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표"(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뇌는 커지고, 얼굴은 작아졌다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인해 턱의 근육과 치아 크기가 줄었을 거라는 연구 결과를 ‘네이처’ 2016년 3월 9일자에 발표했다.doi:10.1038/nature16990리버만 교수는 어떤 종류의 요리법이 씹는 시간을 줄이는지 실험했다. 먼저 고기를 ‘날 것’ ‘간단히 저미거나 두들긴 것’ ‘익힌 것’ 등 세 종류로 준비했다. 고기는 수백만 ... ...
- [과학뉴스] 3년 만에 온 메르스 발병 열흘 만에 완치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랜싯 감염병’에도 항체를 이용한 새로운 치료기술이 임상 1상을 통과했다는 논문이 발표됐다. 미국 SAB바이오테라뷰틱스 연구팀은 메르스에 감염된 뒤 생존한 사람의 몸에서 항체를 분리한 뒤, 이 항체를 만드는 유전자를 찾아 소의 DNA에 넣어 항체를 대량생산했다. 연구팀은 ‘SAB-301’이라고 ... ...
- [과학뉴스] 장내 미생물의 ‘짜릿한’ 비밀과학동아 l2018년 10호
- monocytogenes)이 전기를 생산한다는 사실을 발견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9월 12일자에 발표했다. 그동안 전기를 생산하는 세균이 존재한다는 사실은 알려져 있었지만, 전기 생산 세균이 인체 내에서 발견된 건 처음이다.리스테리아균은 기존에 전기를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진 쉬와넬라 오나이덴시스 ... ...
- [Issue] ‘인스타 스타’ 아보카도, 환경파괴 주범?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붙은 건 약 2년 전, 아보카도의 소비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부터다. 9월 3일 관세청이 발표한 보도자료에 따르면 2018년 1~7월 아보카도 수입액은 작년 한 해 수입액인 3000만 달러(약 338억5000만 원)를 이미 넘어섰다. 10년 전과 비교하면 지난해 수입액은 약 14.6배 증가했고, 수입량도 6000톤(t)으로 약 ... ...
- [Career] 2018 ‘한화 사이언스 챌린지’ 미래 노벨상 인재들의 축제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사이언스 챌린지’ 본선의 백미는 심층발표 및 토론이다. 각 팀이 20분 동안 발표한 뒤 참가자들끼리 토론을 한다. 수준 높은 질문이 오가며 대회장의 긴장감은 더욱 고조됐다. 초음파를 이용해 미세먼지 제거 장치를 제작한 ‘바코드’ 팀의 이준성 군(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 2학년)은 ... ...
- Part 3. ‘대한민국 우주군’ 창설되나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제외한 기타 작전 행위는 수행해도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우주군을 창설하겠다는 발표로 ‘우주군 이슈’를 만든 미국에는 이미 우주군이 있다. 과거에는 국방부 직할 우주사령부를 운영했지만, 현재는 공군 우주사령부를 중심으로 우주군 인력을 양성하고, 우주 전력을 획득하는 등 우주작전 ... ...
- [Issue] 가계동향조사 ‘통계 오류’ 논란 쟁점은?과학동아 l2018년 10호
- 18년 1분기 소득 배율을 2017년 1분기와 동일한 연령 분포로 가정해 계산해도 5.81로, 처음에 발표한 5.95와 비슷한 수준이라고 반박했다. 더 나아가 2015년 인구센서스를 감안한 새로운 통계 표본을 쓰지 않고, 1인 가구의 비중 등을 조정해 비교해도 소득 불평등이 심화된 것은 달라지지 않는다고 ... ...
- [Culture] 정자왕 꿈꾸는 당신에게과학동아 l2018년 10호
- 2017년 1월호에 술이 정상적인 정자와 정액 형성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doi:10.1016/j.rbmo.2016.09.012연구팀은 전 세계 1만6395명의 남성을 대상으로 실시한 15편의 연구를 종합적으로 분석했다. 그 결과 매일 술을 먹는 사람의 경우 술을 먹지 않는 사람과 비교해 정액의 양이 적을 뿐 ... ...
- 세살 기억 여든까지 간다?과학동아 l2018년 10호
- 흔적’의 증거를 실험적으로 밝혀내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7월 23일자에 발표했다. doi:10.1016/j.cub.2018.05.059 유아기 기억이 지워진 것이 아니라 기억해내지 못하는 것일 뿐이라는 얘기다. 연구팀은 어린 쥐에게 하나의 기억을 심고 기억이 있는지 알 수 있는 증거를 뉴런에 남긴 뒤, ... ...
- [수학뉴스] 제브라피쉬 얼룩말 무늬의 비밀수학동아 l2018년 10호
- 제브라피쉬 무늬 생성의 비법을 설명하는 수학 모형을 개발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제브라피쉬 피부에는 흑색, 황색, 그리고 홍색 색소 세포가 있으며, 이 세포들이 피부 표면에서 움직이며 줄무늬를 만듭니다. 볼케닝 연구원은 시간에 따라 이 세 가지 색소 세포가 각각 어떻게 모이고 ... ...
이전2692702712722732742752762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