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도
격렬함
계수
셈
힘
능력
효력
d라이브러리
"
세기
"(으)로 총 4,596건 검색되었습니다.
초승달이 그믐달로 보인다
과학동아
l
200101
접시모양으로 구성·배열됐다.수신기는 전파망원경의 핵심장치다. 우주에서 오는 전파는
세기
가 매우 약하고 주파수가 무척 크기 때문에 증폭시키는 동시에 다루기 쉬운 낮은 주파수로 변화시켜야 한다. 이 과정에서 영하 2백60℃ 대로 냉각시키는 장치가 들어간다. 또한 이런 극저온에서 나타나는 ... ...
한낮에 흑점 관측하는 요령
과학동아
l
200101
자료 가운데 하나이므로 그 수를 정확히 관찰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흑점수를
세기
위해서는 우선 흑점군을 결정해야 한다. 보통 몇개의 흑점이 모여 하나의 흑점군을 형성한다. 흑점군 하나는 독립된 흑점에 비해 열배 가량 더 활동적이다. 따라서 흑점수는 확인된 흑점군에 10을 곱하고 다시 ... ...
3. 태양계에서 노다지 캐는 미래 우주벤처
과학동아
l
200101
가져다주듯이 소행성은 인류와 지구에 재앙을 불러일으키는 부정적인 존재만은 아니다.21
세기
에는 본격적으로 태양계 내의 탐사와 거주지 건설이 시작된다. 우주천체에 건축물을 건설하거나 우주선의 연료를 만드는데 필요한 재료들을 지구에서 가져가기보다는 달이나 행성뿐만 아니라 소행성이나 ... ...
우리민족 산학의 뿌리 '구장산술'
과학동아
l
200101
하지만, 그가 쓴 서문에서 주장하는 바에 따르면, 구장산술의 기원은 기원전 27
세기
경 지혜의 제왕인 황제나 주나라 초기(기원전 12
세기
)의 정치가 주공을 훨씬 넘어 중국 상고시대 최초의 통치자로 알려진 복희씨까지 거슬러 올라간다고 한다. 다시 말해 이 책은 그 이전에도 얼마나 오랜 세월 동안 ... ...
2. 멋진 신세계 앞당긴 신기술 삼총사
과학동아
l
200101
데이터 전송을 가능케 한 블루투스블루투스는 이름과 달리 이빨(tooth)과는 무관하다. 10
세기
경 덴마크와 노르웨이를 통일시킨 덴마크의 하랄드 블라탄드(Harald Blatand) 왕의 별명에서 유래한 이 단어는 무선 이동통신의 핵심으로 떠오른 첨단기술 프로젝트를 지칭한다. 1998년 에릭슨, IBM, 인텔, 노키아, ... ...
리프킨의 엔트로피
과학동아
l
200101
저술로 ‘노동의 종말’(The End of Work) ‘등장하는 질서’(The Emerging Order) ‘바이오테크의
세기
’(The Biotech Century) 등이 있다. 이 책들은 대부분 세계적인 베스트셀러가 됐다. 지난 25년간 20여개국을 순회하면서 5백개가 넘는 대학에서 강연한 그는 미연방 정부의 정책에 가장 영향력을 많이 미친 ...
가상식물 창조하는 2010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012
특허권은 기능이 확인된 유전자에만 제한적으로 인정되고 있기 때문에 기능유전체학이 21
세기
생명공학산업의 열쇠를 쥐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미국과학재단이 애기장대 기능유전체 연구를 내세운 ‘2010프로젝트’에 선뜻 5억달러의 연구비를 지원하기로 결정한 것은 전혀 놀라운 ... ...
20
세기
대우주탐험가 에드윈 허블
과학동아
l
200012
않았다. 이들이 우리은하의 일부인지 아니면 우리은하 밖의 또 다른 별무리인지….이미 18
세기
에 독일 철학자 임마뉴엘 칸트는 ‘섬우주’라는 표현을 써서 몇몇의 성운들은 우리은하를 넘어선 곳에 또다르게 모여있는 별무리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그후 1908년까지 거의 1만5천개에 이르는 성운의 ... ...
2. 모솔왕의 대형무덤
과학동아
l
200012
창설된 유물관의 책임자가 됐고, 고대 그리스를 연구하는데 평생을 바쳤다. 뉴턴이 19
세기
에 모솔레움을 발굴했지만 1960년대와 1970년대에도 발굴작업은 계속 추진돼 모솔레움의 1층 평면이 알려졌다.셍피에르 요새의 천장이나 벽 속에 모솔레움을 장식했던 조각된 돌이 있다는 사실이 근래의 ... ...
6. 밤을 밝히는 30층 규모의 등대
과학동아
l
200012
이해되지 않기 때문이다.실제로 인류가 고층 건물을 본격적으로 세우기 시작한 것은 19
세기
말부터다.그러므로 르네상스 시대를 걸쳐 과학기술이 발전하자 고대에서 가장 높다는 건물을 어떻게 건설했을까 하는 호기심이 절로 일어난다.파로스 등대를 건설할 때 1백m나 되는 건물을 건설할 수 있는 ... ...
이전
269
270
271
272
273
274
275
276
2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