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지
오직
뉴스
"
다만
"(으)로 총 4,808건 검색되었습니다.
"추위보다 현생인류와 경쟁이 더 버거웠다" 슈퍼컴 밝힌 네안데르탈인 멸종 원인
동아사이언스
l
2020.05.26
왔을 것으로 추정된다. 추운 날씨는 사피엔스보다 네안데르탈인이 잘 생활했을 것이다.
다만
호모 사피엔스는 DO의 따뜻한 시기에 아프리카를 벗어나 유럽에 왔을 것이고 따라서 네안데르탈이 추위를 잘 견딘다는 사실이 그리 큰 장점은 아니었을 것이다.” Q. 이달 12일 ‘네이처’에 유럽에 ... ...
렘데시비르 임상 국내 책임자 “첫 코로나19 치료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5.25
됐다”며 “이제 렘데시비르가 코로나19의 표준 치료제가 된 것”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오 교수는 “항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 치료제 개발의 역사에서도 첫 치료제가 나온 이후에는 그 약물을 꾸준히 개선해 강력하고 안전한 많은 치료제가 개발됐다”며 “렘데시비르의 치료 효과는 아직도 ... ...
中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 안전성·항체형성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0.05.25
답했다. 두통(39%)과 근육통(17%)도 일부 있었다. 반면 심각한 부작용은 발견되지 않았다.
다만
고농도 백신일수록 고열이나 근육통 등 일부 부작용이 좀더 많이 나타났다. 중국 생명공학 기업 캔시노와 중국 군사과학원 군사의학연구원 베이징생명공학연구원이 주도해 개발 중인 아데노바이러스5형 ... ...
사람 눈보다 시력 좋은 인공눈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5.25
당시 이 물질은 빛을 전자신호로 바꿔 광수용체와 같은 역할을 한 것으로 분석됐다.
다만
실제 광수용체만큼의 세밀한 구조를 구현하지 못했다. 판 교수는 “사람의 눈을 모방한 인공 눈을 개발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며 “과학기구나 전자제품, 로봇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
고2·중3·초1~2·유치원 등교개학 27일 예정대로 진행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5.24
3학년생 , 초등학교 1~2학년생, 유치원생의 등교 개학을 예정대로 진행하기로 했다.
다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코로나19) 지역감염 우려가 확산되는 지역의 학교는 학년별 격주제와 격일제 등을 통해 교내 등교 인원이 전체 학생의 3분의 2를 넘지 않도록 권고했다. 유은혜 부총리 겸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똑같이 힘든 상황에서도 잘 극복하는 사람의 공통점
2020.05.23
좋은 사람들도 살면서 다양한 나쁜 일들을 겪고 그로 인해 다양한 충격을 받는다.
다만
충격을 받았을 때의 마음가짐이나 태도, 대처법이 달라서 이후에 허둥대지 않고 찬찬히 원상태로 돌아온다는 점이 다르다. 그리고 그 비법은 앞서 말한 물에 잘 빠지는 법과 크게 다르지 않다. 살다보면 언제든 ... ...
"이태원 클럽 환자 감염 경로 신천지와 다르다" 바이러스 게놈 분석 결과
동아사이언스
l
2020.05.22
계속 세분화되고 있는 추세다. 최근에는 G가 G와 GH, GR로 분류됐으며, L유형도 존재한다.
다만
이들 유형은 유전자 마커를 기준으로 해 바이러스가 어디에서 어디로 전파됐는지 지역을 정확히 찾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실제 결과를 보면 유형마다 지역적으로 많이 뒤섞여 있다. 지역을 ... ...
클럽·노래방·실내 스탠딩공연장 콘서트장은 왜 코로나19 고위험 시설됐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5.22
사업주와 이용자에게 300만 원 이하의 벌금을 부과한다. 집합금지 조치도 내릴 수 있다.
다만
시설이 위험요소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면 지방자치단체가 중위험시설로 조정하는 세부 지침도 마련하고 있다. 클럽발 집단감염에서 추가 감염의 연결고리로 지목된 학원과 PC방 등은 중위험시설로 ... ...
코로나19, 백신 개발의 4대 전략
동아사이언스
l
2020.05.22
폐렴구균백신 등 사례가 많다.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도 48개(41%)가 이 방식이다.
다만
코로나19용으로는 아직 임상에 들어간 사례가 없다는 점은 한계다. 국내에서는 정대균 생명연 감염병연구센터 책임연구원과 송대섭 고려대 약대 교수팀이 이 기술로 백신 개발을 하고 있다. 정 책임연구원은 ... ...
모더나 코로나19 백신 "가능성 확인" vs "근거 부족" 논란 핵심은 '중화항체'
동아사이언스
l
2020.05.20
것은 사실이지만 8명밖에 결과가 공개되지 않은 것은 주의할 부분”이라고 말했다.
다만
안전성을 최우선으로 순차적으로 임상시험을 했기 때문일 가능성도 있다. 초반에 그룹을 나눠 일부에게만 먼저 접종을 한 뒤 만에 하나 있을지 모를 위험성을 점검한 뒤 나머지 그룹에 접종해 일부 데이터만 ... ...
이전
269
270
271
272
273
274
275
276
2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