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현
가망
스페셜
"
가능
"(으)로 총 6,710건 검색되었습니다.
각국 AZ백신 접종중단에 전문가들 "속도보다 안전성…확인 필요"
연합뉴스
l
2021.03.17
생성 우려에 대해 "무조건 안전하다고만 하는 것은 설득력이 떨어진다"면서 "몇 가지
가능
성을 갖고 조사를 해야 한다. 제조 과정에서 이물질이 혼입돼 백신이 오염됐다거나 인종 특성 때문이라든가 가설을 세우고 하나하나 입증해서 '아니다', '맞다'를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앞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고교학점제는 20년 묵은 낡은 제도
2021.03.17
있는 것도 아니다. 물론 수능을 포함한 대학입시의 혁명적인 변화가 선행되어야만
가능
한 일이다.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치러진 지난해 12월 3일 수험장의 모습이다. 사진공동취재단 ※필자소개 이덕환 서강대 명예교수(화학·과학커뮤니케이션). 대한화학회 탄소문화원 원장을 맡고 ... ...
'오후 1시 49분' 코로나 양성 판정
가능
성 가장 높아지는 시간
동아사이언스
l
2021.03.16
저녁 검사에서 바이러스가 적게 나온다면 감염자를 음성으로 판정하는 '위음성'
가능
성이 커질 수 있다. 맥너튼 교수는 “하루 중 특정시간에 더 전염성이 있을 수 있다는 것도 시사한다”며 “추가 바이러스 확산을 막는 전략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유증상자 다중이용시설 출입만 막아도 집단감염 23% 줄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6
유증상자의 다중이용시설 출입을 억제하는 것만으로도 집단발생의 23% 이상 감소가
가능
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며 “최근 유행 분석 결과 집단발생 중 상당 부분은 유증상자의 다중이용시설 출입에 의해서 환자가 발생하고 다시 N차 감염으로 이어진 사례들”이라고 말했다. 이 단장에 따르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100만년 전 매머드 게놈 해독해보니
2021.03.16
베링해를 처음 건너간 건 165만 년 전 시베리아 북동부에 살았던 크레스토프카 계통일
가능
성이 큰 것으로 보인다. 후기 플라이스토세에 살았던 컬럼비아매머드 게놈의 약 40%가 크레스토브카 계통에서 온 것으로 나왔기 때문이다. 한편 130만 년 전 살았던 아디차와 60만 년 전 추코치야는 게놈 ... ...
[랩큐멘터리]인류를 위협으로부터 구원할 방패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6
걸린 뒤에야 원인을 확인할 수 있었을 뿐 사전에 식중독을 예방하는 건 사실상 불
가능
했다. 지능형물질및센서연구실은 자성나노입자를 이용해 5분 만에 음식에 식중독균이 있는지 확인하는 진단 기술을 개발했다. 식중독균에만 반응하는 항체를 자성나노입자에 붙여 식중독균이 있으면 ... ...
반도체 소부장 기업 위한 12인치 반도체 테스트 베드 서비스 시작
동아사이언스
l
2021.03.16
종기원 원장은 “현재 12인치 테스트베드는 40나노미터(nm·10억분의 1m) 패턴웨이퍼 제작이
가능
한 인프라로 반도체 핵심소재(감광제 등)와 장비개발을 집중 지원할 예정”이라며 “향후 20nm급 패턴웨이퍼 제작과 부품 테스트를 지원할 수 있는 추가 장비구축 및 공정기술 개발을 추진할 ... ...
서울대 도입한다는 신속PCR, 유행상황·검사방식 적절히 고려됐나
동아사이언스
l
2021.03.16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들 대학의 신속PCR 도입은 다른 여러 대학들에 영향을 줄
가능
성이 큰 만큼 관심을 모으고 있다. ○ RT-PCR vs. 신속PCR 신속PCR은 환자의 타액을 받거나 코, 목구멍에서 검체를 채취한 후 속에 담긴 바이러스 DNA를 수차례 복제해 바이러스를 특정하는 유전자를 대규모로 ... ...
"약탈적 저널 한국 수학계 좀먹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6
모르고 실었을 수도 있다. 하지만 몇몇 연구자는 실적을 부풀리기 위해 일부러 실었을
가능
성이 있다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 가장 근본적인 문제는 피인용 지수로 연구를 평가하는 문화다. 한상근 KAIST 수리과학과 교수는 전화 통화에서 피인용 지수에 의존하지 않는 학술 검증 ... ...
"백신 접종과 혈전 관련성 확인 안돼…조사 결과 따라 중단도 고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6
검토 중에 있다고 설명했다. 박 팀장은 EMA 조사결과에 따라 국내에서 접종을 중단할
가능
성이 있냐는 질의에 "그것도 하나의 선택지로서 검토 대상은 된다고 이해해주면 된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시기, 방식 등 여러 부분을 고려하고 검토해야 할 사안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박영준 ... ...
이전
268
269
270
271
272
273
274
275
276
다음
공지사항