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역할"(으)로 총 7,338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천국제고 Sci-Fac 과학동아 동아리과학동아 l2012년 12호
- GIT4CC)’ 정상섬 교수의 강연이 이어졌다. 정 교수는 이날 ‘기후변화, 토목·환경공학의 역할은?’이라는 주제로 강연했다. 기후변화라는 말을 들으면 탄소배출을 적게 하는 방법이나 대체에너지를 개발하는 분야를 떠올린다. 교육이나 실제 연구도 이쪽으로 치우쳐 있다. 하지만 빗물에 토사가 쓸려 ... ...
- 면접관, 이렇게 물어본다과학동아 l2012년 12호
- 대한 내용은 다루지 않겠다. 영재학교보다 과학고 입시에서 면접이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과학고는 2013학년도 입시부터 신입생 입학 정원 100%를 ‘자기주도 학습 전형’으로 선발했다. 자기 주도 학습 전형은 크게 중학교장의 추천, 입학담당관의 활동, 면접으로 구성된다. 결국 과학고는 면접 ... ...
- 사회기반시설물 파괴와 산사태, 환경토목공학의 과제과학동아 l2012년 12호
- 둘의 일치점은? 지난 11월 2일, 정상섬 교수님을 찾아 뵀다. ‘기후변화! 토목환경공학의 역할은?’ 이란 주제로 열린 강연에서 교수님은 ‘적응기술’과 ‘산사태’의 피해에 따른 예측 연구에 대해서 재차 강조하셨다. “기후변화는 더욱 빈번해지고 악화될 것입니다. CO2 저감 방안, 신재생 대체 ... ...
- Part 2 . 새끼흑점의 서바이벌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새로 나타나면 자기재결합으로 폭발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 새끼흑점이 마치 방아쇠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처럼 새끼흑점에 대한 연구는 2013년에 빈번히 발생할 태양폭발의 초기 현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내년에 태양활동이 활발해지면서 많은 새끼흑점이 생길 것이다. 어느 것은 흑점으로 ... ...
- PART 2. 친구 따라 투표장 가는 ‘페이스북 법칙’과학동아 l2012년 12호
- 다른 사람에게 정보를 전달해 주는 관계가 팔로워다. 한 명 한 명이 뉴런처럼 이 두 가지 역할을 하며 다른 사람과 연결돼 있다. 뉴런이 네트워크인 것처럼 트위터의 관계도 네트워크를 이룬다.의견이 유통되는 과정도 단순하다. ‘리트위트(팔로워에게 문장을 재송신)’라는 과정이 있다. 주로 다른 ... ...
- 화학자가 본 플루오린화 수소 유출 사고의 진실과학동아 l2012년 12호
- 담당하는 환경부, 유해물질을 취급하는 작업자들을 관리하는 고용노동부가 모두 제 역할을 하지 못했다.피해를 입은 주민들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 충분하지 못했다. 주민들이 보상을 요구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사고를 일으킨 기업이 능력이 없다면 정부가 앞장서서 문제를 해결해줘야 한다는 ... ...
- 입에서 항문까지 소화 여행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속 유기물을 먹고 분해해 배설하기 때문에 토양의 질을 비옥하게 하는 중요한 분해자의 역할을 한다. 동물 중 가장 많은 개체수를 가진 절지동물(곤충류, 거미류, 갑각류)의 소화계는 좀 더 분화된 기관을 보이지만 마찬가지로 곧게 연결돼 있다. 입, 인두, 위, 장, 항문으로 이뤄져 있으나 간혹 항문이 ... ...
- Part 3. 태양의 눈부신 비밀과학동아 l2012년 12호
- 관측장치가 두 대 필요하다. 바로 태양관측 위성 스테레오A와 스테레오B가 그런 역할을 한다.이전의 태양 관측 위성은 L1 라그랑주 지점에서 태양을 관측하거나 태양을 일정한 각도로 바라볼 수 있는 위치에서 지구의 태양동기궤도를 돌면서 태양을 관측한다. L1 라그랑주 지점은 태양과 지구를 잇는 ... ...
- PART 3. 2030년 블루월드과학동아 l2012년 12호
- 구현할 미래 생활은 어떤 모습일까. 화학이 인류 문명과 산업 발전의 중추 역할을 해 온 것처럼 블루케미스트리는 자연을 재생시키는 건강하고 편리한 삶을 그린다. 블루케미스트리의 철학을 담은 재료과학과 생화학 등의 결합으로 가능해진다. 바뀐 삶 속에서 미래 화학이 나아갈 길을 머릿속으로 ... ...
- 겨울 한파, 북극 해빙은 알고 있다과학동아 l2012년 12호
- 모두 녹아 없어질 것이다. 여름철 북극 해빙이 모두 사라지면 지구 온도를 낮추는 에어컨 역할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매서운 폭염을 일으킬 수 있다. 또 가을부터는 대기가 냉각되기 때문에 많은 양의 수분과 열을 대기와 주변 지역으로 공급해 폭설을 낳을 가능성도 높다. 결과적으로 북극 해빙의 ... ...
이전2702712722732742752762772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