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부피
강도
정량
수
d라이브러리
"
양
"(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2월] 이슈 키워드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관리하며, 디젤 자동차에 필터를 설치하는 방법 등으로 방출되는 블랙카본과 메탄의
양
을 줄일 수 있다.keyword 5 전자담배 뜨거운 감자 전자담배 독일에서 전자담배 판매금지 논란이 일고 있다. 전자담배가 해롭지 않다는 입장과 전자담배의 위해성 및 부작용 연구가 아직 덜 됐다는 입장이 충돌하고 ... ...
유룡 KAIST 화학과 교수 “제올라이트 연구로 사이언스 10대 성과에 뽑혔습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연구실적을 점검받는다. 2008년 점검결과 보고서는 ‘2007년 유 교수팀이 낸 논문의 질과
양
이 너무 나쁘다’고 명시하고 있었다. 1년도 못 참아주는 우리나라 연구풍토에 압박감은 높아졌다. 그러나 다행히 2nm 두께의 나노판 제올라이트를 합성하는 데 세계 최초로 성공해 2009년 ‘네이처’에 논문을 ... ...
포스텍에 대한 열망을 보여라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저 ‘포스텍 빠’였어요.”포스텍 생명과학과 11학번 김다솔
양
은 고등학교 시절 친구들 사이에서 ‘포스텍 빠’로 불렸다. 동방신기 빠도 아니고 슈퍼주니어 빠도 아닌 ‘포스 ... 되면 다솔
양
은 연구실에서 연구에 참여할 것이다. 언젠가 꿈의 항암제를 개발할 다솔
양
을 기대한다 ... ...
수학촌의 단짝친구
수학동아
l
2012년 02호
모서리의 길이가 모두 4.3km인 거대한 정육면체 모
양
의 창고에도 다 보관하기 힘든 엄청난
양
이었다. 제4코스 신문지를 42번만 접으면 달까지!2의 거듭제곱의 힘을 살펴볼 수 있는 또다른 예로는 신문지가 있다.신문지 1장의 두께는 매우 얇아서 측정하기가 쉽지 않다. 만약 10장을 겹쳐서 측정한 ... ...
휴대전화로 3차원 입체영상 촬영한다
수학동아
l
2012년 02호
하지만 보이는 모든 면에 무분별하게 빛을 쏘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들고, 방대한
양
의 정보를 처리하는 데 많은 시간이 걸리는 단점이 있었다.에셔 박사팀은 수학을 이용한 알고리즘을 설계해, 빛을 적게 쏘면서도 빠르게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기법을 개발했다.카메라가 특정 시간 동안 제한된 ... ...
민물새우 사는 생태연못 둠벙을 아십니까?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어려웠지만, 조사 결과 생태계 변화를 일부 발견할 수 있었다. 생물 개체수와 다
양
성이 다른 지역에 비해 약간 높아졌다. 실지렁이 수가 많아졌고 관찰 되는 종 수도 늘었다. 겨울철에 물이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생명의 보금자리가 될 가능성이 있는 셈이다.하지만 농사 측면에서는 아직 이점을 찾지 ... ...
1999년 제이 기드 박사의 청소년 뇌 발달 장기 추적 MRI 연구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시냅스 가지치기 활발연구자들은 대뇌피질에서 회백질(gray matter)과 백질(white matter)
양
의 변화로 뇌 발달을 추정했다. 회백질은 신경세포가 체액에 담겨있는 조직이고 백질은 신경섬유(축색)가 미엘린이란 지방성 피막으로 둘러싸여 있는(수초화돼 있다고 부른다) 조직이다. 회백질은 수분이 높고 ... ...
고분자로 범인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강하게 결합하는 현상을 발견했다. 이것이 순간접착제의 시초다. 순간접착제는 적은
양
으로도 접착력이 매우 강하다. 1제곱인치의 순간접착제로 1톤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다. 강력한 접착력 때문에 순간접착제를 사용할 때는 조심해야 한다. 그러나 너무 걱정할 필요는 없다. 순간접착제를 ... ...
PART2. 게임, 현실을 침공하다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싫어하는 아이에게 센서가 달린 칫솔을 주고
양
치질한 정보를 모아 보상해 준다.
양
치질을 시키기 위해 아이와 싸울 필요가 없어진다.종말이라는 무시무시한 의미가 붙었지만 게임포칼립스의 미래는 오히려 긍정적이다. 과학기술이 인간의 생활을 편리하고 윤택하게 만들었다면 게임 요소와 결합한 ... ...
실험실에서 탄생한 공포의 바이러스 H5N1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찾아가 처방 받을 수 있다. 보건소 외에 국가에서 보유하고 있는 항바이러스제의
양
은 총 1300만 회 분으로 우리나라 국민의 26%가 접종할 수 있다. H5N1 백신은 2008년부터 우리나라 녹십자에서 자체개발 중이다. 늦어도 2014년까지는 이 백신을 상용화한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 ... ...
이전
270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