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술집
주점
나이트클럽
호프
선술집
식당
salon
d라이브러리
"
바
"(으)로 총 3,113건 검색되었습니다.
범용성의 무한한 잠재력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아쉬운 점도 없지는 않다. 즉 텍스트 화면을 사용하기 때문에 그래픽 화면을 이용한 '
바
른글'이나 '한글 2000' 처럼 글씨체 크기 행 간격 등이 다양하게 화면상에서 출력되고 인쇄되는 WYSIWYG(What You See Is What You Get)방식의 장점을 기대할 수가 없고 몇가지 문서를 서로 비교 대조하여 새로운 문서를 ... ...
타자기에서 컴퓨터로 워드프로세싱은 PC사용의 첫걸음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타자기의 모양을 한 컴퓨터였던 것이다.'살아 움직이는 기계'라고 불리우던 이타자기는
바
로 컴퓨터계의 거인인 IBM사가 만든 메모리 타자기(Memory Typewriter)였다. 이것은 대부분의 타자기들이 사용하고 있던 활자가 달려있는 길다란
바
(bar)를 없애 버리고 한 세트의 글자체가 하나의 골프공만한 ... ...
잠수함 만드는데 매혹 조선공학 개척에 평생을
바
치다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없는 형편이었다. 나에게는 1년의 유학이면 족했다. 빨리 돌아가서 미국에서 배운 것을
바
탕으로 좀더 좋은 강의를 할 것을 생각하며 1955년 봄 여객선을 타고 귀국했다.●- 조선학과·조선공업의 약진고국에 돌아와서 제일 먼저 한 일은 그해 여름방학에 강습회를 열어 내가 미국에서 들은 강의를 ... ...
TV를 보다 실감나게 시청하려면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투 캐리어 방식은 서독의 텔레푼켄사가 개발한 것을 우리가 실시하고 있는 NTSC방식으로
바
꾸어준 것이다.일본이나 미국의 제니스 방식의 장단점을 연구하여 독자적으로 개량한 이 방식은 여러면에서 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판정되고 잇다.음성다중 텔리비전이란 것은 오디오 시스팀의 FM 스테레오 ... ...
생활속에 파고드는
바
이오세라믹스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작용하는가에 대한 원리 규명이 보다 자세하게 대중적 차원에서 진전되어야 할 것이다.
바
이오세라믹스가 '첨단의 신소재'가 될 것인가, 아니면 한세대의 유행어로 그칠 것인가는 그것을 다루는 연구자, 제품생산자들의 노력에 어느 정도 의존하고 있음이 분명하다. 남의 나라의 결과만을 따먹으려는 ... ...
하나의 신약이 나오기까지 0.01%의 가능성을 찾는 일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15%이상을 R&D에 투자하는 곳도 있다. 예컨대 작년도 매출액이 약 28억5천만 달러였던 시
바
-게이기사는 R&D에 약 4억2천8백만 달러를 투자하고 있는 것.이렇게 막대한 규모의 투자를 하는 까닭은 엄청난 반대급부때문임은 물론이다. 일단 신약으로 인정받게 되면 직접 수출, 또는 라이센스계약을 맺을 수 ... ...
청소년·부모 모두 알아두자 자살의 속사정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자살을 사회의 책임으로 몰아 부칠 수는 없으며, 어디까지나 각 개인의 심리가 그 밑
바
닥에서 작용하고 있다.그러나 최근 우리나라 청소년의 자살증가는 사회적인 측면에서 이해되어야할 면이 없지 않다. 그들의 자살이 교육이나 정치의 문제를 깊이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 ...
미국중심의 컴퓨터계에 도전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있다. 앞에서 잠깐 예를 든 'TRON의 세계'는
바
로 B트론으로 실현된다.과연 B트론은 예정된
바
와 같이 올해안에 모습을 선보일 수 있을까?성능 향상이 목표B트론이 개인용컴퓨터의 세계를 통일시킨다면 로봇이나 에어콘 등의 기계에 내장되어 그 기계를 콘트롤하는 일을 하는 것이 I트론(Industrial TRON ... ...
인간과 동물의 기록비교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경우 달 작은 돌고래가 같은 속도로 달릴 수 있다.반면 가장 느린
바
다포유동물은
바
다 수달피로 최고 시속이 9.6㎞. 하지만 같은 포유류인 사람보다는 훨씬 빠른 기록이다.수영을 잘 하는 새도 많다. 그중 가장 빠른 새는 전투 펭귄. 이 새의 최고수영속도가 시속 27.3㎞이니 웬만한 새의 나는 속도와 ... ...
새출발 다짐하는 소련의 과학계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위시한 수많은 과학자들의 용맹과 연구정신, 시베리아 개척을 필두로 한 연구노력
바
로 그 자체가 이루어 놓은 것이리라.아직도 제대로 알려지지 못한 많은 부분이 오늘의 소련과학을 이루고 있을 것이다. 페레스트로이카의 물결이 전 국토, 전 분야, 전 국민의 생활로 파급되고 있는 오늘, 그 무수한 ... ...
이전
270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