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연혁
유래
역사책
과정
역사학
역사과학
d라이브러리
"
역사
"(으)로 총 4,676건 검색되었습니다.
풍선 타고 우주 향하는 인류의 도전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말이다.1961년 5월 의사이자 비행사인 빅토 파더가 비행전문가인 말콤 로스와 함께
역사
적인 기록을 남길 9시간의 기구비행에 나섰다. 이들의 생명은 우주비행복의 성능에 달려있었다. 목숨을 걸고 우주비행복을 시험한 셈이었다. 이들이 달성한 고도는 34.67km. 파더와 로스는 이 고도에서 안전하게 ... ...
트레비식, 철도 시대를 열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다링턴 사이에 석탄 운반을 위한 최초의 정기 철도 노선 운행이 가능해졌다.철도
역사
의 서막을 장식한 트레비식은 1816년, 거듭된 실패로 기관차 사업에서 손을 떼고 있던 차에 자신의 증기기관 개선을 요청한 남미 광산주의 초청으로 페루로 갔다. 하지만 그곳에서 독립전쟁에 연루돼 10여년을 ... ...
역사
속에서 걸어나온 과학기술자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일반적인
역사
의 범주에서 떼어내는 것에 반대한다. 과학과 문화와 생활이 빚어낸 것이
역사
이며, 과학은 바로 그 시대를 상징하는 문화라는 생각 때문이다.1백년 전에 우주를 여행하고, 바다 밑을 탐험하는 것을 과학의 영역으로 믿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하지만 오늘날 이 두 분야는 가장 ... ...
시간의 본질을 파헤친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시간의 기원] 시간의 시작은 있나? 02. [시간의 물리학] 시간여행은 가능한가? 03. [시간의
역사
] 옛날에는 시간약속을 어떻게 했나?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시간을 알았을까 04. [시간의 측정] 왜 시계는 정확해져야 하나?05. [시간과 생체] 우리몸은 어떻게 시간을 알까? 06. [시간의 심리] 연인과의 ... ...
02. [시간의 물리학] 시간여행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충돌이 일어나지 않는 것과 같도록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 결과 과거와 미래를 전체
역사
로 보았을 때 이들의 만남이 없던 것처럼 된다. 따라서 이들의 만남으로 생기는 상호 인과관계의 모순이 사라지는 것이다. 이 경우는 아주 특별해 미세한 조정작업을 통해 만들어진다. 그런데 이 작업이 ... ...
05. [시간과 생체] 우리몸은 어떻게 시간을 알까?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시간의 기원] 시간의 시작은 있나? 02. [시간의 물리학] 시간여행은 가능한가? 03. [시간의
역사
] 옛날에는 시간약속을 어떻게 했나?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시간을 알았을까 04. [시간의 측정] 왜 시계는 정확해져야 하나?05. [시간과 생체] 우리몸은 어떻게 시간을 알까? 06. [시간의 심리] 연인과의 ... ...
조류 독감 비상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확산에 대한 위기감이 고조되면서 30년 주기론에 대한 공포감이 고개를 들기 시작했다.
역사
상 10년 또는 30년 단위로 변종 독감이 발생해 수많은 사람들의 목숨을 앗아갔는데 바로 이번이그 시기라는 것. 지금까지 알려진 최악의 독감은 지난1918년 2천5백만명의 사망자를 낸 스페인 독감이며 1957년과 ... ...
01. [시간의 기원] 시간의 시작은 있나?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시간의 기원] 시간의 시작은 있나? 02. [시간의 물리학] 시간여행은 가능한가? 03. [시간의
역사
] 옛날에는 시간약속을 어떻게 했나?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시간을 알았을까 04. [시간의 측정] 왜 시계는 정확해져야 하나?05. [시간과 생체] 우리몸은 어떻게 시간을 알까? 06. [시간의 심리] 연인과의 ... ...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시간을 알았을까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성덕왕 17년(718년) 여름, 6월에 비로소 누각을 만들었다’라고 적혀 있다. 이는 우리나라
역사
에 나타난 물시계 제작의 첫 기록이다. 또 1930년 출토된 신라시대 해시계의 파편을 살펴보면 그 제작연대가 647년 전후라고 한다. 이를 통해 신라시대 이전부터 해시계를 사용했던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 ...
04. [시간의 측정] 왜 시계는 정확해져야 하나?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필요하다. 시계의 정확도가 점점 높아지면서 인류 문명도 더불어 발전해 왔다.인류의
역사
에서 16세기 무렵은 신대륙을 찾아 나섰던 대항해 시대였다. 배를 타고 망망대해를 여행할 때 배가 현재 어디에 있는지를 알 수 있는 방법은 해와 달, 별의 위치를 관측하는 것이었다. 당시 남북 방향으로 ... ...
이전
270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