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래
앞날
내세
차후
뒷날
내일
싹수
d라이브러리
"
미래
"(으)로 총 4,792건 검색되었습니다.
KSTAR 최초 플라스마 발생 실험 성공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리튬을 원료로 사용하면서도 온실가스나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미래
의 청정에너지로 각광받고 있다.핵융합 반응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연료인 중수소와 삼중수소를 1억℃가 넘는 초고온 플라스마 상태로 만들어야 한다. 플라스마란 기체 원자에서 전자가 떨어져 나간 ... ...
과학고 입시 예상문제 완전분석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과학영재학교와 과학고 입시에서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의 비중이 커지고 문제 유형 또한 바뀌고 있다. 출제가능성이 높은 예상문제를 풀어봄으로써 실전감각을 길러두자. 1. A에서 출발해 B까지 최단거리로 가는데, 한 칸을 움직이는데 걸리는 시간은 1시간이라고 한다. 1) 학교를 지나지 않고 B까 ... ...
천하무적 슈퍼항생제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모른다.사이버 박테리아 이용해 슈퍼항생제 만든다슈퍼박테리아의 공격 속에서 인류의
미래
를 지킬 방법은 뭘까. 전세계 의료계와 생명공학자들은 슈퍼박테리아를 잠재울 수 있는 슈퍼항생제에서 그 해결책을 찾고 있다.그런데 슈퍼항생제를 개발하는 일은 그리 간단치 않다. 가장 큰 어려움 중 ... ...
과학문화 사업은 기본, 창의적 인재도 육성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프리먼의 ‘지구는 평평하다’, 존 나이스비트의 ‘2010 메가트렌드’처럼 세계 동향이나
미래
예측에 관련된 책을 즐겨 읽는다는 그는 “앞으로 이공계 출신이 연구계나 산업계뿐만 아니라 법조, 언론, 외교 분야에서도 역할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새 정부의 주요 국정 목표 가운데 하나가 ... ...
확률과 통계의 함정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추론한다면 2900년쯤에는 100m 기록이 0초가 되는 이상한 결론이 나온다.이런 오류는
미래
가 현재와 같은 추세로 기록이 단축된다는 잘못된 가정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100m 기록을 11초에서 10초로 줄이는 일과 10초에서 9초로 줄이는 일은 실제로 매우 다르다는 경험을 외삽의 조건에 넣지 않은 ... ...
‘숨겨진 보물’ 감자, 킹왕짱!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증가하고 있고 최근 곡물 가격은 나날이 높아지는 추세다. 이에 유엔은 식량난을 극복할
미래
작물로 감자를 정하고 2008년을 ‘감자의 해’로 정했다. 그리고 감자에 ‘숨겨진 보물’(hidden treasure)이라는 애칭을 붙였다.비만 NO! 비타민 YES! 세계적으로 귀한 대접을 받는 감자가 유독 한국에서는 ... ...
연구에 늦바람 부니 재미가 쏠쏠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벤처 붐이 일었다. ‘나도 도전해보자’는 생각에 학부 선배가 창업한 벤처에 들어가
미래
CTO로의 꿈을 키웠다. 하지만 5년 뒤 그 꿈은 무너졌다. 현실의 벽은 너무 높았다. 앞으로 무엇을 해야 할까.그 때 권성훈 교수님이 학교에 부임해 실험실에서 같이 연구할 학생을 모집한다는 e메일을 보냈다. ... ...
아찔 아찔~! 놀이기구는 진화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9호
도전과 눈부신 과학이 만들어 낸 오늘날의 놀이기구까지 알아보았다. 그렇다면 이제는
미래
의 놀이기구를 그려 볼 차례! 분명‘어린이과학동아’친구들이라면 지금까지 그 누구도 보지 못한 최고의 놀이기구를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다. 불가능을 뛰어넘는 창조적인 상상력으로 말이다 ... ...
하수도 물까지 마신다?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수명은 35년이 늘었다. 이는 하수도 시스템 덕분이라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니다. 또한
미래
의 하수도는 하수를 깨끗한 물로 만들어 상수도를 보충할 전망이다. 인류의 ‘생명연장의 꿈’을 이뤄준 하수도가 ‘물부족 사태 ’까지 해결해주지 않을까 ... ...
미세유체공학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열에너지, 의료, 광학 분야의 요소를 생산하기 위한 핵심 기술일 뿐 아니라 우리나라
미래
공학을 이끌 차세대 전략기반기술로도 매우 중요하다. 3 어디에 있어요? 미세유체공학은 최근 들어 주목받는 연구 분야로서 국내외 유수 연구기관과 대학에서 널리 다루고 있다. 미세 환경에서 유체를 ... ...
이전
270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