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밀
은밀
극비
비공개
은닉
엄밀
신비
d라이브러리
"
비밀
"(으)로 총 3,834건 검색되었습니다.
놀이공원은 살아있다 .! 힘이 있으니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즐기다 보면 추위를 느낄 틈도 없다. 왜 눈에서는 이렇게 잘 내려갈까?신나는 눈썰매의
비밀
, 까끌까끌 마찰력마찰력은 운동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며 운동을 방해하는 힘이다. 표면이 꺼칠꺼칠한 물체일수록 마찰력이 크다. 눈썰매가 움직이면 썰매바닥 아래에 있는 눈이 녹아 물이 되면서 ... ...
과학자도 놀란 창덕궁의
비밀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기울여야 건물이 천년의 삶을 누린다는 뜻이다. 600년 동안 숨어 있었던 창덕궁의 과학적
비밀
은 창덕궁을 천년만년의 후손들까지 볼 수 있게 한 선조들의 지혜인지도 모른다.*한경이궁조성제조경복궁에서 창덕궁으로 궁을 옮기는 책임을 맡게 된 직책. 이직과 신극례가 이 직책에 임명됐다고 ... ...
바퀴가 만드는 사이클로이드의
비밀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비오는 날 빗방울이 기와를 타고 흘러내리는 모습을 유심히 바라본 적이 있다. 마치 기와의 곡면 위에 구슬을 떨어뜨려도 가운데로 모여 굴러갈 것 같다. 실제로 기와의 곡선은 수학에서 다루는 사이클로이드(cycloid)와 닮았다. 킥보드나 자전거 바퀴 위에 붙은 발광 다이오드를 생각해보자. 바퀴가 ... ...
외계에서 온 '블랙 다이아몬드'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천체물리학지’에 발표했다. 초신성은 무거운 별이 폭발하며 죽는 단계로 우주 진화의
비밀
을 푸는데 실마리를 제공한다.지난 1900년부터 일반 다이아몬드는 약 600톤 채굴됐다. 하지만 블랙 다이아몬드는 그동안 일반 다이아몬드 채굴장에서 채굴한 적이 단 한 번도 없었다.일반 다이아몬드는 독특한 ... ...
해적왕 잭의 지도정복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1호
24개 위성을 한꺼번에 이용하면 세계 어느 곳이라도 실시간으로 관측할 수 있다.땅 속의
비밀
을 캐는 지질도대부분의 지도는 땅 위를 보여 준다. 그렇다면 땅 속을 보여 주는 지도도 있을까? 당연히 있다. 땅 속의 모습과 암석 분포 등을 나타내는 지질도가 그것! 지질도(아래그림)는 토양 성분을 ... ...
우리 포옹할까요?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까닭은 무엇일까. 2002년 7월 28일 영국의 과학잡지 뉴사이언티스트에는 포옹의
비밀
을 풀어줄 의미심장한 연구결과가 실렸다. 스웨덴 살리렌스카대학병원 신경생리학부 하칸 올라우손 교수는 어루만지는 자극에 기분좋게 반응하는 신경망이 피부에 존재한다고 주장했다.촉각은 주로 고속 ... ...
러시아 스파이를 죽인 독극물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1호는 발사에 실패했고, 2호(1960524), 3호(61712), 4호(611021)는 각기 궤도에 올랐다 6호 이후는
비밀
위성이다 원자 또는 미소립자의 통과를 감시하는 장치 입자를 감지하기 위해서는 입자와 검출기의 재료 사이에 상호작용이 있어야 한다이 검출기들은 여러 가지 입자의 수, 입자의 성질 및 운동에 관한 ... ...
1. 당신의 뇌가 '관상'을 만든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얼굴의 각 부분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지 못하기 때문이라는 설명도 있다.캐리커처의
비밀
얼굴 인식에서 한 가지 재미있는 사실은 우리가 사진이나 어떤 사람의 얼굴을 정밀하게 묘사한 그림을 볼 때보다 그 사람의 얼굴 특징을 과장해서 그린 캐리커처를 볼 때 더 빠르고 정확하게 누구인지 ... ...
암호처럼 보이는 수열의
비밀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보기에 암호처럼 보이는 그림들. 이 안에 어떤
비밀
이 숨어있을까.조선 후기 사대부 출신 학자인 최석정이 쓴 수학책 ‘구수략’(九數略)에는 ‘하도’(河圖)(01)에 대한 내용이 담겨 있다. 하도는 중국 복희씨 때 황하에서 용마가 입에 물고 나왔다는 전설 속의 예언서다. 하도에는 흰 점과 검은 점이 ... ...
2. 부모 얼굴, 골라 닮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서울대 생명과학부 김선영 교수는 “‘얼짱 유전자’를 찾을 수 있을 정도라면 생명의
비밀
은 다 풀린 셈”이라며 고개를 저었다. 김 교수는 “사람은 동물처럼 유전자를 마음대로 변환시키는 실험을 하기 어렵다”는 점을 이유로 들었다. 사람의 기본적인 골격이 배아나 태아 상태에서 결정되는데 ... ...
이전
269
270
271
272
273
274
275
276
2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