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연혁
유래
역사책
과정
역사학
역사과학
d라이브러리
"
역사
"(으)로 총 4,676건 검색되었습니다.
누가 다윈의 진정한 후예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것입니다. 이렇게 거대 규모의 진화는 소규모 진화의 연장선상에 있지 않습니다. 생명의
역사
에서 ‘우발성’은 피할 수 없는 운명입니다. 감사합니다.사회자: 강연 잘 들었습니다. 두분 모두 베테랑답게 강연 시간을 정확히 지켜주셨습니다. 이제부터는 종합토론이 진행될텐데 앞줄에 앉아계신 ... ...
과학계 초대 얼짱은 초상화 덕분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우선권을 다툰 라이프니츠와 친한 사람들에게는 한점도 주지 않았죠.병약한 샌님에서
역사
적 천재로 그렇지만 아이러니컬하게도 실제로 대중들에게 천재 이미지를 심어준 것은 뉴턴 생전에는 알려지지 않았던 소박한 초상화였습니다. 뉴턴은 ‘프린키피아’를 출간하던 1689년 초상화가로 명성이 ... ...
역사
속에서 걸어나온 과학기술자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일반적인
역사
의 범주에서 떼어내는 것에 반대한다. 과학과 문화와 생활이 빚어낸 것이
역사
이며, 과학은 바로 그 시대를 상징하는 문화라는 생각 때문이다.1백년 전에 우주를 여행하고, 바다 밑을 탐험하는 것을 과학의 영역으로 믿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하지만 오늘날 이 두 분야는 가장 ... ...
06. [시간의 심리] 연인과의 시간은 왜 빨리 가나?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시간의 기원] 시간의 시작은 있나? 02. [시간의 물리학] 시간여행은 가능한가? 03. [시간의
역사
] 옛날에는 시간약속을 어떻게 했나?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시간을 알았을까 04. [시간의 측정] 왜 시계는 정확해져야 하나?05. [시간과 생체] 우리몸은 어떻게 시간을 알까? 06. [시간의 심리] 연인과의 ... ...
조류 독감 비상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확산에 대한 위기감이 고조되면서 30년 주기론에 대한 공포감이 고개를 들기 시작했다.
역사
상 10년 또는 30년 단위로 변종 독감이 발생해 수많은 사람들의 목숨을 앗아갔는데 바로 이번이그 시기라는 것. 지금까지 알려진 최악의 독감은 지난1918년 2천5백만명의 사망자를 낸 스페인 독감이며 1957년과 ... ...
남극 극한 환경 무릅쓴 불굴의 도전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사우스 오크니군도의 오르카다스 기지를 시작으로, 여러 기지를 운영한 아르헨티나는 긴
역사
만큼 사고도 많았다.가장 큰 비극은 1976년 9월 15일 세종기지가 있는 킹조지섬에서 남서쪽으로 1백km 정도 떨어진 리빙스톤섬에서 일어났다. 아르헨티나 해군비행기가 1천7백m 높이의 버나드산에 충돌해 ... ...
03. [시간의
역사
] 옛날에는 시간약속을 어떻게 했나?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3일에 개 한마리라도 죽었다면 그건 거짓말이 된다. 별것 아닌 것처럼 보이는 달력이 왜
역사
적 중요성을 가지는지 보여주는 사례다.‘1월 1일’ 새해의 기준은 언제 생겨났을까?한해가 주기적으로돌아온다는 것은 자연적인 시간이므로 고대인들도 잘 알고 있었다. 다만 한해의 시작을 언제로 잡을 ... ...
2003년 한국의 쿨한 과학상품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8명 동시접속 온라인 대화기능도 있다. www.humusmog.co.krFDA 승인 첫 국내 신약우리나라 제약
역사
1백6년만의 쾌거. LG생명과학이 개발한 차세대 퀴놀론계 항균제 팩티브(Factive)는 2003년 4월 국내 신약으로는 처음으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공식 승인을 받았다. 이로써 한국은 미국, 일본, 영국 ... ...
02. [시간의 물리학] 시간여행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충돌이 일어나지 않는 것과 같도록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 결과 과거와 미래를 전체
역사
로 보았을 때 이들의 만남이 없던 것처럼 된다. 따라서 이들의 만남으로 생기는 상호 인과관계의 모순이 사라지는 것이다. 이 경우는 아주 특별해 미세한 조정작업을 통해 만들어진다. 그런데 이 작업이 ... ...
04. [시간의 측정] 왜 시계는 정확해져야 하나?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필요하다. 시계의 정확도가 점점 높아지면서 인류 문명도 더불어 발전해 왔다.인류의
역사
에서 16세기 무렵은 신대륙을 찾아 나섰던 대항해 시대였다. 배를 타고 망망대해를 여행할 때 배가 현재 어디에 있는지를 알 수 있는 방법은 해와 달, 별의 위치를 관측하는 것이었다. 당시 남북 방향으로 ... ...
이전
270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