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극
마지막
극도
결과
d라이브러리
"
결국
"(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1936년 한스 셀리에 박사의 스트레스 현상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이를 극복하지 못하면 면역력이 튼튼하거나 번식력이 왕성해봐야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결국
스트레스 반응은 위기에 처한 생명체가 살아남기 위해 몸의 자원을 재배치하는 과정인 셈이다. 그렇다면 왜 현대인들에게 스트레스가 심신의 건강을 위협할까.스트레스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인 미국 ... ...
로켓은 하루 아침에 만들어지지 않는다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306km 상공에서 분리돼야 했던 과학기술위성2호도 340km까지 올라간 뒤에야 분리됐다.
결국
과학기술위성2호는 궤도에 진입하지 못하고 지구로 추락했다.두 번째 시도는 지난 6월 10일에 이뤄졌다. 그러나 이륙한 지 137초 만에 고도 70km 지점에서 1단 로켓이 폭발해 추락했다. 해군이 제주도 남쪽 ... ...
나도형, 헝가리에서 스타 되다?!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받을 수 있도록 툴라의 남자친구인 이안을 도와 준다. 이안의 마음을 안 툴라의 아버지는
결국
결혼을 승낙한다. 그리스에서 보람 있는 일을 한 허풍과 도형은 가벼운 발걸음으로 헝가리로 향한다.1. 스타 탄생의 길, 외르뵈시 경시대회부다페스트에서 가장 화려하고 아름다운 세체니 온천에서 ... ...
점과 선의 그림, 그래프의 발견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것은 다리 길이나 땅의 넓이가 아니라 다리와 땅의 연결 상태라는 걸 깨달았던 것이다.
결국
쾨니히스베르크 다리 문제는 점 4개와 선 7개가 있는 한붓그리기 문제가 되었다. 이와 같이 점과 선이 있는 그림을 그래프라고 한다. 오일러는 그래프이론이라는 수학의 새 분야의 선구자가 되었다.이후 ... ...
한국 과학자, 난치성 ‘전립선암’ 치료 가능성 열어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호르몬 불응성 전립샘암은 그 이름처럼 호르몬 요법으로 안드로겐 수치를 낮게 유지해도
결국
암 세포가 증식한다. 학계에서는 안드로겐과 안드로겐 수용체의 결합 부위에 돌연변이가 생겨 안드로겐이 부족한 상태에서도 암 세포를 증식시키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명 박사와 동료들은 수용체 ... ...
‘솔직한 인간’이 밝히는 인간의 실체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인간은 땀의 증발을 방해하고 몸에 열기를 보존하는 털가죽을 점점 벗어던지게 됐다.
결국
지금처럼 축축한 맨 피부를 드러내게 됐다는 얘기다.저자는 인간이 왜 다른 동물과 다른지, 인간만의 고유한 특성이 생긴 이유가 무엇인지 자기만의 재치 있는 말투와 표현법으로 풀었다. 인간이 어떤 ... ...
더 비싸게 vs 더 싸게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빼빼로 : 50g에 200원 → 1g에 4원현재의 빼빼로 : 30g에 700원 → 1g에 23원(23원-4원)÷4원 = 4.75
결국
빼빼로는 1983년보다 가격이 4.75배가 올랐다. 할인의 왕도주중 서울에서 밀양까지 가는 KTX의 요금은 43000원이다. 비싼 요금의 부담을 덜기 위해 여러 가지 할인 제도를 이용할 수 있다. 30일전에 승차권 ...
서로 닮은 수학과 법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수 없어요.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를 법체계에 적용해도 문제가 없음이 증명됐어요.
결국
법체계도 수체계처럼 완벽하지 않다는 점이 밝혀진 거예요. 법에도 수학에서처럼 단 하나로 결론을 내릴 수 없는 문제가 존재한다는 것이죠.예를 들어 볼게요. 미국헌법 제2조에는 대통령의 나이는 35세 ... ...
작은 거품을 만들며 터지는 비눗방울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도넛 모양이 됩니다. 표면장력이 작용하면서 거품은 점점 더 작은 도넛 모양이 되어
결국
사라지고 맙니다. 이는 가늘게 흐르는 수도꼭지의 물이 표면장력 때문에 물방울이 되어 떨어져 내리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이 연구는 샴푸와 같은 제품에서 거품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전망입니다 ... ...
세상만사 둥글둥글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그럼 변의 개수를 자꾸 늘리다 보면 어떤 도형과 가까워질까요?사랑 : 아! 그렇구나.
결국
원이랑 비슷하겠네요. 다각형을 찾는 것보다 원 모양으로 만드는 게 쉽겠어요.선생님 : 우리 사랑이가 바로 디도 공주네요. 원은 둘레의 길이가 같을 때 넓이가 가장 큰 도형이랍니다. 디도 공주는 원 모양의 ... ...
이전
269
270
271
272
273
274
275
276
2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