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보"(으)로 총 8,054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활] 교묘한 데이터 조작, 벤포드 법칙은 못 속인다!수학동아 l2015년 02호
- 또 10진수가 아닌 다른 진수로 이뤄진 숫자데이터와 확률데이터, 통계 분석이 된 정보에서도 벤포드 법칙을 찾을 수 있다.한 중학교에서 벌어진 사상 최악의 데이터 조작 사건은 학생들의 반성으로 일단락됐습니다. 하지만 사회 곳곳에는 자신의 이익을 위해 데이터를 조작하는 사건이 아직도 많이 ... ...
- [생활] 빅 히어로 천재 형제, 가장 사랑스러운 슈퍼히어로를 만들다수학동아 l2015년 02호
- 돈 홀 감독은 제작진과 함께 이런 세심한 부분은 물론, 소프트로봇 분야의 모든 정보를 섭렵해 베이맥스를 탄생시켰다. 단, 한 가지 사실만 다르다. 현재까지 만들어진 소프트로봇은 모두 전원 장치가 몸 밖에 있어 전원까지 선이 연결되어 있는 유선로봇이다.실제 연구에 사용하고 있는 전원 장치는 ... ...
- [과학뉴스] 학술지 ‘네이처’ 발행기업, 독일 회사와 합병과학동아 l2015년 02호
- CEO 앤네트 토마스는 발표문을 통해 “우리의 설립 목적은 배우고자 하는 사람에게 정보를 연결해 주는 것”이라며 “세계 최고의 콘텐츠와 세계 최고의 기술이 만나 새로운 기회를 제공해 줄 것”이라고 말했다. ‘사이언스’에 따르면 소유주들은 새 거대기업의 가치를 키운 뒤 몇 년 후 상장할 ... ...
- [과학뉴스] 기억 안 나세요? 눈 감으세요!과학동아 l2015년 02호
- 것뿐만 아니라 들은 것까지 증언하게 했다. 이번에도 눈을 감고 말한 그룹이 시각과 청각 정보를 둘 다 세밀하게 말했다.로버트 내쉬 교수는 “면접관과 친밀한 상태에서 눈을 감고 대답한 그룹이 가장 편안하다고 느꼈다”며 “좋은 인터뷰 기술에 대한 힌트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 [과학뉴스] 페이스북 ‘좋아요’가 내 성격 맞춘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개인의 성격을 예측할 수 있다”고 말했다.연구진은 페이스북 이용자가 누른 ‘좋아요’ 정보를 분석해서 당사자의 성격 특성을 분석하는 인공지능 알고리듬을 만들었다. 페이스북 가입자 한 사람이 남긴 ‘좋아요’ 수가 평균 227개라는 사실을 바탕으로 이를 분석해서 당사자의 취향과 성격을 ... ...
- [Hot Issue] DRC휴보II 올해 6월 DRC 우승 노린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기능을 제어하지만, 또 다른 한 대는 시각정보를 전문으로 처리한다. 지난 대회에서 시각정보 처리가 불완전하다는 지적이 나왔기 때문이다. ➎ 로봇머리에는 카메라와 레이저 스캐너를 설치했다. 현재 실험용으로 제작한 DRC휴보2는 모두 4대, 제각각 카메라와 레이저 스캐너 개수가 다르다. 최대 ... ...
- [과학뉴스] “내가 평범한 개로 보이니?”과학동아 l2015년 02호
- 가장 많이 등장하는 글자, 가장 많이 나오는 단어는 통계적으로 정해져 있거든요. 이런 정보를 알면 쉽게 규칙을 추측할 수 있어요.”한 교수에 따르면, 이런 암호문은 30글자 이상만 돼도 통계적 특성을 이용해 쉽게 풀 수 있다. 따라서 원문에서 모든 통계적 특성을 완전히 없앤 암호가 필요하다. ... ...
- [Life & Tech] 막춤의 5가지 비밀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차이라고 설명했다. 팔 다리를 원하는 대로 움직일 수 있는 운동감각과 박자 및 공간 정보를 해석하는 능력, 타인의 동작을 분석하거나 따라할 수 있는 능력이 막춤의 수준을 좌우한다. 홍 교수는 “오랜 반복 학습을 통해 몸의 신경과 근육이 박자에 조건반사적으로 반응하는 것을 조절할 수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벤처에 ‘후츠파’하라! (이스라엘의 도전정신)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소개해주세요.저희 실험실은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연구합니다. 이 노하우를 활용해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SNS서비스 ‘버블시티’를 개발했습니다. 버블시티는 여러분의 위치를 지도에 표시하고, 주위에 있는 다른 버블시티 이용자를 보여줍니다. 주위 사용자와는 익명으로 대화를 나눌 수 ... ...
- [과학뉴스] 슈퍼박테리아 잡는 항생제, 3시간 내 찾는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종류를 단 3시간만에 확인할 수 있는 신기술을 개발해 화제다.권성훈 서울대 공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팀은 서울대병원 진단검사의학과와 의공학과, 벤처기업 퀀타매트릭스와 함께 항생제에 대한 세균의 반응을 현미경으로 관찰해 진단에 이용하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했다. 세균과 배양액 ... ...
이전2692702712722732742752762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