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합
협회
합동
합작
협력
연맹
교제
스페셜
"
공동
"(으)로 총 3,012건 검색되었습니다.
[Green Focus
동아사이언스
l
2014.08.21
생산하는 시스템이다. 특히 한국은 미국의 원천기술인 등온압축공기에너지저장기술을
공동
으로 도입해 실증하고 사업화할 계획이다. 한편, 제주 스마트그리드 실증사업의 성과를 바탕으로 스마트그리드 확산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될 전망이다. 확산사업은 에너지소비 컨설팅, 전력 재판매, ... ...
[신재생에너지 기획④] 첨단 지열발전 시스템, EGS
동아사이언스
l
2014.08.11
1980년대 후반부터 비화산지대인 프랑스 슐츠(Soultz)에서 유럽 국가들에 의해 국제적
공동
연구가 수행되면서 지금의 EGS 기술로 불리게 됐다. 현재 슐츠에는 1.5MW의 지열발전소가 가동 중이다. 슐츠의 경험을 바탕으로 세계 각국에서 EGS 기술을 통한 지열발전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는데, 호주의 ... ...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을 실시간으로 본다!"
IBS
l
2014.08.07
상황 또는 위험한 가스를 사용하는 상황의 실험에 대해서는 신 박사가 직접 참여해서
공동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IBS와 학교 측의 원활한 협력도 성공의 필수 요소 신재원 선임 기술원은 "IBS가 계속 초기처럼만 연구의 자율성을 존중해 줬으면 좋겠다."라는 바람을 비췄다. - IBS 제공 신 박사는 ... ...
"유전체교정 기술로 세상을 바꾼다!"
IBS
l
2014.08.06
기법은 전 세계 실험실에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IBS 제공 그는 1999년 툴젠을
공동
설립해 2005년까지 최고경영자(CEO) 및 최고과학책임자(CSO)로 역임했다. 어떤 계기로 회사를 설립한 것일까. "미국에서 공부하며 보니까 암젠(Amgen), 젠자임(Genzyme) 같은 회사가 작은 실험실 벤처로 시작하더군요. ... ...
1976년 에볼라 역병은 어떻게 시작되었나
2014.08.04
병원을 떠나며 수녀들에게 세 가지를 당부했다. 즉 환자는 무조건 입원시키고 사망자는
공동
묘지에 묻고 물을 끓이라는 것. 의사가 떠나고 이틀 뒤인 19일 베아타 수녀가 숨을 거뒀다. 마침내 정부는 자이르국립대의 교수 두 명을 얌부쿠로 파견했다. 미생물학자인 린탁(Lintak)과 역학자(epidemiologist)인 ... ...
탈북 과학기술인 “북한선 중산층 이상으로 살았는데…”
과학동아
l
2014.07.22
산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은 탈북 지식인들의 모임인 ‘NK지식인연대’와
공동
으로 ‘탈북 과학기술인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22일 밝혔다. 조사에 따르면 자신의 전문성을 활용한 적이 있는 사람은 26%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설문은 NK지식인연대 소속 탈북자 600여 명 ... ...
"세계 최고의 중이온 가속기 구축과 기술자립"
IBS
l
2014.07.09
국내·외에서 모여든 인재들 정회천 박사 - (주)동아사이언스 제공 지금은
공동
의 목표를 위해 함께 일하고 있지만, 이들 네 명은 각각 다른 이유로 사업단에 합류했고 다른 성향의 스타일을 가지고 있다. 우선 정회천 박사는 좀 더 자유로운 연구를 하기 위해 사업단에 합류했다. 방산업체에서 ... ...
글루텐을 위한 변명
2014.07.07
관점에서 빵은 고체거품으로 80%가 공기로 이뤄져 있다. 빵은 글루텐과 효모의 위대한
공동
작품이다. - (주)동아사이언스 제공 지난 2006년 ‘잡식동물의 딜레마’를 출간하며 주목을 받은 저술가 마이클 폴란의 최신작 ‘요리를 욕망하다’가 얼마 전 번역출간됐다(원서는 2013년 출간). 타의 추종을 ... ...
[채널A] “판다 함께 살리자” 한중
공동
연구…우호관계 상징
채널A
l
2014.07.07
넘는 비싼 임대료 때문에 1998년 외환위기 당시 다시 중국으로 돌려보냈습니다. ‘판다
공동
연구비’ 명목으로 모인 임대료는 정부 산하 야생동물보호 관련 협회에 지급돼 판다의 번식을 연구하는 데 쓰입니다. 1957년부터 시작된 '판다 외교'로 중국 판다는 현재 미국과 영국 등 13개 나라에서 47마리가 ... ...
물고기 복지에 대한 고찰
2014.06.23
역사는 5억 년이 넘는 게 맞지만 나머지 척추동물들은 약 3억6000만 년 전 물고기처럼 생긴
공동
조상에서 진화한 것”이라며 진화는 선형적으로 이뤄진 게 아니라 방사적으로 일어났다고 설명한다. 또 4억 1000만 년 전 데본기가 ‘어류의 시대’인 건 맞지만, 물고기의 종분화가 가장 활발하게 일어난 ... ...
이전
270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