으로 뇌의 외부자극에 대한 지각-인지 통합기능 장애를 꼽는 것이다.자폐증처럼 부모 치료자 ... ...
암의 예측과 이에 따른 예방 5년이내 가능할 듯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이 연구를 극찬한다.또 미국 국립암협회의 한 분과 위원장이며 유니폼드 서비스대학이
의학
교수인 '존 민나'교수는 "임상적인 활용이 눈 앞에 왔다" 고 주장, 머지않아 실제로 병원에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신중하게 대처해야···그러나 일부 연구자들은 '성급함'을 경고하고 있다. 임상적인 ... ...
사인규명을 둘러싼 논란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이철규군 변사사건을 계기로
의학
계에 법
의학
의 「제자리찾기」 노력이 일어나고 있지만··· 최근 잇달은 의문사의 사인(死因)을 명쾌하게 규명 ... '익사'라는 이철규군의 사인이 뒤집히기는 힘들 것으로 보이지만, 이로인해 제기된 법
의학
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논쟁은 계속될 전망이다 ... ...
사람을 너무 닮아 슬픈 운명에 오랑우탄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삼림을 벌채하면서 오랑우탄은 살 터전을 점차 잃어야 했다. 또 사람과 너무 닮다보니
의학
연구단체의 실험용으로 또는 애완용으로 마구 잡혀 갔던 것이다.아무튼 이대로 가다가는 지구상의 야생 오랑우탄은 곧 멸종될지도 모른다는 것이 국제자연보호연합회나 국제동물원연맹의 경고이다 ... ...
이전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