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컴퓨터"(으)로 총 4,440건 검색되었습니다.
- 엘리베이터에 물결무늬 그리면, 전화 끊길 염려 없다?동아사이언스 l2018.06.20
- 통과시키게 돕는 전자기 유도 투과 (이하 EIT) 방식이다. 변영재 UNIST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교수팀은 20일 금속 절연체에 새겨진 직사각형 안에 파도 물결과 닮은 사인곡선을 반복적으로 그려넣으면 특정 주파수의 전파가 통과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EIT는 물질을 이루는 원자에 전파 ... ...
- [표지로 읽는 과학] 상상하는 대로...3D 프린터로 찍고 자기장으로 조종하는 소프트로봇동아사이언스 l2018.06.17
- 제어도 가능하다는 뜻이다. 2차원 평면을 다양한 3차원 형태로 변형한 예. 맨 왼쪽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이고 가운데는 초기 모양 맨 오른쪽은 자기장을 통해 제어해 완성한 3차원 구조다. 원하는 대로 동작과 모양을 만들 수 있음을 확인했다. -사진 제공 네이처 연구팀은 이 방식으로 수 cm 지름의 ... ...
- 월드컵 문어에 이은 고양이 등장…승부 예측 가능할까?2018.06.17
- 데이터 분석학자 안드레아스 그롤이 이끄는 연구팀입니다. 연구팀은 월드컵 예측을 위해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10만 번 실행했다고 밝혔습니다. 그 결과 17.8%의 확률로 스페인을 월드컵 우승 후보로 꼽았습니다. 그 다음으로 독일, 브라질, 프랑스, 벨기에가 뒤를 이었습니다. 도르트문트 공대 ... ...
- 유럽 수자원 산업화 첨병 ‘佛 지질광업연구원’을 가다동아사이언스 l2018.06.16
- BRGM 몽펠리에 분원은 무엇보다 지하수 연구가 특기다. 세계적으로 지하수의 흐름을 컴퓨터 상에서 시뮬레이션하는 ‘모델링’ 프로그램은 미국이나 독일에서 개발한 것을 주로 사용한다. 이와 달리 프랑스는 자국 환경에 적합한 모델링 프로그램을 독자적으로 개발해서 사용할 만큼 관련 기술이 ... ...
- “세상에서 가장 빠른 DB” 볼트DB 한국 상륙바이라인 네트워크 l2018.06.15
- 이런 아키텍처로 데이터 처리 프로세싱의 부수적인 자원 낭비를 제거했다. 대규모병렬컴퓨터(MPP)를 도입해 노드가 증가하면 성능이 선형적으로 증가한다. 이 때문에 그 어떤 DB보다 빠르다고 자부한다. 기존에도 인메모리 DB는 있었지만, 과거 RDB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메모리만 활용하기 때문에 성능 ... ...
- 공간 일부만 보고 전체 모습 유추하는 AI… 2D 장면 몇 개로 3D 영상 만들어동아사이언스 l2018.06.15
- 구글 딥마인드 GQN은 크게 ‘표현 네트워크’와 ‘생성 네트워크’로 나뉜다. 연구진은 컴퓨터로 만든 가상의 3D 공간을 이용해 두 네트워크를 학습시켰다. 가상공간에는 정육면체 같은 도형부터 복잡한 구조의 로봇 팔까지 다양한 사물을 무작위로 배치했다. 먼저 가상공간에서 관찰카메라가 ... ...
- 인공지능의 스승은 누구? 첨단 인공지능 뒤에 묵묵히 일하는 사람들 있다동아사이언스 l2018.06.14
- 인공지능 학습데이터를 만드는 데 처음으로 사용한 것은 페이페이 리 미국 스탠퍼드대 컴퓨터과학과 교수였다. 리 교수는 인공지능의 알고리즘만큼 알고리즘에 입력하는 학습데이터가 중요하다고 판단해 2007년 수억 장의 이미지 학습데이터를 만드는 ‘이미지넷’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프로젝트 ... ...
- [아마추어?수학자!] 샌디에이고 주부 마저리, 테셀레이션 수수께끼 풀다 수학동아 l2018.06.13
- 미카엘 라오 박사가 볼록오각형 테셀레이션 방법이 오직 15가지밖에 없다는 사실을 컴퓨터를 이용해 증명했으니 라이스는 칼 라인하르트를 빼면 수학자들보다 테셀레이션을 더 많이 찾은 셈이다. *출처 : 수학동아 2018년 6월호 '세상을 놀라게 한 아마추어 수학자' ... ...
- ‘3D프린팅 주택’서 사는 날 머지않았다 동아사이언스 l2018.06.11
- 들었다. 3D 프린터를 이용하면 아무리 복잡한 비정형 골조라도 간편하게 출력할 수 있다. 컴퓨터가 입력한 구조대로 재료를 정교하게 쌓아 만들기 때문이다. 살럿 교수는 “버려지는 재료의 양을 줄일 수 있고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개인 맞춤형 주택을 짓는 데도 유용하다”고 설명했다. 첫 번째 3D ... ...
- 사람 뇌는 왜 커졌나? 사회성 vs 환경적응 vs 유전자 이론 각축동아사이언스 l2018.06.08
- 에너지를 쓰며, 그렇게 에너지를 씀에 따라 뇌 등 신체 모습이 어떻게 진화해가는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시뮬레이션 했다. 즉 배워서 기억을 저장하는 에너지, 생식을 위한 에너지 등 생존을 위한 에너지뿐만 아니라 개인의 사회적 협력 문제, 개인간 협력에 쏟는 문제, 집단간 협력문제 등 사회적 ... ...
이전2702712722732742752762772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