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진"(으)로 총 11,349건 검색되었습니다.
- [비주얼 과학교과서] 바닷속에 숨겨진 보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에베스메이어 연구원은 이 오리들의 움직임을 추적하기 시작했어요. 고무로 만들어진 러버덕은 수면 위를 떠다니기 때문에 바닷물의 표면을 흐르는 표층해류를 따라 움직이기 쉽거든요. 러버덕을 추적해 전세계 바다의 해류 지도를 작성할 계획을 세운 거예요. 러버덕을 추적한 지 15년이 지난 20 ... ...
- Part 1. [고리 1호기] 시작과 끝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이후에도 안전하다는 평가를 받고 10년 더 전기를 생산해 왔어요. 하지만 2011년 일본 대지진으로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가 일어났어요. 이후 우리나라에서도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성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높아졌지요. 2015년, 정부는 고리 1호기의 두 번째 연장 운전을 검토했고, 지역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민물고기에 대한 모든 것! 중앙내수면연구소 탐방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얕고 빠른 계곡이 고루 분포해 있고, 물이 깨끗해요. 이처럼 다양한 환경이 잘 갖추어진 곳에서는 각각의 환경을 좋아하는 여러 종류의 민물고기가 함께 살아갈 수 있답니다.” 이날 탐사에 참여한 원준이네 팀의 이원준(서울 우면초 4)대원은 “민물고기 탐사는 처음 참가했는데 그 재미에 흠뻑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6화] 설탕이 잘 녹는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산소 쪽으로 가면서 산소는 음전하(-)에 가까운 성질을 띠게 돼요. 반대로 전자가 멀어진 수소는 양전하(+)에 가까운 성질을 띠지요. 이렇게 분자 안에서 전기적 성질이 양전하와 음전하로 나뉘는 것을 ‘극성’이라고 해요. 극성을 띤 물은 극성을 띤 물질을 녹이기 쉬워요. 예를 들어 극성을 띠는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은 두 손으로 줄을 끌어당기는 모양을 본떠 만들어진 한자예요. 따라서 두 글자가 합쳐진 ‘난(暖)’은 ‘태양을 가까이 끌어당기다’는 뜻에서 ‘따뜻하다’라는 의미를 갖게 됐지요. 이런 의미는 태양 에너지를 많이 받는 적도 지방에서 따뜻한 난류가 만들어지는 것과도 일맥상통한답니다. 두 ... ...
- [지사탐 여름캠프] 국립생태원에서 펼쳐진 생물 탐사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관찰할 수 있는 시간이었어요. 대원들은 해설사 선생님과 함께 손전등을 켜고 불 꺼진 전시관으로 들어갔어요. 자고 있는 동물들을 위해 조용히 이동하며 야행성 동물들의 행동을 관찰했지요. 리즈 팀의 이원재(부천 장영초 6) 대원은 ”사막여우가 밀렵꾼에게 잡혀왔다는 해설사 선생님의 설명을 ... ...
- Intro. 전국이 "후끈후끈" 폭염의 습격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지난 7월 13일 경주의 최고 기온이 39.7℃까지 올랐어요. 7월 기온으로는 75년 만에 최고 기온이었죠. 이날 경주 외에도 경상도 지역에는 40℃를 육박한 곳이 수두룩했 ... Intro. 전국이 "후끈후끈" 폭염의 습격Part 1. 폭염, 지구를 녹이다Part 2. 폭염, 강해진 이유Part 3. 폭염, 막을 수 있을까 ... ...
- Part 1. 폭염, 지구를 녹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조선왕조실록에 ‘무더위’ 또는 ‘혹서’라는 단어로 폭염이 기록됐듯이, 폭염은 새로운 현상이 아니에요. 하지만 최근 강력해진 폭염은 새롭게 주목받고 있답니 ... Intro. 전국이 "후끈후끈" 폭염의 습격Part 1. 폭염, 지구를 녹이다Part 2. 폭염, 강해진 이유Part 3. 폭염, 막을 수 있을까 ... ...
- Part 2. 인어가 나타났다! 로봇인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조종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죠.저희 연구실에서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두 팔을 가진 수중로봇을 개발하게 됐어요. 또 조종하는 도구도 로봇팔을 그대로 느낄 수 있는 햅틱 장치로 만들었고요. 그 결과 오션원은 사람처럼 두 손으로 작업을 할 수 있게 됐어요. 또 사람이 쓰던 도구를 그대로 쓸 ... ...
- [가상인터뷰] 둥둥~, 북 치는 앵무새!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함께 부르는 수컷도 있답니다.연구를 이끈 로버트 하이손 교수는 “음악 속에 숨겨진 각자의 박자는 암컷에게 보여 주는 자신에 대한 정보인 셈”이라며, “앞으로 추가 연구를 통해 개체마다 갖고 있는 박자가 의미하는 정보는 무엇인지 알아낼 것”이라고 말했어요 ... ...
이전2692702712722732742752762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