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운
능력
역량
권력
정력
에너지
기력
d라이브러리
"
힘
"(으)로 총 6,293건 검색되었습니다.
Fly High! 날아올라 볼까?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높이로 날아가는 새는 중력과 양력의 크기가 같은 상태입니다. 즉 수직 방향으로는
힘
의 평형상태죠. 한쪽 날개는 새의 몸무게 반 정도의 양력을 지탱해야 합니다. 그럼 이제 사람을 봅시다. 사람도 한 쪽 팔은 자기 몸무게 반이 되는 양력을 지탱해야 하죠. 그런데 팔을 굽힌 상태에서는 몸무게 반을 ... ...
재난 앞에서 우리는 왜 똑똑하지 못할까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불안상황에서의 퇴행(regression)이라고 한다. 무기력한 아이로 돌아가서 주변에 있는
힘
있는 사람의 도움을 원하는 것이다. 패닉형 눈앞에 두고도 못 찾는 비상구패닉형은 공포에 질려 아우성을 치면서 어쩔 줄 몰라 한다. 주변 사람까지도 불안하게 만들고 적절한 대처행동을 방해한다(영화 속에 ... ...
물처럼 꾸준하고 쉼없이 도전하라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새로 꾸려진 연구실이라 모든 일을 새롭게 해야 하는 점은 큰 부담이었다. 장비도 우리
힘
으로 새롭게 마련해야 했다. 다른 연구실 선배들이 따뜻하게 많은 것을 가르쳐 주고 보살펴 줬지만, 연구실 안에 바로 위 선배가 없다는 것이 약간은 서러웠다.우리 연구실에는 몇 가지 특이한 전통이 있다. ... ...
수학촌의 단짝친구
수학동아
l
2012년 02호
힘
든 엄청난 양이었다. 제4코스 신문지를 42번만 접으면 달까지!2의 거듭제곱의
힘
을 살펴볼 수 있는 또다른 예로는 신문지가 있다.신문지 1장의 두께는 매우 얇아서 측정하기가 쉽지 않다. 만약 10장을 겹쳐서 측정한 두께가 1mm라고 가정해 보자. 그러면 신문지 1장의 두께는 0.1mm라고 할 수 있다. ... ...
PART 1. 낭낙이와 순대 이야기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그저 엉덩이를 누르는 사람의 손을 피하기 위해 앉는 것이다. 자신의 몸을 누르는 불편한
힘
이 싫어서다. 개를 훈련시킬 때 목줄을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개와 산책을 할 때 개가 주인과 발걸음을 나란히 하지 않고 앞으로 달려 나가면 주인은 줄을 잡아끈다. 이때 개가 속도를 다시 줄이는 이유는 ... ...
휴대전화 발열 잡는 기술 등장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있었다. 실제로 위 두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나노 구조물들 사이에서는 반 데르 발스
힘
이 열을 전달하는 ‘전도사’ 역할을 하는 입자(포논)의 움직임을 방해해 열전도성을 떨어뜨렸다.리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가 “초소형 광전자 소재나 나노구조물 기반의 열전자 소재의 발열을 관리하는 데 큰 ... ...
알프스 주인의 깨끗한 물 지키기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유명한 알프스 융프라우(Jungfrau, 해발 4158m)다. 귀가 먹먹해질 만큼 높은 곳이지만
힘
을 전혀 들이지 않고 2시간 반 만에 오를 수 있다. 바퀴에 톱니바퀴를 달고 산자락을 거대한 갈지(之)자 모양으로 오르는 산악열차덕분이다. 초원에서 출발한 기차는 산자락에 있는 아담한 마을과 전나무가 우거진 ... ...
과학으로 뭉친 열정 아이돌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이처럼 아이돌 그룹도 스포츠 팀처럼 구성원 전체가 다양한 특기를 가지고 서로가
힘
을 합해 보다 더 나은 결과를 이끌어 낸다.아이돌, 아무나 되는게 아니다?아이돌 스타는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 받는 직업이다. 그러나 사랑을 받는 만큼 아이돌 스타 가 거쳐야 하는 길은 아주 멀다. 최근에는 어릴 ... ...
근육로봇의 탄생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만들고 두 잎 사이는 형상기억합금 스프링으로 연결했다. 이 형상기억합금 스프링은
힘
의 균형을 무너뜨려 잎의 형상이 다른 형상으로 변할 수 있게 만든다. 이렇게 만든 파리지옥로봇도 잎의 모양이 바깥으로 벌어진 형태에서 안으로 오그라드는 모양으로 순식간에 바뀐다.“파리지옥 로봇을 ... ...
세상에서 가장 둥근 게 뭐지?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폭발), 이때 별의 질량이 태양의 1.4배에서 2배 사이면 폭발 잔해에서 생기는 중력의
힘
으로 중성자별이 생겨난다.고밀도의 별에서는 원자 안에서 움직이는 전자가 아주 빽빽해져 아주 좁고 제한된 범위에서만 움직일 수 있다. 마치 출퇴근 시간 전철 안에 사람들이 꽉 차서 서로 움직일 수 없는 ... ...
이전
269
270
271
272
273
274
275
276
2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